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울시 청년 1인 가구 주거 문제 분석 - 주거소비 면적 감소 현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ousing Consumption Problem in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 Focusing on Reduction of Housing Area -

  • 조하은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
  • 김의준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생명과학대학연구원)
  • 투고 : 2018.03.12
  • 심사 : 2018.03.19
  • 발행 : 2018.03.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1인 가구 증가와 함께 나타나는 주거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애 주기 가설을 기반으로 주택 수요 함수를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청년 1인 가구의 주택 수요와 항상소득 잔차로 인한 주택 수요가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는 청년 1인 가구의 주택 소비에 항상소득이 충분히 실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할 금융 시장의 역할이 미비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상소득 실현의 어려움과 주택 금융 부족을 청년 1인 가구 주택 수요 불균형 현상의 원인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청년 1인 가구의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항상소득과 현재 주택 수요의 균형을 유도하는 정책이 도입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housing problems of single-person household in 20-35 age group. Using the survey of Household's Consumption in 2014, we estimated the housing demand func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in Seoul. As a result, the coefficient of the permanent income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housin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groups and the housing demand was also lower than others. Since current income isn't come up to permanent income enough, the housing consump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shrinks. It implies the role of the housing financial market is less activated. That is, the difficulty of realization of permanent income and lack of housing finance are the main cause of the imbalance of housing demand of one young person. Therefore, it implies that in order to alleviate the housing problem of the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a policy to balance the permanent income with the housing demand is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의준.김재홍.김호연.구교준.마강래.이수기.임업, 2015, 지역.도시 경제학: 이론과 실증, 서울: 홍문사.
  2. 김재익, 2013, 1인 가구의 생애주기별 이질성과 공간적 분포 특성, 주택연구, 21(3), pp.61-78.
  3. 김주원.정의철, 2011, 소형가구 연령대별 주택수요 특성 분석, 주택연구, 19(2), pp.123- 150.
  4. 김준형, 2016, 청년 주택문제에 대한 세 가지 가설-한국노동패널자료의 서울 청년가구를 중심으로, 도시정책연구, 7(3), pp.5-25.
  5. 박보림.김준형.최막중, 2013, 1인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국토계획, 48(1), pp.149-163.
  6. 박애리.심미승.박지현, 2017, 청년세대의 주거 빈곤 진입과 주거 불안정성 인식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9(2), pp.1-20.
  7. 박천규.이수욱.손경환, 2009, 가구생애주기를 감안한 주택수요특성 분석 연구, 국토연구, 60, pp.171-187.
  8. 박천규.이태리.김태환, 2015, 주택금융시장의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 국토 정책 Brief, 510, pp.1-6.
  9. 신미림.남진, 2011, 서울시 1인가구의 주택수요 예측, 국토계획, 46(4), pp.131-145.
  10. 양연선, 1998,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가계의 최적소비선: 생애주기가설과 항상소득가설을 기초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1. 유영주, 1984, 신가족관계학, 서울: 교문사.
  12. 이소영.정의철, 2010, 총부채상환비율 규제가 주택점유형태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도시연구, 11(1), pp.83-101.
  13. 이수욱.김태환, 2016, 소득변화에 따른 청년가구의 임대료부담능력 전망과 지불 가능한 임대주택 규모 추정, 주택연구, 24(3), pp.5-26.
  14. 이채성, 2009, 항상소득과 비인적자산이 주택점유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학회, 20(4), pp.69-78.
  15. 이현정, 2015, 청년 임차가구의 주택보유 의식 및 영향 요인, 생활과학연구논총, 19, pp.137-148.
  16. 장한두, 2008,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4(5), pp.11-21.
  17. 정희수.권혁일, 2004, 생애주기가 주택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12(1), pp.5-25.
  18. 정희주.오동훈, 2014, 청년세대 1.2인 가구의 주택점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2), pp.95-113.
  19. 조주현.김주원, 2010, 1인 가구의 주택수요 특성에 관한 연구-서울시를 중심으로, 부동산학연구, 16(4), pp.33-52.
  20. 진미정.변주수.권순범, 2014, 한국 가족생애주기의 변화, 가족과 문화, 26, pp.1-24.
  21. 최막중.지규현, 2001, 주택금융의 활성화가 가구의 주택수요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36(7), pp.85-99.
  22. 최열.김영민.조승호, 2010,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30(3), pp.313-321.
  23. Modigliani, F., and Brumberg, R., 1954, Utility analysis and the consumption function: An interpretation of cross-section data, Franco Modigli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