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Daycare Center Director and Teacher of Christian' Vocation Awareness on Ethical Practice and Happiness

기독교인 어린이집 교원의 소명의식이 윤리실천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Yoo, Eun Sil (Graduated Post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
  • Kim, Jung He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 유은실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
  • 김정희 (총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4.28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vocation awareness, ethical practice and happiness of daycare center director and teacher of christian, and how the vocation awareness effects the ethical practice and happiness. After a survey from 303 director and teacher of christian daycare center,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vocation awareness, ethical practice and happiness were highly correlated. Second of all, the higher the vocation awareness, especially in purpose/meaning-presence and prosocial-motivation-presence of vocation awareness, the higher the ethical practice. Lastly, the higher the vocation awareness, the higher the happiness. The purpose/meaning-presence and prosocial-motivation-presence of vocation awareness had great influence on happiness.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원의 소명의식과 윤리실천 및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소명의식이 윤리실천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기독교인 원장 106명과 보육교사 197명으로 총 303명이다. 소명의식은 심예린(2010)의 '한국판 소명의식 척도'를 사용하고, 윤리실천은 김은설과 박수연(2011)의 척도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행복감은 이은숙(2016)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교원의 소명의식과 윤리실천 및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소명의식과 윤리실천 및 행복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윤리실천과 행복감이 높았고 윤리실천이 높을수록 행복감도 높았다. 둘째, 어린이집 교원의 소명의식이 윤리실천에 미치는 영향은 소명의식 중 목적/의미-존재와 친사회적 지향-존재 변인이 영유아와 영유아 가정에 대한 윤리실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동료 및 기관과 사회에 대한 윤리실천에는 친사회적 지향-존재 요인만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린이집 교원의 소명의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소명의식 중 목적/의미-존재와 친사회적 지향-존재에 대한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외적 행복과 내적 행복이 높게 나타났고, 자기조절 행복에는 목적/의미-존재 소명의식만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어린이집 윤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육 교원들이 인간 본연의 내면에 있는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그러한 과정에서 자신의 소명을 깨닫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것이라는 것을 밝혔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희영(2014). 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에 따른 교사 효능감 및 전문성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국민일보(2017). 유치원.어린이집 '운영비=내 돈' 심각, 95곳 점검했더니 91곳.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699470&code=11131100&cp=du에서 2017년 11월 3일 인출.
  3. 권석만(2008). 긍정 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4. 권선영, 김명소(2016). 직업소명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1(1), 150-171.
  5. 김기철, 신애선(2016). 영아교사의 전문성, 민감성, 행복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관계 및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6(2), 57-82.
  6. 김동현, 이재모(2014).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419-435.
  7. 김명선(2012). 교회 주일학교 교사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도 연구.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 김은설, 박수연(2011). 보육교사의 도덕성과 윤리실천 수준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3), 207-226.
  9. 김은하, 손수민(2015). 어린이집 CCTV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차이. 아동교육, 24(1), 99-117.
  10. 김정애(2000). 어린이집 교사의 교직태도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김지선(2015).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명실행과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김지현(2015). 영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 측정도구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3. 김화선(2011). 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목혜정(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직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문시영(1998). 사회윤리적 관점에서 다시 읽는 직업 소명. 한국개혁신학 한국개혁신학회 논문집, (4), 375-401.
  16. 박수진(2009).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박종현, 신나리(201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7(1), 88-105.
  18. 박흥석(1996). 보육시설종사원의 소명의식과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마산.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 배문주(2011). 유아교사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 변창순(1993). 중등교사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보건복지부(2017). 어린이집 및 이용자 통계.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 117&tblId=DT_15407_NN002&vw_cd=&list_id=154_15407&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에서 2017년 11월 20일 인출.
  22. 서문희, 최혜선(2010). 2010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3. 서울파이낸스(2017). 평가인증 어린이집서 유통기한 지난 식자재 사용 수두룩.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291342에서 2017년 11월 3일 인출.
  24. 성경주, 황성원(2017).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7(4), 71-90.
  25. 송미경, 양난미, 이은경(2016). 교사의 소명의식, 자아존중감, 직업적 정체감, 삶의 만족과의 관계. 교원교육, 32(4), 197-218.
  26. 송순옥, 김하종, 성연정(2015).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5(3), 89-107.
  27. 송진호(2016). 직장인의 소명의식, 일몰입, 일가치감, 직무만족 및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8. 신건호(2012). 유아교육기관의 원장과 교사의 교육이데올로기, 핵심가치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21(1), 49-61.
  29. 신윤정(2013). 대학생의 진로소명, 진로자기효능감 및 내적동기와 진로적응성의 관계. 상담학연구, 13(1), 209-226.
