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n Relation between Measles Occurrence and Related Medical Text during Joseon Dynasty - Based on 18th and 19th Century -

조선 홍역발생과 관련의서 편찬관계 고찰 - 18C, 19C를 중심으로 -

  • Song, Jichung (Dept. of Medical Classics &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Lee, Hoonsang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Park, Yeongcha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Eom, Dongmyung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송지청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 이훈상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 박영채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 엄동명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Received : 2018.11.11
  • Accepted : 2018.11.30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In this study, we research the tendency of medical text publication by examining the period of the great measles outbreak and the period of the publication of specialized smallpox texts. Using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database for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and Bibyeonsadeunglok, we will compare all records of measles occurrence. Measles and smallpox (Majin in Korean) have similar symptoms and treatment methods. In East Asia, when measles occurred it spread to Joseon and Japan, which are verified by records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and Bibyeonsadeunglok. The medical books related to measles are; Ryuhasinbang, Majinpyeon, Geupyubang, Yimsinyeokbang, Eulmisinjeon, Majingbang, Jinyeokbang, Magwahoetong, Majingibang, Susengsingam, Hongjinsinbang. Measles and Majin are the same disease. During the period of measles occurrence, measles-related medical books were published, and this relation of measles occurrence and measles-related medical text publication is verified by several national records.

Keywords

OSHSB8_2018_v31n2_4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중국의 전염병 발생 수 및 인구 수(왼쪽), 중국 북쪽과 남쪽에서 전염병 발생 수(기원전 300년부터 1911년까지) (A. Morabia, 2009)

OSHSB8_2018_v31n2_4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18C-19C 조선 홍역 관련 기록(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OSHSB8_2018_v31n2_41_f0003.png 이미지

그림 3. 18세기부터 19세기까지 홍역 발생시기와 의서편찬 관계 모식도

표 1. 홍역과 마진 비교

OSHSB8_2018_v31n2_41_t0001.png 이미지

표 3. 마과회통의 목차와 세부내용

OSHSB8_2018_v31n2_41_t0002.png 이미지

표 4. 마진편의 목차와 세부내용

OSHSB8_2018_v31n2_41_t0003.png 이미지

표 5. 수생신감의 목차와 세부내용

OSHSB8_2018_v31n2_41_t0004.png 이미지

표 6. 마진방의 목차와 세부내용

OSHSB8_2018_v31n2_41_t0005.png 이미지

표 7. 마진기방의 목차

OSHSB8_2018_v31n2_41_t0006.png 이미지

표 8. 조선 홍역관련 기록의 연도 및 수와 의서에 언급된 홍역 발생연도 비교(유철호, 2015)

OSHSB8_2018_v31n2_41_t0007.png 이미지

표 9. 홍역 발생 연도와 의서 편찬 연도 비교

OSHSB8_2018_v31n2_41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기욱. 한의학통사. 서울:대성의학사. 2006.
  2. 김신근. 한의약서고.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3. 김용운.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 서울:여강출판사. 2001.
  4. 대한감염학회. 한국전염병사. 서울:군자출판사. 2005.
  5. 박훈평. 조선. 홍역을 앓다. 서울:민속원. 2018.
  6. 日省錄 十二. 서울:보경문화사. 1988:361-365.
  7. 유철호. 기억하고 싶은 조선의 참 의원 유이태. 서울:삼부시스템. 2016.
  8. 김신근. 한국의학대계(권36) 마과회통. 서울:여강출판사. 1988.
  9. A. Morabia. Epidemic and population patterns in the Chinese Empire(243 B.C.E. to 1911 C.E.): quantitative analysis of a unique but neglected epidemic catalogue. Epidemiol Infect. 2009;137(10):1361-1368. https://doi.org/10.1017/S0950268809990136
  10. McNeill WH. Plagues and People. New York:Anchor Books. 1977.
  11. Kim NJ. The Historical Research for Infectious Disease during Koryeo Dynasty. Seoul Univ. Doctoral Thesis. 1988.
  12. 김성수. 18세기 조선 의학지식의 구조와 특성. 연세의사학. 2016;19(2):7-33.
  13. 서봉덕. 마과회통의 역사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4. 유철호. 유이태 생애와 마진편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5. 최진우. 蒙叟 李獻吉의 痲疹方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6. 조미숙. 조정준의 급유방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7. 한윤정, 장규태. 급유방에 기재된 의안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7;21(1):53-85.
  18. 안상우. 麻疹篇. 古醫書散策 193. 민족의학신문 455호. 2004.
  19.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한의학대사전. 서울: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