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재생사업 효과 분석 -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

Analyzing Urban Regeneration Effects - Focused on Jungang-Dong, Cheongju City -

  • 한동욱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태영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주수민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혜주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홍명기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화학공학부) ;
  • 백종인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화학공학부) ;
  • 반영운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투고 : 2018.03.16
  • 심사 : 2018.03.20
  • 발행 : 2018.03.31

초록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는 2006년 이래로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활발히 진행되어오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도시 재생사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정성적인 방법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상업지역 도시재생사업이 진행 중에 있는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동인구, 공시지가 공실률을 도시재생사업 효과 분석 지표로 선정하였다. 분석시점은 도시재생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2013년을 기점으로 2011년부터 2016년까지이다. 분석결과, 첫째, 유동인구는 차츰 증가하다가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던 2014년에 약 65퍼센트의 증가율을 보였다. 둘째, 공시지가는 도시재생이 시작한 2011-2012 시점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고 2015년까지 증가폭이 점차 줄어들면서 2015-2016년에는 미세한 감소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공실률은 꾸준한 하향곡선을 그리며 27퍼센트에서 12퍼센트로 약 15퍼센트포인트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상업지역의 도시재생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데서 학술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began in 2006 and has actively proceeded for 10 years. Also, there are a lot of studie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have analyzed urban regeneration effects but have just focused on qualitative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has intended to analyze the urban regeneration effects of Junang-Dong, a central business district in Cheong City,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undertaking, in the manner of quantitative analysis. To reach this objective, we selected such indicators as floating population, public land price, a and vacancy rate, and set analysis time span from 2011 to 2016, whe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actively operated. As a result, this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1) As for floating population, population index grew gradually and showed an drastic increase of about 65 percent in 2014 when the project was active. 2) Public land price of Jungang-Dong has been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from 2011 to 2012 when the city started to regenerate, and slight decrease from 2015 to 2016 with the gradual decrease until 2015. 3) In terms of vacancy rate, there has been declined about 15 percent from 27 percent to 12 percent, with a steady downward curve. This study has dedicated itself to analyzing the urban regeneration effects quantitatively especially in commercial business district.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은혜, 2016, 도시재생에서 주민의 자주적 관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민참여 정도와 공동체의식 수준을 중심으로.
  2. 김건태, 2016, 도시재생 지역선정 평가지표 연구.
  3. 김경훈, 2013,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의 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창원시 창동예술촌 조성을 중심로.
  4. 김공양, 2016, 도시재생사업 사례의 성과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창원(마산)시를 중심으로.
  5. 김진주, 2017,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방문자와 지역주민의 태도 비교: 대구 근대골목 사례를 중심으로.
  6. 김태동, 2014, 도시재생사업의 주민만족도에 대한 창원과 청주 사례 비교 분석.
  7. 박민희, 2017, 방문자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마케팅영향요인 분석: 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중심으로.
  8. 박종희, 2017, 공공디자인 개념의 도입을 통한 도시재생방안 연구: 의왕시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9. 성순아, 2015, 도시재생사업에 주민참여활동의 영향: 창원시와 청주시 사례 중심으로.
  10. 심보영 외, 2017, 도시재생지역의 인구와 산업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도시재생선도지역을 중심으로.
  11. 오후, 2017, 도시재생사업이 장소성 형성에 미친 영향 분석-청주시 중앙동.
  12. 유현지, 2014, 유형별 도시재생 사업이 지역활성화에 미친 영향.
  13. 이수진 외, 2017, 도시재생지역의 토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14. 이정동, 2015, 도시재생사업의 평가지표도출 및 거버넌스 체계에 관한 연구: 창원, 전주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15. 정형진, 2017, 공공과 민간주도 산업단지 재생사업의 집단화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16. 조민일, 2017,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의 주민만족도에 관한연구: 전남 목포시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17. 황종헌, 2017, 민간주도형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천안시를 중심으로.
  18. 황희연 외, 2014, 도시재생사업의 주민만족도에 대한 창원과 청주 사례비교분석.
  19. 황희연 외, 2015,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참여활동이 지속적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청주시 사직 2동을 중심으로.
  20. 황희연 외, 2015, 도시재생 상권활성화 프로그램 효과 분석-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21. Jung-Ho Yu, 2011,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Korea.
  22. Stephen E Gilmean, 2017,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programmes on health and health-related behaviour: Evaluation of the Dutch District Approach 6.5 years from the st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