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Delinquency Rate of Real Estate PF on Macroeconomic Variables

거시경제변수에 따른 부동산PF 연체율에 관한 연구

  • 노치영 (상명대학교 부동산학과) ;
  • 김형주 (상명대학교 부동산학과)
  • Received : 2018.03.30
  • Accepted : 2018.04.16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As the loan size of real estate PF is huge, its market ripple effect gets bigger when overdue occurs. Accordingly, the management of the delinquency rate and macroeconomic analysis are required. As the preceding research mainly proceeded with microeconomic analysis through the real estate PF data of individual banks to evaluate importance of list or analyzed core factors for delinquency, it lacked research on comprehensive real estate PF siz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uch data, this research studied real estate PF delinquency rate of the entire market and effect relationship by the size. The research utilized the size of real estate PF loans, money supply, interest rate, consumer price index(CPI), and GDP data. Also, it applied the first model of VECM as linear relationship between at least two or more variables, following the result of co-integration test. As a result of Granger-causality test, the real estate PF loans delinquency rate is influenced by their loan size, and as a result of impulse response analysis, the interest rate is shown to be affecting delinquency rate the most. Interest rate could risesomeday and aggravate the delinquency rate of real estate PF. Also, risk exposure could be serious as the loan size increases.Therefore, the management of real estate PF delinquency rate requires continuous monitoring, tracking and observing issued loans from a macro point of view. The plans to prevent delinquency will be necessary.

부동산PF는 대출의 상대적 규모가 커서 연체가 발생되면 시장의 파급력도 커진다. 따라서 부동산PF 연체율에 대한 관리와 거시경제적 분석이 필요하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개별 은행의 부동산PF 데이터를 통한 미시적인 분석을 진행하여 리스트의 중요성을 평가하거나, 연체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전체적인 부동산PF 규모에 의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료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거시경제변수에 따른 시장전체의 부동산PF 연체율에 대한 영향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부동산PF 대출규모, 통화량, 금리, 소비자물가지수, GDP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공적분검정 결과 적어도 2개 변수 이상에서 선형관계가 이루어짐에 따라 VECM의 1차 모형을 적용하였다. 그랜저인과관계 결과 부동산PF 연체율은 부동산PF 대출금액에 영향을 받으며, 충격반응결과 통화량, 소비자 물가지수, 금리, 대출금액, GDP 순으로 연체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부동산PF 자금 대출 이후 금리 상승은 부동산PF 연체율에 부담을 주게 되며, 통화량의 증가는 물가의 상승을 유도하여 결국 금리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대출규모가 클수록 위험성의 노출이 심각해 질 수 있다. 따라서 부동산PF 연체율의 관리는 대출 이후 거시적 관점에서 자금 회수에 지속적 추적과 관찰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연체율 방지를 위한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반기로, "프로젝트 파이낸스," 한국금융연수원, 2010.
  2. 손재영, 강민석, 강승일, 고성수, 권오훈, 김경환, 남영우, 이준용, 이중희, 이현석, 조만, 조흥연, 최은영, 황규완, "부동산 금융의 현황과 과제," KDI, 2012.
  3. 서명교, 김형주, "국내 건설경기의 순환변동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300-309,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300
  4. 이갑섭,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한 부동산PF 연체율의 영향요인,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 이봉철,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리스크 요인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6. 박근용, "부동산 프로젝트 금융에서 시공사 신용 보강에 관한 법적 연구," 금융법연구, 제11권, 제2 호, pp.183-223, 2014.
  7. 손진수, 서후석, "민간부동산개발의 사업방식별 자금조달 특성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제27집, pp.66-84, 2006.
  8. 김민형, 부동산 개발사업의 리스크 요인 분석 및 관리방안 - 공동주택 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학술연구보고서, pp.1-119, 2005.
  9. 정대석, "부동산 프로젝트 금융 적용 사업에 대한 사업성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제39권, 제6호, pp.175-188, 2004.
  10. 정연길, 우리나라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신용 스프레드 분석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1. 박원석, "부동산 개발사업에서 프로젝트 금융의 활용 특성과 대출조건 영향 요인 분석," 대한국토계획학회지, 제10권, 제6호, pp.229-230, 2005.
  12. 고성수, 류근묵, "금융기관 관점에서 본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리스크 항목의 중요도 분석," 부동산학연구, 제15집, 제1호, pp.155-173, 2009.
  13. 이갑섭, 이현석, "은행과 저축은행의 부동산PF 대출특성 비교분석," 부동산학연구, 제18집, 제1 호, pp.107-122, 2012.
  14. 강태욱, 이현석,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기관별 특성 분석," 국토연구, 제58권, pp.151-165, 2008.
  15. 김진, 서충원, "주택PF사업에서 분양성과 현금 흐름이 대출신용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제45권, 제2호, pp.129-147, 2010.
  16. 창성남,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7. 이영일,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위험 요인 중요도 분석,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8. 박종성, "PF지급보증이 기업가치와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 세무회계저널, 제17권, 제1호, pp.9-33, 2016.
  19. 노치영, 이남근, "부동산PF 구조 변화와 리스크 중요도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부동산경영학회, 제15집, pp.89-115, 2017.
  20. 이규복, 이수진, 최근 구조조정 이후 우리나라 저축은행 특성별 대출포트폴리오 분석 및 시사점, KIF 연구보고서, 2017.
  21. S. Johansen, "Estimation and Hypothesis Testing of Cointegration Vectors in Gaussian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Econometrica, Vol.59, pp.1551-1580, 1991. https://doi.org/10.2307/2938278
  22. 이석원, 거시경제 요인이 아파트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목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3. 송인호, "주택시장과 거시경제의 관계 - 주택가격, 금리, 소비, 총생산을 중심으로," 부동산도시 연구, 제8권, 제1호, pp.47-6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