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torybooks-making Activities Based on Masterpiece Appreciation on the Language Expression and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그림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 Lee, Seon Ky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ngwon university) ;
  • Choi, Hye Yoo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ngwon university)
  • 이선경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 최혜윤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6.04.26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torybook making activity based on masterpiece appreciation on the language expression and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Targeting 47 five year-old children of S & A kindergarte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like 23 children for experimental group and 24 for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storybook making activity based on masterpiece appreciation for four sessions within 12 week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expressed their feelings and thought into painting after appreciating masterpieces during the same period of time. Using SPSS 18.0 Program for the collected data, t-test was conducted for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language expression and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ybook making activity based on masterpiece appreci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whole language expression except for sentence length, and it improved the language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Second, the storybook making activity based on masterpiece appreci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verall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and it improved the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Such results imply that the whole process of appreciating masterpieces and making/appreciating storybook by expressing pre/post stories of painting into writing and drawing would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language expression and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그림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S유치원과 A유치원 만 5세 유아4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23명 비교집단 24명을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12주 동안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 책 만들기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동일한 기간 동안 명화를 감상한 후 느낌과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언어표현력과 그림감상능력에서의 결과 차이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은 문장길이를 제외한 언어표현력 전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은 그림감상능력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그림감상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명화를 감상하고 그림의 앞-뒤 이야기를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여 이야기책을 만들고 감상하는 과정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그림감상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2005). 유아를 위한 명화감상활동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김경희(2009).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기예, 이소은(2007).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능력에 따른 유아의 실행기능과 또래 상호작용.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67-197
  5. 김미경(2003). 글없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언어이해력,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상분(2007). 책만들기 프로젝트(book art project)를 활용한 쓰기지도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선월(2012). 자연의 미적요소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감상능력, 미술표상능력,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5). 533-555.
  8. 김영숙(2008). 상호작용을 통한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영옥, 윤경선(2005). 명화를 활용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2), 149-161.
  10. 김은아(2014).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 활동의 효과: 유아의 그림감상능력, 창의성,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은혜(2015). 숲에서의 스토리텔링 활동이 유아의 자기표현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의중(2003). 심미감 향상을 위한 미술감상수업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정민, 권민균(2017). 정보그림책 연계활동을 통한 책 만들기 경험이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8(2), 273-295.
  14. 김정숙(2004). 책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형재, 송민서, 김형숙(2016). 명화패러디를 활용한 유아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명화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3), 99-119.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3.99
  16. 김호, 노영희(2002).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3(1), 75-99.
  17. 나은실, 변길희, 심성경(2014). 상호작용중심의 탐색적 표현 활동이 영아의 신체운동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2), 37-57.
  18. 남궁진, 정희정(2017).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3), 1-28.
  19. 남효인, 이수경(2008).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창의적 그림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조형교육, 32, 135-137.
  20. 문두성(2011). 균형적 문해접근법에 기초한 책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쓰기인식 및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문세라(2005). 통합적 미술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선미(2012). 명화감상을 통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구성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배유리(2011). 명화에 기초한 도형활동이 유아의 기하개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변윤희(2006).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그림책 만들기 활동의 효과연구. 교육학연구, 44(4), 27-55.
  25. 변윤희, 김명순(2007). 메이킹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8(3), 251-266.
  26. 신경아, 장영숙(2012). 산책을 통한 조형요소 탐색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표현력과 그림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21-39.
  27. 신금주(2000). 구조화된 명화 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 및 감상력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안종순, 이진희(2008). 예술적 표현활동에 기초한 콜라주 동화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179-194.
  29. 양미선, 박성희(2010). 에릭 칼 그림책을 활용한 책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꾸미기와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63(1), 109-136.
  30. 우유리(2008). 미술활동에 토대한 콜라쥬 동화책 창작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력 및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유승연(1992). 유치원의 유아문학활동 현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윤혜진(1993). 교사의 질문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대균, 김주영, 임자영, 박지선(2017). 영유아언어교육. 경기도: 공동체.
