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that Influence Middle-aged People's Retirement Planning and Financial Preparation for Old Age

중년층의 은퇴설계 및 노후 경제적 준비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홍성희 (계명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 Received : 2018.03.01
  • Accepted : 2018.05.08
  • Published : 2018.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iddle-aged people's retirement planning and financial preparation for old age. The data was derived from "the National Survey of Families 2015". The samples included 1,462 people from 40 to 64 years of age.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monthly family income, monthly expenditure on spending to support parents, and perceived household economic condition. When the samples were divided by se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household economic condi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both men and women's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Age and education level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for women's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but not for men'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whether middle-aged people made financial preparation for old age. For the whole sample, whether or not a person was a regular employee, monthly family income, monthly expenditure on supporting parents, perceived household economic condition, and retirement planning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determining financial preparation. For men, whether or not a person was a regular employee, monthly family income, perceived household economic condition, and retirement planning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women whether or not a person was a regular employee, and retirement planning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financial preparation. The results implied that retirement planning is needed for middle-aged people to prepare for old age financially while the financial preparation should differ depending on sex.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2005). 한국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6(4), 159-174.
  2. 곽인숙.홍성희(2013). 베이비부머의 노후생활설계 인식과 준비도: 전.후기 집단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47-172.
  3. 고선강(2014). 중년층의 소득계층별 세대 간 경제자원 이전, 노후생활비 준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79-102.
  4. 김순미(2014). 가계의 재무건전성과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27-52.
  5. 김순미.고선강(2012). 중년기 가정의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 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59-76.
  6. 김양이.이채우(2008).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9, 55-82.
  7. 김정미.엄기욱(2014).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특성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6(4), 197-221.
  8. 김주성.최수일(2010).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3), 97-119.
  9. 김지경.송현주(2008). 결혼으로 분가한 자녀와 부모 간의 사적소득이전. 사회보장연구, 24(3), 77-98.
  10. 박선영(1999).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층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297.
  12. 박창제(2014). 베이비부머와 전 베이비부머의 재무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63, 309-335.
  13. 박창제(2016). 베이비붐 세대와 베이비붐 직전세대의 사적 재무적 준비와 영향요인 비교. 노인복지연구, 71(3), 305-333.
  14. 방하남.김기헌(2002). 기회와 불평등: 고등교육 기회에 있어서 사회계층간 불평등의 분석. 한국사회학, 36(4),193-222.
  15. 방하남.신동균.이성균.한준.김지경.신인철(2010).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 한국노동연구원.
  16. 배문조(2011). 중년기의 성공적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및 노후생활준비의식이 노후생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1), 45-61.
  17. 배희선(2008). 중.노년기 가계의 성인 자녀에 대한 경제적 자원의 이전시기와 이전여부- 증여 와 상속을 중심으로. Financial Planning Review, 1(1), 47-79.
  18. 백은영(2011).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 결정요인 분석. 사회보장연구, 27(2), 357-383.
  19. 백지은.최혜경(2007). 한국사회와 서구사회의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137-153.
  20. 석재은.임정기(2007).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소득수준 격차 및 소득원 차이와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27(1), 1-22.
  21. 신승희(2010).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신하연(1997). 중년기소비자들의 경제적 노후 대비 수준과 실버타운에 대한 요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안현선.김효민.인진경.김양희(2009). 중년기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37-155.
  24. 양세정.이성림(2010). 노후 경제적 대비 여부에 따른 가계경제의 차이와 재무관리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1), 1-16.
  25. 양세정(2010). 적자가계의 특성 및 경제구조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135-159.
  26. 이서영(2014). 중년기 기혼여성의 노후준비와 위기감이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29-46.
  27. 이선형(2007). 중년기 가구의 노인 및 자녀 세대 부양과 노후준비와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강남대학교.
  28. 이선형.최은희(2010). 안정적 노후준비 가계의 특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예비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193-212.
  29. 이소정(2009).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1, 72-80.
  30. 이신영(2009). 도시거주 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계명대학교 사회과학논총, 28(1), 205-224.
  31. 정경희.이소정.이윤경.김수봉.선우덕.오영희.김경래.박보미.유혜영.이은진 (2010). 베이비 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정병은.이기홍(2010). 성공적 노화에 대한 세대별 인식 조사연구: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조사연구, 11(2), 45-69.
  33. 정순둘.이현희(2012). 가족특성과 노후준비의 관계: 베이비붐 세대와 예비노인세대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58, 209-232.
  34. 정지영.양세정(2013). 경제적 은퇴준비행동의 영향요인: 세대 간 자산이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99-219.
  35. 차경욱.박미연.김연주(2008). 20.30대 임금 근로자의 은퇴재무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149-163.
  36. 한혜진.정순희(2013).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6(2), 35-61.
  37. 홍성희.곽인숙(2007).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89-104.
  38. 홍성희(2018). 기혼자녀의 성별에 따른 부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 및 수혜의 영향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1), 79-98.
  39. Anderson, M. Li, Y., Bechhofer, F., McCrone, D., & Stewart, R.(2000). Sooner rather than later? Younger and middle-aged adults preparing for retirement. Ageing and Society, 20(4), 445-466. https://doi.org/10.1017/S0144686X99007837
  40. Lin, J. & Yi, C.(2013).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International Sociology, 28(3), 297-315. https://doi.org/10.1177/0268580913485261
  41. Malroutu, Y.L & Xiao, J.J.(1995). Perceived Adequacy of Retirement Income.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6, 17-24.
  42. Miller, D.A.(1981). The 'sandwich' generation: Adult children of the aging. Social Work, 26, 419-423.
  43. Ando, A. & Modigliani, F.(1963). The life-cycle hypothesis of saving: Aggregate implications and tests. American Economic Review, 53, 55-84.
  44. Orthner, D.K.(1981). Intimate relations: An introduction to marriage and the family. Reading, MA: Addison-Wes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