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al Needs Analysis on NCS-base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지식재산교육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 Received : 2018.02.12
  • Accepted : 2018.03.20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satisfaction and issues about a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ystem, and educational needs for intellectual property NCS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tellectual property information survey analysis, intellectual property assessment trade), in order to introduce and operate NCS-based education system that trains practical manpower in the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for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ystem showed education contents (M=3.86), followed by lecture (M=3.79), teaching method and environment (M=3.66) and education assessment (M=3.50). The issues to be improved are low application in the current occupation due to no reflection of demands of industrial fields, as well as insufficient education contents system, lectures who fall short of education capability and interactions with students tend to stress theoretical knowledge more than practical ability, teaching method lacks application of educational medium, insufficient interest and motivation, assessment methods that fall short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ability achievement, and that is theory-centered. Second, educational needs for intellectual property NCS showed intellectual property assessment trade (4.33), followed by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3.68), and intellectual property information survey analysis (2.99), which should be reviewed to reform or newly develop NCS-based education course. Conclusively,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howed satisfaction above the average, but a job-centered education is demanded to elevate application in the industrial field, which puts emphasis more on practical ability than theory. For thi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ntellectual property NCS reflecting demands of industrial field, and to reform or newly develop into NCS-based education course. In addi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needs to be operated by changed education paradigm, such as user-centered teaching method, not provided-centered, and performance and course-centered assessment method, not theoretical knowledge-centered.

이 연구는 지식재산 분야의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는 NCS 기반 교육체계를 도입 운영하기 위해서 지식재산교육체제에 대한 만족도와 문제점, 지식재산 NCS(지식재산관리, 지식재산정보조사분석, 지식재산평가 거래)에 대한 교육요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재산교육체제에 대한 만족도는 교육내용(M=3.86), 강사(M=3.79), 강의방법 및 환경(M=3.66), 교육평가(M=3.5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선해야 할 문제점은 교육내용에 대해 내용 체계성 미흡과 산업현장 요구를 미반영하여 현업적용도가 낮은 것, 강사는 교육역량과 수강생과의 상호작용이 미흡하며 실무 능력보다 이론 지식을 강조하는 것, 강의 방법은 교육매체 활용성이 낮고 흥미 및 동기부여 방법이 미흡한 것, 평가방법은 이론 지식과 실무 능력의 목표 달성이 부족, 이론 위주로 평가를 실시한다는 것 등이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지식재산 NCS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지식재산평가 거래(요구도 평균=4.33), 지식재산관리(요구도 평균=3.68), 지식재산정보조사분석(요구도 평균=2.99)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NCS 기반 교육과정을 개편하거나 신규 개발하는 데 반영할 수 있도록 검토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기존 지식재산교육은 보통이상의 만족도를 보였지만 산업현장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이론보다 실무 능력을 높이는 직무 중심의 교육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지식재산 NCS를 도입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거나 신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공급자가 아닌 수요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 이론 지식이 아닌 수행 및 과정 중심의 평가방법 등의 변화된 교육 패러다임으로 지식재산교육이 개선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2016.7.22.).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확정.고시. 보도자료.
  2. 교육부, 고용노동부(2014.1.22). 국가역량체계(NQF) 구축을 위해 '14년부터 시범사업 추진. 보도자료
  3.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4). 능력중심사회 구축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도입 및 고교 직업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1단계 설명회 자료집.
  4. 유태수 외(2016). IP-NCS에 기반한 일반인 대상 지식재산 교육과정 개편 및 설계. 한국발명진흥회, 특허청.
  5. 이규녀, 박기문, 하홍준(2014). 지식재산 이러닝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연구. 지식재산연구, 9(4). 223-253.
  6. 이상돈 외(2013). 고등교육 인재정책 수립을 위한 인력수급 전망체제 구축 연구(II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정재삼(2006). 교육훈련 현업적용도 평가문항 및 매뉴얼 개발. 교육인적자원연수원.
  8. 조정윤 외(2003). 국가직무능력표준 관련 외국 사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주인중, 조정윤, 임경범(2010).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사업의 현안 및 정책방안. THE HRD REVIEW, 13(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한국발명진흥회(2016). 2016 NCS 기반자격 신구 대조 총괄표 자료집. 내부자료.
  11.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발명진흥회(2014).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활용패키지 소분류: 지식재산관리. 고용노동부.
  12.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발명진흥회(2015). 2015 산업계 주도 NCS기반 자격종목재설계, 인증기준, 검정(평가)기준 개발사업: 지식재산사무. 고용노동부.
  13.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발명진흥회(2016). 2016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활용패키지 소분류: 지식재산관리. 고용노동부.
  14.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15. Krejcie, R.V. & Morgan, D.W.(1970). Determining sample size for research activiti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0. 607-610. https://doi.org/10.1177/0013164470030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