  34. 이수련, 이정화, 조부월(2009). 책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이해력과 언어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457-474.
  35. 이연규(2007). 환경적 문자(Environmental Print)를 이용한 문자언어교육의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7(2), 109-122.
  36. 이예숙(2007). 명화감상을 통한 감정이입 활동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및 대인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윤영, 이문옥(2010). 명화감상을 통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99-118.
  38. 이정은, 김경숙(2016).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이야기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6(2), 77-95.
  39. 이지연(1999). 협동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의사소통기술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지영, 이유나(2017). 동시를 재구성한 북아트식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동시짓기 능력과 정서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1), 533-560.
  41. 이진숙, 박형신(2015). 명화감상을 통한 갈등해결 활동이 그림감상능력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3), 19-41.
  42. 이차숙(2004). 유아언어교육의 이론적 탐구. 서울: 학지사.
  43. 장순미(2008). 미술관 방문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능력 및 그림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장영숙, 윤경아(2005). 그림책과 명화를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감상능력과 미술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3), 97-110.
  45. 정남미(1996). 사회적 역할놀이가 유아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정선주(2006).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정은하(2007).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학수업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조은정(2006). 명화감상과 구연동화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언어능력 및 미술성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조은정, 김영옥(2010). 극놀이와 연계한 유아 미술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4(4), 119-144.
  50. 지성애, 김민정, 송연경, 조현정(2010).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4(4), 339-358.
  51. 최경(2012). 책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그림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6(2), 297-321.
  52. 최명희(2011). 패러디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최현숙, 김성희, 정하나(2012).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문해능력에 비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0(1), 45-65.
  54. 최혜원, 서현아, 박소윤(2013).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5-29.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005
  55. 하광주, 김소향(2015). 다중지능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적 반응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27-52.
  56. 하현선(2008). 창작적 감상을 통한 책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언어표현력 및 사고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유아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Boriss-Krimsky, C. (1999). The creativity handbook: A viaual arts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Illinois: THOMAS.
  58. Cliatt, M. J., & Shaw, J. M. (1988). The storytime exchange: Ways to enhance it. Childhood Education, 64(5), 293-294. https://doi.org/10.1080/00094056.1988.10521555
  59. Feldman, E. B. (1970). Becoming human through art.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Inc.
  60. Gardner, H. (1983). Frame of mind: The theory of muitiple intelligences. New York, NY: Basec Books.
  61. Guzetti, B. J., & Wooten, C. M. (2002). Children Creating Artists' Books: Integrating Visual Arts and Language Arts. IL: ERIC Clearing house on Elementar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J669387)
  62. Kostelink, M. J., Soderman, A. K., & Whiren, A. P. (2004).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urriculum: Best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3rd ed.). Upper Saddler River, NJ: Pearson.
  63. Koster, J. B. (2009). Growing artists: Teaching art to young children(4th ed.). NY: Thomson Delmar Learning.
  64. Mangual, A. (2004). 알베르토 망구엘의 나의 그림읽기.(강미경 역). 서울: 세종서적.(원전은 1995에 출판)
  65. Mayesky, M. (1998).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NY: Delma Publishers.
  66. Morrow, L. M. (1997). Literacy development in the early years: Helping children read and write. Allyn & Bacon.
  67. Pahl, K., & Kelly, S. (2005). Family literacy as a third space between home and school: Some Case Sudies of practice. Literacy, 39(2), 91-96. https://doi.org/10.1111/j.1741-4350.2005.00406.x
  68. Shaffer, D. R. (2005). 발달심리학.(김수정, 송길연, 양동규, 이지연 공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2에 출판)
  69. Tae, H. M. (2000). Study on art appreciation teaching through ex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Cited by

  1. The effects of masterpiece appreciation based kindergarten-home connected activities on children's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and picture expression ability vol.13, pp.4, 2018, https://doi.org/10.16978/ecec.2018.13.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