  30. 신지음(1989).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1. 심대흠(2017). 직장인의 소명의식과 심리적안녕감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2. 심예린(2010). 한국판 소명척도 타당화: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3. 심현애, 김경연(201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경로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545-567.
  34. 양승희, 염순교(2007).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와 보육시설 근무환경과의 관계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7(4), 46-67.
  35. 염지숙, 이명순, 조형숙, 김현주(2008). 유아교사론. 서울: 정민사.
  36. 오동근, 이영석, 김명언, 서용원(2004). 일가치감 및 그 결정요인의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7(2), 187-221.
  37. 오수진(2011). 신앙성숙수준 및 소명의식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기독대학생을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8. 우정순, 김영옥, 차승환, 배진희, 김란옥, 김정실(2016). 보육교사론. 서울: 태영출판사.
  39. 윤소천(2013).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자본과 조직 동일시의 매개효과와 변혁적 리더십, 지각된 상사지지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0. 이미란(2010). 영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헌신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1. 이미정, 강란혜(2011). 보육교사의 처우 및 근무실태 개선을 위한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1(3), 27-44.
  42. 이성규(2014). 보육교사의 직무특성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18(4), 593-612.
  43. 이수진(2015). 보육교사의 자존감과 효능감이 교직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4. 이숙연(2016).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소명의식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5.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2011).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 변인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46. 이숙희(2007). 보육교사 근무 및 처우에 관한 분석: 표적 집단 인터뷰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3), 69-96.
  47. 이은숙(2016).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보육효능감, 보육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8. 이은숙, 이경님(2016).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보육효능감 및 보육헌신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107-127.
  49. 이재완, 황성준(2016).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소명의식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8(4), 169-196.
  50. 이진화, 유준호(2007). 교수-학습의 실제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문가로서의 교사 도덕성. 아동교육, 16(1), 89-101.
  51. 이현주(2009). 가정보육 시설장의 윤리의식과 전문성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2. 이현주(2015).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4), 93-112.
  53. 장연화(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4. 장윤정, 황윤숙(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한국보육학회지, 17(2), 181-203.
  55. 장진이, 이지연(2014). 교사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 소명수행 의식, 삶의 의미, 직업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6(1), 123-146.
  56. 정명자, 최혜순(2014).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8, 21-39.
  57. 정민영(2013). 직장인의 소명실행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삶의 의미,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8. 정진환, 박병진(2001). 학교장의 공직윤리에 관한 교원의 인식. 교육행정학연구, 19(4), 363-391.
  59. 조경옥(2001). 유아교사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0. 조재희(2012).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1. 조필수(2008). 보육교사의 교직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교사교육 프로그램 및 윤리강령 제정을 위한 기초: 서울시 양천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2. 조한옥(2017). 어린이집 원장의 윤리강령 중요도와 실천수준에 대한 인식.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3. 조형숙 (2012). 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 계발. 유아교육학논집, 16(4), 373-394.
  64. 주석(2011). 행복에 관한 철학적 고찰.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5. 천세희, 조미숙, 이향연(2014), 일부 임상 치과위생사의 직업적 소명의식과 윤리적 성향의 관계. 한국치위생학회지, 14(6), 813-820.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6.813
  66. 최영옥(2011). 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직무스트레스 및 행복 간의 관계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67. 최왕섭(1994). 국민학교 교사의 교직 윤리의식과 직무만족에 관한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8. 최은아(2016).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공감, 교직윤리인식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821-846.
  69. 최현주(2016). 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임파워먼트와 전문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0. 헤럴드경제(2017). 아동학대 인증취소 어린이집 55%가 평가인증 95점 넘어.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7102700003에서 2017년 11월 3일 인출.
  71. 현미옥(2008).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2. 황서현(2015). 호텔 직원의 직업소명의식과 자기주도학습, 혁신행동 및 직무성과의 구조적관계.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73. 황옥경(2012). 보육교사의 처우 현황과 개선방안: 보수 체계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49-272.
  74. 황해익(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157-180.
  75. Argyle, M. (2001). The psychological of happiness. New York: Routledge.
  76. Davidson, J. C., & Caddell. D. P. (1994). Religion and the Meaning of Work.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33(2), 135-147. https://doi.org/10.2307/1386600
  77. Dik,. B. J., & Duffy. R. D. (2009).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The Counselling Psychologist, 37, 424-450. https://doi.org/10.1177/0011000008316430
  78. Dik, B. J., Eldridge, B. M., & Steger, M. F. (2008). Development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MA,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s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oston.
  79. Feeney, S., & Sysko, L., (1986). Professional Eth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urvey Results. Young Children, 42(1), 1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