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of Play with Parents and Their Happiness

부모-자녀 놀이에 대한 자녀의 인식과 행복과의 관계

  • 이승미 (LG 광화문 어린이집) ;
  • 김희진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8.03
  • Accepted : 2018.11.22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arent-child pla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of play with parents and children's happiness. Methods: One hundred twenty 5-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parent reported the current status of play with their child and the researchers interviewed the children about their perceptions of play with parents and their happines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played with their child for about 52 minutes on weekdays and 2-3 hours on weekends. Mothers played longer with their child than fathers on all days. Parents perceived that they played with their child at average frequency and showed above average participation. Children perceived that their parents were actively playing with them and children enjoyed and were satisfied with their play with parents. Children were happier when parents spent more time playing with them in an engaging fashion, and when they enjoyed the nature of the pla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mplies the influence and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parent-child play on children's happiness.

Keywords

표 1. 연구대상의 특성

BOJGB2_2018_v14n6_89_t0001.png 이미지

표 2. 부모-자녀 놀이 현황

BOJGB2_2018_v14n6_89_t0002.png 이미지

표 3. 부모와의 놀이에 대한 유아의 인식

BOJGB2_2018_v14n6_89_t0003.png 이미지

표 3. 계속

BOJGB2_2018_v14n6_89_t0004.png 이미지

표 4. 부모-자녀 놀이 현황

BOJGB2_2018_v14n6_89_t0005.png 이미지

표 5. 부모와의 놀이에 대한 유아의 인식

BOJGB2_2018_v14n6_89_t0006.png 이미지

표 6. 부모-자녀 놀이 현황과 유아 행복의 관계

BOJGB2_2018_v14n6_89_t0007.png 이미지

표 7. 부모와의 놀이에 대한 유아의 인식과 유아 행복의 관계

BOJGB2_2018_v14n6_89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정원 (1993). 아버지의 놀이참여 형태와 유아 자신의 유능성 지각.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영실, 부정민 (2009).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14(1), 95-112.
  3. 구대희 (1998). 유아기 정서 행동 및 애착기능 발달의 유해환경요인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14(2), 157-174.
  4.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5. 김경은 (2011). 어머니의 우울, 양육효능감,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정서능력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8(4), 1-17.
  6. 김대우 (2017. 5. 8.). 육아휴직 사용하는 아빠 자녀 '양육역량' 더 높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70518000232에서 2018년 8월 12일 인출
  7.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 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3.
  8. 김성숙 (2013).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33(3), 377-400. doi:10.18023/kjece.2013.33.3.016
  9. 김은화 (2012). 영유아의 생활시간 및 부모-자녀 공유시간 실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현주 (2015). 활동 맥락에 따른 어머니-걸음마기 자녀간 갈등의 특성과 영아의 기질 및 애착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성혜 (2017).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4), 283-300.
  12. 박순하 (2014).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영애, 김리진 (2011). 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관련 인식 기초조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2), 37-56.
  14. 박영애, 김리진 (2012). 어머니가 지각하는 자녀의 놀이 현황 및 지원기대 분석.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5(2), 283-300.
  15. 송은혜 (2008).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및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성영화 (2005). 부모의 놀이참여도 및 일치도와 유아 감성지능과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신은수, 김은정, 유영의, 박현경, 백경순 (2011). 놀이와 유아교육. 서울: 학지사.
  18. 심윤희 (2011). 부모의 놀이성 및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원희영 (1997). 아버지의 놀이참여 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윤상인 (2011). 맞벌이 부모가 지각한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숙재 (1984). 유아의 상상 놀이와 제 변인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영석, 성영화 (2006). 부모의 놀이유형별 놀이참여도 및 일치도와 유아 감성지능과의 관계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37-159.
