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순희(2010), 대인화법의 교수 학습 방법 모색, 화법연구, 16, 31-62.
- 김대영 외 12인 (2006),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9(2), 34-51.
- 김차종.김혜경(2017), Linux 교과목에서 성찰일지 적용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1(3), 475-481. https://doi.org/10.6109/jkiice.2017.21.3.475
- 김혜경.김차종(2016), 성찰일지 적용이 이공계 자기주도학습 학생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19(5), 65-71.
- 김혜경(2014), 이공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말하기'교육 방안 연구, 비평문학, 54, 121-147.
- 김혜경.최원영(2017), 이공계 글쓰기 교과목에서 성찰일지 작성과 피드백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20(3), 42-49.
- 민인기.김경애(2014), PBL과 전략적 텍스트를 활용한 이공계 말하기 교육 방법 모색, 사고와 표현, 7(2), 255-282.
- 박인숙.김미정(2012), 팀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치위생학회지, 12(5), 849-859.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5.849
- 서영진(2012), 작문활동에서 동료 피드백의견 유형별 수용도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5, 242-271.
- 서혁(2008), 국어과 교육 개선을 위한 교수 학습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33, 33-71.
- 성은미(2003), 고쳐쓰기 활동의 사례분석을 통한 작문 교육 연구, 국어교육연구, 35, 115-148.
- 송수지(2012), 성찰일지 적용 학습이 예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교육정보, 35, 199-229.
- 신희선(2014), PBL을 활용한 대학글쓰기 교육사례연구-성찰 일지를 통해 살펴본 글쓰기 동기부여전략, 교양교육연구, 8(1), 11-52.
- 엄미리(2010), e-포트폴리오 성찰일지 작성 활동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 유무언.김영식(2010), 성찰일지가 프로그래밍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동계 학술발표논문지, 14(1), 101-106.
- 유병민.전종철.박혜진(2013), 대학수업에서 개인적 성찰과 협력적 성찰이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4), 837-859.
- 이진남(2010), 이공계 학생들을 위한 대화와 협상-필요성과 방향모색, 사고와표현, 3(1), 107-128.
- 이진로(2015), 이공계 대학생과 이공계 분야 전문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평가와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커뮤니케이션연구, 23(3), 5-30.
- 진화봉.이순아.김회수(2003), 메타인지적 지식과 작동기억이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의 성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9(3), 119-148.
- 한국은.원상봉(2013), 국내 이공계 대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인식조사, 실천공학교육논문지, 5(2), 151-161. https://doi.org/10.14702/JPEE.2013.151
- 황순희(2012), 공학인 대상 <공적 말하기> 교육의 만족도와 학습자 요구 분석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5(3), 47-58
- Dewey, J. (1997), How we Think, Dover Publications, Inc.
- Kentridge, R. W. & Heywood, C. A. (2000) Metacognition and awareness. Consciousness and Cognition, 9, 308-312. https://doi.org/10.1006/ccog.2000.0448
- Zimmerman, B. J. (2002).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 (2), 64-70.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2_2
- Brummelen, Harro V.,(1998), Walking with God in the Classroom, Alta Vista College Press.
- Brown, A. (1987). Metacognition, executive control, self-regulation and other more mysterious mechanisms. In Weinert, F. E., & Kluwe, R. H. (Eds.).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Understanding(pp.65-115). Hillsdale, NJ: LEA.
- Baird, Fensham, Gunstone & White(1991),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in Improv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 (2), 163-182. https://doi.org/10.1002/tea.3660280207
- Flavell, J. H.(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The American Psychologist, 34 (10), 906-911. https://doi.org/10.1037/0003-066X.34.10.906
- Yilmaz-Tuzun, O., & Topcu, S. M. (2010),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metacognition, and constructivist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 (2), 255-273. https://doi.org/10.1007/s10972-009-9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