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arents' Humor Styles on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부모의 유머스타일이 유아의 정서 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02.14
  • Accepted : 2018.12.03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humor style on their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Methods: Parental humor styles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measured in 306 parents and their 153 young children enrolled in a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459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used in producing basic statistics and a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program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ere found to use humor above the medium level in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especially societal humor. Second, societal, self-expansive, and self-defeating humors used by mother were found to predict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while the humor used by fathers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 parental use of humor is a common phenomenon these days and is aimed at creating more intimate parent-child inter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other's humorous interaction can bring about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 her child.

Keywords

표 1. 연구대상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BOJGB2_2018_v14n6_107_t0001.png 이미지

표 2. 유머 스타일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수 및 신뢰도

BOJGB2_2018_v14n6_107_t0002.png 이미지

표 3. 정서 표현성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BOJGB2_2018_v14n6_107_t0003.png 이미지

표 4. 아버지와 어머니의 유머 스타일 차이

BOJGB2_2018_v14n6_107_t0004.png 이미지

표 5. 부모의 유머 스타일과 유아 정서 표현성의 상관관계

BOJGB2_2018_v14n6_107_t0005.png 이미지

표 6. 어머니의 사회적 유머가 유아의 정서 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BOJGB2_2018_v14n6_107_t0006.png 이미지

표 7. 어머니의 자기확장 유머가 유아의 정서 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BOJGB2_2018_v14n6_107_t0007.png 이미지

표 8. 어머니의 공격적 유머가 유아의 정서 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BOJGB2_2018_v14n6_107_t0008.png 이미지

