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fashion companies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관한 연구

  • 정소정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이영주 (성신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Received : 2017.06.30
  • Accepted : 2018.02.21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fashion companies and discussed strategies of social enterpris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6 Korean fashion companies with sales over KRW 1 trillion as of the end of the term in 2015.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each company were investigated from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viewpo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ch company promoted win-win growth, co-existence management, transparent management and ethics management through economic activities. They pursued win-win growth and co-existence management, which aimed to respect and grow with their partners. Also, they ensured transparent management and ethics management to show their moral management. Second, each company conducted various social contribution programs as part of their social activities. Through the programs, they made donations, supported welfare and culture, and practiced voluntary work, local activities, training and equal opportunities. Third, as for environmental activities, each company tried to protect nature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donation to environmental organizations, environmental cleanup activities, environmental management from production to disposal, reuse, eco-friendly system, environmental volunteering, etc. Articles on fashion companie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have an influence on boosting their attitude and image towards businesses.

Keywords

References

  1. 강소영. (2015). 기업의 공공 정체성(Public Identity)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여선. (2013). 성인여성의 사장의복 현황과 의류폐기 원인 조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3(4), 61-84.
  3. 강유진, 이미아, 김현숙. (2016). 패스트패션 리테일링에서의 비주얼머천다이징 효과. 한국의류학회지, 40(4), 716-732. https://doi.org/10.5850/JKSCT.2016.40.4.716
  4. 김경희, 최명식. (2011). 지속가능한 발전의 사회구현 요소(3C, 3P, 3R) 분석과 트리플 바텀라인(TBL)의 융합을 통한 기업의 디자인경영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31, 321-332.
  5. 김문영, 김지은, 이영주, 최선형, 한동철. (2014). 패션마케팅. 서울: 동방문화사.
  6. 김봉은. (2012). 패션산업의 협업에서 패션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발전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이진. (2016. 9. 16). '패스트 패션'의 진짜 가격, 얼마입니까?. EBS뉴스. 자료검색일 2017. 6. 7, 자료출처 http://news.ebs.co.kr
  8. 김지은, 박서정, 이진화. (2016). 국내 패션 기업과 글로벌 럭셔리 패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비교.분: 기업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6(4), 3-69.
  9. 김진화. (2011. 5 .31). 사람.환경 살리는 '윤리적 패션' 아시나요. 한겨례신문. 자료검색일 2017. 6. 7, 자료출처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480691.html
  10. 나동규, 이정원, 나영주. (2014). 의류업체의 지속가능경영 TBL 구성요소와 기업평가 및 브랜드 이미지.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6(2), 293-300. https://doi.org/10.5805/SFTI.2014.16.2.293
  11. 박상아, 박재옥, 이지연. (2014). 환경의식, 사회책임적 의류소비태도와 패스트 패션 결과지각의 관계. 복식문화연구, 22(2), 225-239.
  12. 박성희, 오경화. (2014). 패션소비자의 환경지식, 친환경 태도가 친환경 패션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6(1), 91-100. https://doi.org/10.5805/SFTI.2014.16.1.91
  13. 박승배, 허종호. (2011).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제품 및 서비스 품질 평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 395-402.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395
  14. 사회공헌. 코오롱인더스트리. 자료검색일 2017. 6. 7, 자료출처 http://www.kolonindustries.com
  15. 사회공헌. LF mall. 자료검색일 2017. 6. 7, 자료출처 http://www.lfcorp.com
  16. 서해종. (2016). 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CSR)과 재무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석효정. (2015.) 패션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신뢰,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9(5), 656-671. https://doi.org/10.5850/JKSCT.2015.39.5.656
  18. 성희원, 김은경. (2010). 패션 산업의 그린마케팅 현황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3), 529-539. https://doi.org/10.5850/JKSCT.2010.34.3.529
  19. 신혜영. (2010). 의류 브랜드의 지속가능성 실천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60(9), 136-149.
  20. 안수경, 류은정. (2011). 국내 패션기업의 CSR 활동: 기업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5(4), 455-465. https://doi.org/10.5850/JKSCT.2011.35.4.455
