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coration of Women's costume style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18세기부터 19세기까지 여성 복식스타일에 나타난 장식에 관한 연구

  • Son, Hyo-Rim (Dept. of Fashion Design,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ng-Mee (Dept. of Fashion Design,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 손효림 (부경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김정미 (부경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7.07.27
  • Accepted : 2018.02.19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women's costume style seen in 18th century to 19th century, and reason out a major decoration, then the formativ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decoration were analyzed. Research results are same as follows. Firstly, the style of women's costumes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includes the Rococo style, Polonaise style, Neo-classic style, Romantic style and Bustle-style. The main decorations shown in these styles are the gather pleats drape of Fold decoration, the flat embroidery quilting of embroidery decoration, and the ribbon braid fringe button feather and fur of attachment decoration. Secondly, the analyzed results found the formativ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decora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women's costumes. Fold decorations appeared as a voluminous property in the form of gown mantua jacket pelisse and dress. Especially, femininity and exaggeration were expressed through greatly inflated skirts. Embroidery decoration appeared as planarity by making patterns of gown mantua jacket stomacher overskirt coat dress shawl and dolman. Especially, exaggeration and extravagance were expressed through embroidered mantua surfaces with peony rose poppy primrose daffodil morning glory tulip leaf and lattice patterns in variety of colored silk threads. Attachment decorations were mixed with elements of heterogeneity added to jackets, coats, gowns, petticoats, stomachers, mantuas, pelisses, mantles, dolmans, capes, overskirts and dresses. In particular, exaggeration and extravagance strongly expressed through the decoration with white fox fur at the hemline, neckline and sleeves of cream colored silk dolman.

Keywords

References

  1. 고애란. (2008). 서양의 복식문화와 역사. 서울 : 교문사.
  2. 김문환. (2000). 미학의 이해. 서울: 문예출판사.
  3. 김민자. (2013). 복식미학. 서울: 교문사.
  4. 김민자, 최현숙, 김윤희, 하지수, 최수현, 고현진. (2010). 서양패션 멀티 콘텐츠. 서울: 교문사.
  5. 김양희, 김현주. (2012). 17-18세기 프랑스 서민복식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6(9), 901-915. https://doi.org/10.5850/JKSCT.2012.36.9.901
  6. 김영옥, 안수경. (2010). 서양복식문화의 현대적 이해. 서울: 경춘사.
  7. 김은영. (2001). 술 장식을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지영. (2004). 표면장식에 의한 의상디자인 연구: 봉제기법에 의한 입체적 표면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해순. (2002). 데님을 이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스티치 장식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나수임. (2012). 발렌티노 드레스에 표현된 꽃이미지의 입체적 장식기법.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3), 37-49.
  11. 남기은. (2008). 복식에 나타난 드레이퍼리 기법과 미적가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류경화, 김양희. (2014). 18세기 회화에 나타난 프랑스 궁정 여성복식의 색채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4(4), 83-100.
  13. 박기완. (1984). 복식용어사전. 서울: 유신문화사.
  14. 배수정. (2012). Marie Antoinette의 초상화를 통해 본 18세기 후기 여성 복식의 변화와 계몽주의 사상: 1770-1793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지, 62(1), 120-136.
  15. 백영자, 김윤희. (2010). 서양복식문화.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6. 신상옥. (2010).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17. 안병기. (2003). 패션전문용어의 이해. 서울: 경춘사.
  18. 안효진. (2008). 장식봉제 기법을 응용한 뉴 럭셔리 티셔츠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유송옥, 김경실, 간호섭. (2006). 패션디자인. 서울: 수학사.
  20. 이경옥. (2009). 부착 장식 기법에 의한 패션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나영. (2009). 현대 패션에 나타난 자수기법의 분석을 통한 디자인 개발 연구: 2000년 이후 패션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순홍. (2003). 서양복식사에 나타난 의상 장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1(1), 20-46.
  23. 이슬아. (2004). 패션에 나타난 비즈장식 디자인 연구: 2000년부터 2004년까지 Paris, Milan, New York, London 컬렉션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정화. (2007). 19세기 서양 남성복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로맨티시즘 경향과 특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경희. (2003). 비즈장식 기법을 응용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화연. (2007). 서양복식사에 나타난 남성복 장식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9(2), 31-48.
  27. 정희경, 이명희.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개더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6(3), 1-8.
  28. 정흥숙. (2009).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29. 조규화, 이희승. (2004). 패션미학. 서울: 수학사.
  30. 조규화. (1995). 복식사전. 서울: 경춘사.
  31. 차혜인. (2012). 1990년 이후 복식에 나타난 장식유형과 기법 분석: 뵐플린의 시형식을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주영. (2007). 리본 자수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타오샤, 권혜숙. (2012). 여성복 패션컬렉션에 표현된 플리츠 디자인의 특성: 2009년 F/W부터 2012년 S/S까지 밀라노, 파리, 뉴욕 컬렉션을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6(5), pp.57-73. https://doi.org/10.12940/jfb.2012.16.5.57
  34. 패션큰사전 위원회. (1999). 패션큰사전. 서울: 교문사.
  35. 편집부. (1997). FASHION 전문 자료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36. 한명숙. (1998). 복식표현의 위상. 서울: 경춘사.
  37. 함연자. (2005). 18-19세기 복식에 나타난 신고전주의 양식의 미적 가치. 한국복식학회지, 55(6), 125-140.
  38. Hart, A., North, S., Davis, R., & Davis, L. (2009). Seventeenth and Eighteenth-century Fashion in detail. London: V&A Publishing.
  39. Herbert, R. (2001). 디자인론(정시화 역). 서울: 미진사.
  40. Beatrice, B. (2013). 패션: 의상과 스타일의 모든 것(이유리, 정미나 역). 서울: 시그마북스.
  41. Blanche, P. (1988). 복식의 역사-고대 이집트에서 20세기까지(이종남, 안해준, 김선영 역). 서울: 까치.
  42. Colette, W. (2011). 패션 섬유 조형 예술(양경희 역). 서울: 에코모다
  43. James, L. (2010). 서양패션의 역사(정인희 역). 서울: 시공아트.
  44. Johnston, L. L. A., Kite, M., Davis, R., Davis, L., & Persson, H. (2009). Nineteenth-century fashion in detail. London: V&A Publishing
  45. Patrick J. I. (2004). 패션디테일(송정희 역). 서울: 예경.
  46. Victoria, E. (1988). 신체장식(임숙자 역). 서울: 경춘사.

Cited by

  1. 비신축성 직물의 고무 밴드 봉제 조건에 따른 신장 특성 분석 vol.45, pp.4, 2018, https://doi.org/10.5850/jksct.2021.45.4.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