표 9. 어머니의 자기패배 유머가 유아의 정서 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BOJGB2_2018_v14n6_107_t0009.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연미 (2005). 위험생활사건과 유머 스타일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유화 (2009). 유아의 유머 특성 및 또래 관계 속 유머를 둘러싼 맥락적 요소와 의미에 관한 문화기술적탐구. 생태유아교육연구, 8(3), 151-174.
  3. 김지연, 정계숙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머감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생애학회지, 3(1), 59-77.
  4. 김진영 (2004). 유아들의 유머와 친구 관계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4(6), 113-133.
  5. 류현수 (2008). 유머활동경험이 정서지능 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아개념 및 유머이해도와 감지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8(1), 119-142. doi:10.18023/kjece.2008.28.1.006
  6. 박수영 (2010). 교사의 정서 표현성이 아동의 정서 표현성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일, 고영건 (2011). 대학생의 유머감각과 유머 스타일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1(1), 308-308.
  8. 박잎새, 남은영 (2015). 부부공동양육, 아버지 양육참여 및 유아의 정서 조절능력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4), 135-153.
  9. 박지선, 김인석, 현명호, 유재학 (2008).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우울, 스트레스 경험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71-581. doi:10.17315/kjhp.2008.13.3.002
  10. 박하얀, 정윤경, 최해연 (2015).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과 이에 따른 정서 표현성, 문제행동 및 심리적안녕감: 아동․청소년․성인집단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3), 189-207.
  11. 소은주 (2009). 부모의 정서사회화가 유아의 혼합정서이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소영 (2013). 아버지 역할이 나타난 TV광고 분석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4(5), 217-227.
  13. 손영지, 박성연 (201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 성격의 중재효과. 인간발달연구, 18(2), 125-144.
  14. 송하나 (2006). 부모의 정서 표현성이 아동의 애착 관계에 대한 내적 표상에 미치는 영향. 인간 발달연구, 13(3), 39-55.
  15. 신태화, 김명희 (2014). 상사의 유머가 상사의 신뢰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울 특1급 호텔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17(5), 55-75.
  16. 양승희 (2003). 정서 지능 수준에 따른 유머 활동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과 유머 이해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여은진, 이경옥(2009). 유아와 어머니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 및 유아 정서조절간의 구조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275-295.
  18. 오정민 (2012). 미술치료가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가진 아동의 정서표현과 조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2(2), 189-213.
  19. 오지현 (2013).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유안진 (1990). 한국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1. 유해미, 정주영, 양유진 (2013). 일․가정 양립을 위한 남성의 자녀양육 지원 실태와 개선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2. 윤경옥 (2011). 유머감각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학부모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윤보람 (2010). 부모의 정서사회화 행동이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강이, 최인숙, 성미영 (2007). 부모의 정서사회화와 유아의 정서성 발달의 관계. 아동학회지, 28(3), 187-199.
  25. 이덕로, 김태열 (2013). 상사의 유머가 부하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와 팀인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21(1), 29-63.
  26. 이자형, 김혜영 (2004). 학령전기 자녀 아버지의 양육행동. 부모자녀건강학회지, 7(1), 50-60.
  27. 이진화, 강은진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머감각과 자아탄력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1), 6576-6586. doi:10.5762/kais.2014.15.11.6576
  28. 임미화 (2011). CEO의 유머감각이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임영심, 전순한, 이경하 (2007). 유머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8(2), 165-184.
  30. 임태섭 (1999).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연구: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가치관: 전통과 변화.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7, 52-66.
  31. 장해순, 이만제 (2014). 유머감각과 유머 스타일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5, 308-334.
  32. 전경옥 (2008). 저소득가정 부모의 정서표현과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 및 감정조절능력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정윤경, 박보은 (2010).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4), 111-125.
  34. 조현지, 김욱영 (2005). 유머 종류에 따른 유머 선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성별,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1, 355-378.
  35. 최남정, 오정희 (2011). 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6, 45-67.
  36. 최명선, 최태산, 안재영 (2007). 청소년의 유머감각, 유머 스타일이 리더십기술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4(5), 149-167.
  37. 하정 (1997). 정서표현 성향과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 사고, 행동영역의 통합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한유미, 손경화 (2004).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1), 197-206.
  39. 허영주 (2010). 예비교사의 유머감각과 유머 스타일이 교사교육에 요구하는 변화. 교육방법연구, 22(2), 19-49. doi:10.17927/tkjems.2010.22.2.19
  40. 황혜신, 오연경 (2014). 부모의 유머 스타일과 아동의 정서성 및 또래유능성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2), 199-211. doi:10.6115/fer.2014.52.2.199
  41. Berlyne, D. (1972). Humor and its kin. In J. Goldstein, & P. McGhee (Eds.), The psychology of humor (pp. 43-60). New York: Academic Press. doi:10.1016/B978-0-12-288950-9.50008-0
  42. Brown, G. E., Wheeler, K. J., & Cash, M. (1980). The effects of a laughing versus a nonlaughing model on humor responses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29(2), 334-339. doi:10.1016/0022-0965(80)90024-7
  43. Cassidy, J., Parke, R. D., Butkovsky, L., & Braungart, J. M. (1992). Family-peer connections: The role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Child Development, 63(3), 603-618. doi:10.2307/1131349
  44. Denham, S., & Kochanoff, A. T. (2002). Parental contributions to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emotion. Marriage & Family Review, 34(3-4), 311-343. doi:10.1300/j002v34n03_06
  45. Fox, C. L., Dean, S., & Lyford, K. (2013). Development of a humor styles questionnaire for children. Humor, 26(2), 295-319. doi:10.1515/humor-2013-0018
  46. Hugelshofer, D. S., Kwon, P., Reff, R. C., & Olson, M. L. (2006). Humour's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attributional style and dysphoria.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20(4), 325-336. doi:10.1002/per.586
  47. King, L. A., &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864-877. doi:10.1037//0022-3514.8.5.864
  48. 5Kuiper, N. A., Grimshaw, M., Leite, C., & Kirsh, G. (2004). Humor is not always the best medicine: Specific components of sense of hum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umor, 17(1/2), 135-168. doi:10.1515/humr.2004.002
  49. Lyttle, Jim. (2007). The judicious use and management of humor in the workplace. Business Horizons, 50(3), 239-245. doi:10.1016/j.bushor.2006.11.001
  50. Malatesta, C. Z., & Haviland, J. M. (1985). Signals, symbols, and socialization. The Socialization of Emotions, 5, 89-116. doi:10.1007/978-1-4613-2421-8_5
  51. Martin, R. A., & Lefcourt, H. M. (1983). Sense of humor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stressors and mood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6), 1313-1324. doi:10.1037/0022-3514.45.6.1313
  52. Martin, R. A., Puhlik-Doris, P., Larsen, G., Gray, J., & Weir, K.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uses of humor and their relat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ment of the humor styles questionnair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7(1), 48-75. doi:10.1016/s0092-6566(02)00534-2
  53. McGhee, P. E. (1976). Children's appreciation of humor: A test of the cognitive congruency principle. Child Development, 47(2), 420-426. doi:10.2307/1128797
  54. Osborne, K., & Chapman, A. J. (1977). Suppression of adult laughter: An experimental approach. In A. J. Chapman, & H. C. Foot (Eds.), It's a funny thing, humour (pp. 429-431). Elmsford, NY: Pergamon. doi:10.1016/b978-0-08-021376-7.50084-x
  55. Parke, R. D. (2000). Father involvement a developmental psychological perspective. Marriage & Family Review, 29(2-3), 43-58. doi:10.1300/j002v29n02_04
  56. Piaget, J. (195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6(5), 413-414. doi:10.1037/h0052104
  57. Varga, D. (2000). Hyperbole and humor in children's language play.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4(2), 142-151. doi:10.1080/02568540009594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