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지역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실태 연구

A Study of the Conditions of Cooperative Child-care Places in Jeju Self-Governing Province

  • 차성란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Cha, Sung-Lan (Dept. of Child Education and Counseling, Daejeon Univ.)
  • 투고 : 2018.02.28
  • 심사 : 2018.04.14
  • 발행 : 2018.05.31

초록

Communal places for parents to take child-care are very important in activating cooperative child-care(CCC). Therefor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been operating Cooperative-Childcare-Places(CCPs) since 2016.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CCPs and presented the model type to provide data for the activation of CCC. Qualitative analyses were applied to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10 staff members. The common task they considered difficult was recruitment, 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operation of the regular program depending on the competence of the staff in charge. The lack of support systems, such as education and consulting, has made it difficult for the staff to do their work. Additionly, four models of CCPs were found, a resident self-governing type, a workplace type, an institutional type, and a rural complex type. In conclusion, CCP spaces should be planned and facilities created with a focus on the needs of child-care activities. Second, the role of staff in helping to organize the parents' self-governing committee is crucial. Third, it needs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staff memb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
  3. 디트 News 24(2017.12.6). 천안시 공동육아나눔터 9호점 개소.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442491.
  4. 자치법규 정보시스템. http://www.elis.go.kr.
  5. 세종의 소리(2017.6.8). 세종시, "공동육아나눔터 25개소로 늘린다"-세종형 공동육아 활성화 정책 본격 추진, 아동 여성친화도시 구축.
  6. 세종특별자치시(2018). 100대 과제 및 일반공약- 12월말 추진상황 보고 자료. 세종특별자치시.
  7. 세종특별자치시. http://search2.sejong.go.kr.
  8. 시흥시청. http://www.siheung.go.kr.
  9. 여성가족부(2013). 2013년 가족품앗이 사업안내.
  10. 여성가족부 보도자료(2017.9.4). 여성가족부와 LH 공사, 경단여성 일자리 창출과 공동육아나눔터 조성을 위해 손잡는다.
  11. 여성가족부. http://www.mogef.go.kr.
  12. 정병호(1992). 사회문화적 환경변화와 바람직한 공동육아-인류학적 시각. 우리아이들의 보육을 걱정하는 모임 편. 21세기 영육아보육. 한울.
  13. 제주특별자치도(2017). 수눌음 공동육아.육아나눔터: 운영 매뉴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가족친화지원센터.
  14. 조막래.김한별(2015). 서울시 공동육아지원사업의 지속가능성 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15. 조형(1994). 공동육아란 무엇인가. 공동육아연구 회 편. 함께 크는 우리 아이. 서울: 또하나의 문화.
  16. 지방행정신문(2018.1.11). 시흥시, 2018년도 시흥형 주거복지 지원 확대 추진. http://www.culturein.co.kr/8211.
  17. 차성란(2010). 주민주도적인 마을만들기를 위한 기관의 역할-살기좋은마을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77-100.
  18. 차성란.권혜진.조정현(2011).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성과발굴 및 운영모델개발 연구. 여성가족부.
  19. 차성란(2017). 아이키우기 좋은 도시만들기, 2017년 시흥아이 돌봄분야 요구분석 결과 및 정책제안(미간행).
  20. 트론토, 조안(2014). 돌봄 민주주의, 김희강, 나상원 옮김, 서울: 아포리아. Tronto, C. J.(2013). Caring Democracy: Markets, Equalit, and Justice,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21.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7).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