  21. 윤병효. (2016. 4. 11). 급증하는 의류 폐기물, 재활용하니 '지구가 숨을 쉬네'. EBN 화학뉴스. 자료검색일 2017. 1. 1, 자료출처 http://www.ebn.co.kr/news/view/825142
  22. 윤승현. (2015).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이 기업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CSR 진정성 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윤초롱. (2016). SPA 브랜드의 친환경 활동 커뮤니케이션이 친환경 제품에 대한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2(1), 283-292.
  24. 이도은. (2016). 프라다 가방 빌려드려요, 패션도 공유경제.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16. 10. 2, 중앙일보, P. 21.
  25. 이랜드 동반성장. 이랜드. 자료검색일 2017. 6. 10, 자료출처 http://partner.eland.co.kr
  26. 이승용. (2017). 사회적기업의 구조화와 지속가능성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승희, 김보영. (2011). 사회책임적 패션 기업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1), 424-434.
  28. 이윤복. (2016).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은행 고객의 충성도 및 부정적 정보 저항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이용희. (2014). 패션 브랜드의 CSR영역과 단계에 따른 소비자 반응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재경. (2014).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법률적 접근. 일감법학, 28, 349-381.
  31. 이정민. (2009). 21세기 착한 기업의 도전과 과제. 패션정보와 기술, 6, 2-10.
  32. 이정임. (2010).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유형별 인지적 적합성이 추천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이지현, 이주현. (2013). 패션기업의 CSR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리적 소비주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18(3), 1-28.
  34. 이한준, 박종철. (2009).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제품 및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24(1), 231-250.
  35. 이현지. (2015). 환경의식에 따른 패스트패션 구매자의 의복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7(4). 550-560. https://doi.org/10.5805/SFTI.2015.17.4.550
  36. 장남경, 이준옥. (2014). 윤리적 패션 인증제도 구축을 위한 탐색적 조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4(2), 143-156.
  37. 전미연, 정혜정, 오경화. (2013). 의생활 윤리소비 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의생활 윤리소비의식과 일반적인 윤리소비지식 및 윤리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6), 932-941. https://doi.org/10.5805/SFTI.2013.15.6.932
  38. 전지현. (2011).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5(5), 547-560. https://doi.org/10.5850/JKSCT.2011.35.5.547
  39. 주신영, 하지수. (2016). 디지털 시대의 패션산업 시스템과 패션리더. 한국의류학회지, 40(3), 506-515. https://doi.org/10.5850/JKSCT.2016.40.3.506
  40. 채희주, 김신아, 테오나 거기차이쉴리, 고은주. (2017). SPA 브랜드의 지속가능 활동이 윤리의식과 브랜드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러시아의 H&M 비교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9(2), 207-220. https://doi.org/10.5805/SFTI.2017.19.2.207
  41. 최민경, 성희원. (2013).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2(1), 167-179. https://doi.org/10.5934/KJHE.2013.22.1.167
  42. 최세린, 최은희, 도월희. (2014). 국내 대학생의 패션의류제품 업사이클링 인식도 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6(1), 111-117. https://doi.org/10.5805/SFTI.2014.16.1.111
  43. 최진혁, 신상무. (2012). 패션산업 스트림에 따라 SCM 성공요인이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패션비즈니스, 16(2), 12-26. https://doi.org/10.12940/jfb.2012.16.2.012
  44. 패션부문CSR. 삼성물산. 자료검색일 2017. 6. 7, 자료출처 http://www.samsungfashion.com
  45. 한국 패션시장의 '16년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 세미나 자료. (2016. 7. 26). 한국섬유소재연구원. 자료검색일 2016. 9. 26, 자료출처 http://www.koteri.re.kr/board/content.asp?board_id=koteri_tecinfo&ref=2186&step=1
  46. 함께나눔. 이랜드그룹. 자료검색일 2017. 6. 7, 자료출처 http://www.eland.co.kr
  47. 홍경희, 양진옥, 이지수, 김영미, 이윤정. (2010). 해외 생산업체에 대한 국내 의류업체의 생산환경 및 근로기준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3), 291-301. https://doi.org/10.5805/KSCI.2010.12.3.291
  48. Alden Wicker. (2016. 9. 1). Fast Fashion Is Creating an Environmental Crisis. Newsweek. 자료검색일 2017. 6. 7, 자료출처 http://www.newsweek.com
  49. CSR. 신세계인터내셔날. 자료검색일 2017. 6. 7, 자료출처 http://www.sikorea.co.kr
  50. Incubating. 이랜드 인큐베이팅. 자료검색일 2017. 6. 7, 자료출처 http://www.incubating.or.kr
  51. UNIQLO CSR. 유니클로. 자료검색일 2017. 6. 7, 자료출처 http://www.uniqlo.com/kr/csr

Cited by

  1.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사회공헌활동으로서의 문화예술지원 vol.45, pp.3, 2018, https://doi.org/10.5850/jksct.2021.45.3.546
  2.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지속가능패션 연구 동향 분석 vol.29, pp.4, 2018, https://doi.org/10.29049/rjcc.2021.29.4.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