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Smart Farm' Model Product Manufacturing and Recognition of Model Manufacturing Lesson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by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예비기술교사를 대상으로 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모형 제작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스마트 농장' 제작 사례 분석

  • Received : 2018.02.05
  • Accepted : 2018.03.20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satisfaction of manufacturing lesson in the lesson of model product manufacturing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for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and we also analyzed 'smart farm' model production manufacturing among various products. The survey questionnaires with 8 questions to investigate satisfaction level of model manufacturing process, difficulties in manufacturing,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manufacturing lesson were collected from the 15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and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sson satisfaction average level of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was high(M=4.22) in model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smart farm' model making based on the IoT. Second,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of 'patent search and prior art search report writing education' was as high as 4.07.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prior art search report writing education' showed that it helped to make the product. Third, the best high satisfaction level in the model production manufacturing procedure was 'education of inventive thinking method'(M=4.40). Therefore, the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showed that the 'education of inventive thinking methods' was very helpful from the idea design to the optimal selection of idea. The next order of satisfaction level was high(M=4.33) in 'design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guidance through selection of professor who guide the production manufacturing in addition to professors who are in charge of lesson'. Because they were helpful in solving the lack of knowledge of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Fourth, satisfaction level with 'the presentation of model making results and exhibitions', 'presentations and participations of external event' was high (M = 4.13). Although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showed that they suffered from lack of knowledge in various technologies, but it was an opportunity to learn things and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기술교사를 대상으로 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모형 제품 제작 수업에서 제작 절차 및 전체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 제작한 제품 중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던 '스마트 농장' 모형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사물인터넷 기반 교육 프로그램 연구 및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만족도 분석을 위한 설문지는 모형 제품 제작 수업에 참여한 예비기술교사들에게 배포하였고, 얻어진 15명의 데이터는 통계프로그램(SPS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제작 절차 각각의 만족도 8개 문항, 제작 시 어려운 점, 제작 수업에 대한 만족도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농장' 모형 제작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내용 및 절차에 대한 예비기술교사들의 만족도 평균은 4.22로 높은 편이다. 이러한 이유는 제품 제작 절차가 제품 제작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특허 검색 및 선행기술조사보고서 작성 교육'에 대한 만족도 평균은 4.07로 높은 편이다. 그러므로 선행기술보고서 작성 교육은 제품제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모형 제품 제작 절차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은 문항은 '발명사고기법 교육'(만족도 평균 M=4.40)이었다. 따라서 예비기술교사들은 발명사고기법의 교육이 아이디어 구상에서 선정까지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그 다음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은 '설계 교육 및 상담', '수업 담당교수 외에 제품 제작 지도교수 선정을 통한 지도' 문항으로 평균이 4.33 이었다. 이는 예비기술교사들의 전공지식 부족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넷째, '모형 제작 결과 발표 및 전시회', '대외 발표 및 참가'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M) 4.13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스마트 농장' 모형 제품 제작을 마친 뒤 예비기술교사들의 면담 결과를 종합하면, 전공 지식의 부족으로 고생했지만, 많은 것을 배우는 기회가 되었고 제품 제작을 완성하고 성취감을 느꼈다고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고등학교 교육과정(I,II,III) 실과(기술.가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4], 637-642.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창조과학부, 2014). 초연결 디지털 혁명의 선도국가 실현을 비전으로 사물인터넷 국가전략 수립 보고서.
  3. 김기혁 외(2015). IoT(사물인터넷)를 연계한 고령층 IT 창업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9(11), 710-716.
  4. 노재규 외(2012). 생각키움 창의적 공학설계입문. 서울 : GS인터비전.
  5. 류갑상(2015). ICT 기반의 융합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모형 개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6(6), 75-80. https://doi.org/10.15207/JKCS.2015.6.6.075
  6. 서울시 정보기획단(2014). 사물인터넷(IoT)추진 기본계획. 서울.
  7. 서울시 정보기획관(2017). '17년 서울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추진계획 보고서. 서울.
  8. 서정현, 김영식(2012). 아두이노(Arduino)를 이용한 피지컬 컴퓨팅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6(2), 103-107.
  9. 심규헌, 이상욱, 서태원(2014). 아두이노를 활용한 STEAM 커리큘럼 설계, 적용 및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4), 23-32.
  10. 안영원, 오재인(2016). IoT 기술을 활용한 축산사료 측정방법 및 SCM 서비스 방안. 2016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360-367.
  11. 이원섭(2014). 실습 및 사례중심 창의공학설계. 서울 : GS인터비전.
  12. 이학용, 우호성, 김자미(2017). 생활 속 문제해결을 위한 프로그래밍과 피지컬 컴퓨팅 경험 사례.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1), 15-18.
  13. 전홍배(2015). 사물인터넷 기술의 개념, 특징 및 전망.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4(1), 7-19.
  14. 조준동(2015). 창의융합 프로젝트 아이디어북. 서울 : 한빛아카데미(주).
  15. 진보영(2014).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적용 사례 및 시사점. 전기산업, 9, 1-9.
  16. 채철주, 조한진(2016). 사물 인터넷 기반의 농업 융.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6), 49-54. https://doi.org/10.15207/JKCS.2016.7.6.049
  17. 황성일, 주종문, 주성용(2016). 수경인삼 식물공장 사례를 통한 ICT 기반 스마트 팜 팩토리 시스템. 한국통신학회 논문지, 40(4), 780-790.
  18. 스마트 과학관(2018). 사물인터넷. http://terms.naver.com/list.nhn?cid=58369&categoryId=58369에서 검색함(2018.1.31.).
  19. 스마트팜 정보공유 시스템(2018). 스마트팜. http://www.smartfarmkorea.net/main.do에서 검색함(2018.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