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observation and analysis instrument for improvement of invention education activities

발명교육활동 관찰 및 분석 도구 개발

  • 임윤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 손영은 (한국발명진흥회 발명영재교육연구원) ;
  • 이동원 (부산교육대학교) ;
  • 조한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 Received : 2018.02.09
  • Accepted : 2018.03.20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bservation and analysis instrument for invention educational activitie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inventions. For this study, a draft of observation and analysis instrument was developed through review of literatures. It was validated through opinion gathering from 10 experts of invention educational expert opinion convergence based on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of Fehring (1987).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ame of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invention education activity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of observation object, observation phase and observation contents. Second, the instrument for observing and analyzing invention education activities are composed of analysts, observation subjects, observation class contents, teacher observation and analysis, student observation and analysi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ask observation and analysis. Third, the developed tools were designed to describe opinions and general opinions about individual observation factors besides the 5 - point Likert scal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educational activities will be improved in addition to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 monitoring of future invention education activities.

이 연구는 학교 및 발명교육센터 등에서 이루어지는 발명교육활동의 분석과 질적 제고를 위한 관찰 및 분석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관찰 및 분석 도구의 초안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발명교육현장 전문가와 발명교육연구 전문가 10인으로부터 의견 수렴을 통해 타당화 하였다. 전문가 의견수렴은 Fehring(1987)의 내용타당도 지수(CVI)를 근거로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활동의 관찰 및 분석의 틀은 관찰대상, 관찰단계 그리고 관찰내용의 3차원으로 구성된다. 둘째, 발명교육활동 관찰 및 분석의 도구는 분석자, 관찰 대상, 관찰 수업 내용, 교사 관찰 및 분석, 학생 관찰 및 분석, 교육환경과 과제 관찰 및 분석으로 구성된다. 셋째, 개발된 도구는 5점 리커트 척도 외에 개별 관찰요소에 대한 의견 및 종합 의견을 기술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발명교육활동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질적인 평가 외에 교육활동 개선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균, 이건환, 박성원(2017). '문제 만들기'활동을 통한 발명 교수. 학습자료 개발 방향 탐색.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8(9), 290-301.
  2. 강창숙(2014).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실습에서 나타난 언어상호작용의 관찰과 분석. 사회과교육연구, 21(3), 67-83.
  3. 강혜경, 은태욱, 김진수(2010). 중학교 기술.가정 1 교과서에서 '기술과 발명'단원의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0(2), 78-103.
  4. 김봉수(2006). 중학교 발명교실 담당교사가 인식하는 발명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동의수준과 중요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남윤석(2010). 예비특수교사의 수학 수업시연 관찰. 분석 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5, 211-228.
  6. 맹희주, 서혜애(2010). 발명영재교육 운영 체제별 초등 발명영재 수업 내용 및 수업 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29(1), 1-12.
  7. 문대영(2012). 초등 발명영재의 발명 아이디어 창출 과정.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2), 63-83.
  8. 문대영(2013). 발명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차별화 : 내용과 과정.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3). 77-90.
  9. 박광렬(2011). 발명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체제론적 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광렬, 최호성(2011). 발명 영재 교육기관의 교수.학습 실태 분석. 직업교육연구, 30(4), 281-300.
  11. 박세근(2008). 서울지역 발명교실의 교육과정 분석 및 운영 실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수진(2015).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팀 문제해결 과정에서 초등학교 발명영재의 학습활동 추이 분석. 실과교육연구, 21(4), 141-159.
  13. 박은경(2010). 발명영재와 수학영재, 과학영재 및 일반 학생의 창의적 특성 비교.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종식(1998) 지역 발명 교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성은현, 성소연, 김누리(2014).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 자기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영재와 영재교육, 13, 249-279.
  16. 안부금(2014). 유아과학수업의 효과적 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34(5), 5-29.
  17. 유미영(2008). 발명수업에서 교사와 초등학생의 상호작용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유승원(2011). 전라북도 발명교실의 교육과정 및 운영실태 분석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유지영, 문성환(2015).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생활과 기술" 단원에서의 발명교육요소 적합성 분석. 초등교육연구, 26(4), 291-310.
  20. 이경애(2012). 초등학교 발명교육을 통한 식생활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217-242.
  21. 이규녀, 이병욱(2014). 초. 중. 고에서의 발명-지식재산교육 핵심 학습 요소 편성 실태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 194-215.
  22. 이동원, 최유현(2014). 초등 발명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교과교육학적 내용지식(PCK) 형성과정 탐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4), 115-144.
  23. 이수정, 윤인경(2005). 중학교 가정 교과 수업 분석 연구I: 수업 관찰 체크리스트와 분석 틀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교육학회지, 17(2), 171-182.
  24. 이찬주, 이병욱, 이상현(2015).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 지식재산 교육 내용선정 및 조직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1), 1-22.
  25. 이철현(2013).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의 발명 관련 내용 분석. 실과교육연구, 19(3), 23-43.
  26. 이화진(2006). 교실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 분석과 자기.동료 장학. 연구자료 ORM 2006-7 <교사 컨퍼런스> 실행연구를 위한 수업분석과 자기장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26.
  27. 정진우(2015). 2009 개정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기술과 발명'단원 교육 내용 적정성 분석. 실과교육연구, 21(1), 75-91.
  28. 정진현(2012). 뇌기능을 통한 기술.가정 교과서의 '기술과 발명'단원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1), 107-129.
  29. 주삼환, 이석열, 김홍운, 이금화(2009). 수업관찰분석과 수업연구. 한국학술정보.
  30. 최승현, 황혜정(2005).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 : 중등학교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7(2), 193-219.
  31. 최은수, 김정렬(2018). FLint 수업관찰 분석을 통한 학년별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523-539.
  32.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2017). 2017년 발명교육 컨퍼런스. 170-171.
  33. 허인 외(2016). 제2차 국가지식재산 기본계획(안) 수립 연구. 한국지식재산연구원.
  34. 홍동희 외, (2017). 제1차 국가지식재산 기본계획('12-'16) 및 '16년도 시행계획 점검.진단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35. de Vries, S., van de Grift, W. J., & Jansen, E. P. (2014). How teachers' beliefs about learning and teaching relate to thei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s and Teaching, 20(3), 338-357. https://doi.org/10.1080/13540602.2013.848521
  36. Fehring, R. J. (1987). Methods to validate nursing diagnoses. Nursing Faculty Research and Publications, 27.
  37. Good, T. L & Brophy, J. E. (2000). Looking in classroom(8th Eds). Addison-Wey Educational Publish Inc.
  38. Van Tassel-Baska, J., Quek, C., & Feng, A. X. (2006). The development and use of a structured teacher observation scale to assess differentiated best practice. Roeper Review, 29(2), 84-92. https://doi.org/10.1080/02783190709554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