  23. 이윤진, 김아름, 임준범 (2016). 아버지 양육참여 실태 및 역량 강화 방안(연구보고 2016-16).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4. 이현지, 정혜욱 (2016).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1(4), 77-95. doi:10.16978/ecec.2016.11.4.004
  25. 임정란 (2002). 유아의 놀이유형별 아버지의 놀이참여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임형희 (2008). 부모의 놀이유형별 놀이참여수준과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전미경, 장재숙 (2009). 아동의 행복감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3), 103-118.
  28. 정계숙, 최은아, 강인설 (2008). 아동의 행복 상황 및 판단에 대한 조사 연구: 문화적 특수성 접근. 아동학회지, 29(6), 207-223.
  29. 채종옥, 이경화, 김소양, 김연진 (2010). 영유아를 위한 놀이지도. 파주: 양서원.
  30. 채혜경, 박리나 (2016).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 행복에 대한 이미지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5(3), 107-126.
  31. 최혜순, 김찬숙 (2011).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117-133.
  32. 홍용희, 김혜전, 전우용 (2014). 유아들의 그림에 나타난 행복한 경험에 대한 인식. 육아지원연구, 9(4), 131-158. doi:10.16978/ecec.2014.9.4.006
  33. Bakeman, R., & Brownlee, J. R. (1980). The Strategic use of parallel play: A sequential analysis. Child Development, 51(3), 873-878. doi:10.1111/j.1467-8624.1980.tb02625.x
  34. Carter, C. (2010). Raising happiness: 10 simple steps for more joyful kids and happier parents. New York: Ballantine Books.
  35. Clarke-Stewatt, K. A. (1989). Single parent families: How bad for the children? NEA Today, 7(6), 60-64.
  36. Damast, A. M., Tamis-LeMonda, C. S., & Bornstein, M. H. (1996). Mother-child play: Sequential interactions and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belief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7(4), 1752-1766. doi:10.1111/j.1467-8624.1996.tb01825.x
  37. Diener, E., & Oishi, S. (2000). Money and happiness: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across nations. In E. Diener, & E. M. Suh (Eds.),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pp. 185-218). Cambridge, Mass: MIT Press.
  38. Ginsburg, K. R. (2007). The importance of play in promoting healthy child development and maintaining strong parent-child bonds. Pediatrics, 119(1), 182-191. doi:10.1542/peds.2006-2697
  39. Hughes, F. (2003). Spontaneous play in the 21st century. In O. Saracho, & B. Spodek (Eds.),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21-39). Greenwich, Conn: Information Age Pub.
  40. Hughes, F. P. (2009). Child, play, and development(4th ed.). Thousand Oaks, CA: Sage
  41. Ivens, J. (2007). The development of a happiness measure for schoolchild. Educational Psychology in Practice, 23(3), 221-239. doi:10.1080/02667360701507301
  42. Labrell, F., & Simeoni, F. (1992). ZPD revisited: Parental presence may be enough.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Infant Studies, Miami.
  43. Liberman, A. F. (1977). Preschooler's competence with peer: Relations with attachment and peer experience. Child Development, 48(4), 1277-1287. doi:10.1111/j.1467-8624.1977.tb03932.x
  44.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803-855. doi:10.1037/0033-2909.131.6.803
  45. Martin, C. L., Eisenbud, L., & Rose, H. (1995). Children's gender-based reasoning about toys. Child Development, 66(5), 1453-1471. doi:10.2307/1131657
  46. Malchiodi, C. A. (2001). Understanding children's drawings, 아동미술심리이해(김동연, 이재연, 홍은주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1998).
  47. Pruett, K. D. (2000). Fatherneed: Why father care is as essential as mother care for your child. New York: Free Press.
  48. Seligman, M. E. (2009).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 fulfillment, 긍정심리학(김인자 옮김). 경기: 물푸레(원판 2002).
  49. Smilansky, S., & Shefataya, L. (1990). Facilitating play: A medium for promoting cognitive, socio-emotional and academic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Gaithersberg: Psychosocial and Educational Publications.
  50. Suh, E., Diener, E., & Fujita, F. (1996).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Only recent events matt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91-1102. doi:10.1037/0022-3514.70.5.1091
  51. Vailant, G. E. (2010). Aging well, 행복의 조건(이덕남 옮김). 서울: 프런티어(원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