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연구대상의 특성
표 2. 부모-자녀 놀이 현황
표 3. 부모와의 놀이에 대한 유아의 인식
표 3. 계속
표 4. 부모-자녀 놀이 현황
표 5. 부모와의 놀이에 대한 유아의 인식
표 6. 부모-자녀 놀이 현황과 유아 행복의 관계
표 7. 부모와의 놀이에 대한 유아의 인식과 유아 행복의 관계
References
- 강정원 (1993). 아버지의 놀이참여 형태와 유아 자신의 유능성 지각.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영실, 부정민 (2009).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14(1), 95-112.
- 구대희 (1998). 유아기 정서 행동 및 애착기능 발달의 유해환경요인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14(2), 157-174.
-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 김경은 (2011). 어머니의 우울, 양육효능감,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정서능력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8(4), 1-17.
- 김대우 (2017. 5. 8.). 육아휴직 사용하는 아빠 자녀 '양육역량' 더 높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70518000232에서 2018년 8월 12일 인출
-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 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3.
- 김성숙 (2013).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33(3), 377-400. doi:10.18023/kjece.2013.33.3.016
- 김은화 (2012). 영유아의 생활시간 및 부모-자녀 공유시간 실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현주 (2015). 활동 맥락에 따른 어머니-걸음마기 자녀간 갈등의 특성과 영아의 기질 및 애착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성혜 (2017).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4), 283-300.
- 박순하 (2014).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영애, 김리진 (2011). 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관련 인식 기초조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2), 37-56.
- 박영애, 김리진 (2012). 어머니가 지각하는 자녀의 놀이 현황 및 지원기대 분석.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5(2), 283-300.
- 송은혜 (2008).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및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성영화 (2005). 부모의 놀이참여도 및 일치도와 유아 감성지능과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은수, 김은정, 유영의, 박현경, 백경순 (2011). 놀이와 유아교육. 서울: 학지사.
- 심윤희 (2011). 부모의 놀이성 및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원희영 (1997). 아버지의 놀이참여 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상인 (2011). 맞벌이 부모가 지각한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숙재 (1984). 유아의 상상 놀이와 제 변인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영석, 성영화 (2006). 부모의 놀이유형별 놀이참여도 및 일치도와 유아 감성지능과의 관계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37-159.
- 이윤진, 김아름, 임준범 (2016). 아버지 양육참여 실태 및 역량 강화 방안(연구보고 2016-16).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이현지, 정혜욱 (2016).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1(4), 77-95. doi:10.16978/ecec.2016.11.4.004
- 임정란 (2002). 유아의 놀이유형별 아버지의 놀이참여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형희 (2008). 부모의 놀이유형별 놀이참여수준과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미경, 장재숙 (2009). 아동의 행복감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3), 103-118.
- 정계숙, 최은아, 강인설 (2008). 아동의 행복 상황 및 판단에 대한 조사 연구: 문화적 특수성 접근. 아동학회지, 29(6), 207-223.
- 채종옥, 이경화, 김소양, 김연진 (2010). 영유아를 위한 놀이지도. 파주: 양서원.
- 채혜경, 박리나 (2016).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 행복에 대한 이미지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5(3), 107-126.
- 최혜순, 김찬숙 (2011).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117-133.
- 홍용희, 김혜전, 전우용 (2014). 유아들의 그림에 나타난 행복한 경험에 대한 인식. 육아지원연구, 9(4), 131-158. doi:10.16978/ecec.2014.9.4.006
- Bakeman, R., & Brownlee, J. R. (1980). The Strategic use of parallel play: A sequential analysis. Child Development, 51(3), 873-878. doi:10.1111/j.1467-8624.1980.tb02625.x
- Carter, C. (2010). Raising happiness: 10 simple steps for more joyful kids and happier parents. New York: Ballantine Books.
- Clarke-Stewatt, K. A. (1989). Single parent families: How bad for the children? NEA Today, 7(6), 60-64.
- Damast, A. M., Tamis-LeMonda, C. S., & Bornstein, M. H. (1996). Mother-child play: Sequential interactions and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belief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7(4), 1752-1766. doi:10.1111/j.1467-8624.1996.tb01825.x
- Diener, E., & Oishi, S. (2000). Money and happiness: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across nations. In E. Diener, & E. M. Suh (Eds.),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pp. 185-218). Cambridge, Mass: MIT Press.
- Ginsburg, K. R. (2007). The importance of play in promoting healthy child development and maintaining strong parent-child bonds. Pediatrics, 119(1), 182-191. doi:10.1542/peds.2006-2697
- Hughes, F. (2003). Spontaneous play in the 21st century. In O. Saracho, & B. Spodek (Eds.),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21-39). Greenwich, Conn: Information Age Pub.
- Hughes, F. P. (2009). Child, play, and development(4th ed.). Thousand Oaks, CA: Sage
- Ivens, J. (2007). The development of a happiness measure for schoolchild. Educational Psychology in Practice, 23(3), 221-239. doi:10.1080/02667360701507301
- Labrell, F., & Simeoni, F. (1992). ZPD revisited: Parental presence may be enough.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Infant Studies, Miami.
- Liberman, A. F. (1977). Preschooler's competence with peer: Relations with attachment and peer experience. Child Development, 48(4), 1277-1287. doi:10.1111/j.1467-8624.1977.tb03932.x
-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803-855. doi:10.1037/0033-2909.131.6.803
- Martin, C. L., Eisenbud, L., & Rose, H. (1995). Children's gender-based reasoning about toys. Child Development, 66(5), 1453-1471. doi:10.2307/1131657
- Malchiodi, C. A. (2001). Understanding children's drawings, 아동미술심리이해(김동연, 이재연, 홍은주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1998).
- Pruett, K. D. (2000). Fatherneed: Why father care is as essential as mother care for your child. New York: Free Press.
- Seligman, M. E. (2009).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 fulfillment, 긍정심리학(김인자 옮김). 경기: 물푸레(원판 2002).
- Smilansky, S., & Shefataya, L. (1990). Facilitating play: A medium for promoting cognitive, socio-emotional and academic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Gaithersberg: Psychosocial and Educational Publications.
- Suh, E., Diener, E., & Fujita, F. (1996).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Only recent events matt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91-1102. doi:10.1037/0022-3514.70.5.1091
- Vailant, G. E. (2010). Aging well, 행복의 조건(이덕남 옮김). 서울: 프런티어(원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