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elf-Reflecting Journal on Speaking Ability in the Communication Education for Science and Engineering

이공계 의사소통 교육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Kim, Haekyu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혜경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8.05.08
  • Accepted : 2018.09.04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d the effects of self-reflecting journal writing in speaking class on academic perform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o assess the effect, 27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from the "Speech and Life" class were asked to keep a self-reflecting journal. Pre and post-intervention surveys were conducted, followed by the analysis of learning effect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o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surveys, an additional survey on speaking ability was conducted at the same time and the change of the students' ability was assessed. Results showed that after writing self-reflection journals, participants' learning effect and satisfaction has increased, and their speaking performance was also improved.

Keywords

References

  1. 권순희(2010), 대인화법의 교수 학습 방법 모색, 화법연구, 16, 31-62.
  2. 김대영 외 12인 (2006),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9(2), 34-51.
  3. 김차종.김혜경(2017), Linux 교과목에서 성찰일지 적용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1(3), 475-481. https://doi.org/10.6109/jkiice.2017.21.3.475
  4. 김혜경.김차종(2016), 성찰일지 적용이 이공계 자기주도학습 학생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19(5), 65-71.
  5. 김혜경(2014), 이공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말하기'교육 방안 연구, 비평문학, 54, 121-147.
  6. 김혜경.최원영(2017), 이공계 글쓰기 교과목에서 성찰일지 작성과 피드백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20(3), 42-49.
  7. 민인기.김경애(2014), PBL과 전략적 텍스트를 활용한 이공계 말하기 교육 방법 모색, 사고와 표현, 7(2), 255-282.
  8. 박인숙.김미정(2012), 팀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치위생학회지, 12(5), 849-859.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5.849
  9. 서영진(2012), 작문활동에서 동료 피드백의견 유형별 수용도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5, 242-271.
  10. 서혁(2008), 국어과 교육 개선을 위한 교수 학습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33, 33-71.
  11. 성은미(2003), 고쳐쓰기 활동의 사례분석을 통한 작문 교육 연구, 국어교육연구, 35, 115-148.
  12. 송수지(2012), 성찰일지 적용 학습이 예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교육정보, 35, 199-229.
  13. 신희선(2014), PBL을 활용한 대학글쓰기 교육사례연구-성찰 일지를 통해 살펴본 글쓰기 동기부여전략, 교양교육연구, 8(1), 11-52.
  14. 엄미리(2010), e-포트폴리오 성찰일지 작성 활동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15. 유무언.김영식(2010), 성찰일지가 프로그래밍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동계 학술발표논문지, 14(1), 101-106.
  16. 유병민.전종철.박혜진(2013), 대학수업에서 개인적 성찰과 협력적 성찰이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4), 837-859.
  17. 이진남(2010), 이공계 학생들을 위한 대화와 협상-필요성과 방향모색, 사고와표현, 3(1), 107-128.
  18. 이진로(2015), 이공계 대학생과 이공계 분야 전문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평가와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커뮤니케이션연구, 23(3), 5-30.
  19. 진화봉.이순아.김회수(2003), 메타인지적 지식과 작동기억이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의 성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9(3), 119-148.
  20. 한국은.원상봉(2013), 국내 이공계 대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인식조사, 실천공학교육논문지, 5(2), 151-161. https://doi.org/10.14702/JPEE.2013.151
  21. 황순희(2012), 공학인 대상 <공적 말하기> 교육의 만족도와 학습자 요구 분석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5(3), 47-58
  22. Dewey, J. (1997), How we Think, Dover Publications, Inc.
  23. Kentridge, R. W. & Heywood, C. A. (2000) Metacognition and awareness. Consciousness and Cognition, 9, 308-312. https://doi.org/10.1006/ccog.2000.0448
  24. Zimmerman, B. J. (2002).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 (2), 64-70.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2_2
  25. Brummelen, Harro V.,(1998), Walking with God in the Classroom, Alta Vista College Press.
  26. Brown, A. (1987). Metacognition, executive control, self-regulation and other more mysterious mechanisms. In Weinert, F. E., & Kluwe, R. H. (Eds.).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Understanding(pp.65-115). Hillsdale, NJ: LEA.
  27. Baird, Fensham, Gunstone & White(1991),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in Improv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 (2), 163-182. https://doi.org/10.1002/tea.3660280207
  28. Flavell, J. H.(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The American Psychologist, 34 (10), 906-911. https://doi.org/10.1037/0003-066X.34.10.906
  29. Yilmaz-Tuzun, O., & Topcu, S. M. (2010),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metacognition, and constructivist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 (2), 255-273. https://doi.org/10.1007/s10972-009-9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