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연구모형
그림 2. 구조모형
표 1. 남편지지 요인분석
표 2. 남편지지, 우울의 신뢰도 분석
표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남편인식의 차이
표 4.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부부활동의 차이
표 5.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부모방문의 차이
표 6. 모형 적합도
표 7. 남편지지 요인이 우울과 결혼행복감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References
- 윤소영, 정유희, "핵가족 부부의 가족여가활동시간에 관한 연구: 자녀 학령기 가족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제1권, 제1호, pp.79-95, 2003.
- P. Voydanoff,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perceived work-family fit and balance: A demands and resources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7, No.4, pp.822-836, 2005.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5.00178.x
- 황원준, 정용균, 김종주, "정신과에 처음 내원한 환자의 6개월후 추적조사," 신경정신의학, 제34권, 제1호, pp.56-69, 1995.
- 김미례,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7권, 제3호, pp.669-682, 2006.
- 최의순, 이규은, "일부지역 중년여성의 우울 정도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5권, 제3호, pp.299-312, 1999.
- 이경미, 최윤경, 강이헌, 이민수, "지역사회 기혼 여성의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신경정신의학, 제43권, 제2호, pp.229-236, 2004.
- 양소남, "일하는 어머니의 일-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전략,"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03-126, 2011.
- 박은옥, "기혼취업여성의 배우자 역할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여성건강산호학회지, 제7권, 제1호, pp.80-92, 2001.
- M. E. Hughes and L. J. Waite, "Health in Household Contex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3, pp.1-21, 2002. https://doi.org/10.2307/3090242
- 박경, "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8권, 제3호, pp.511-524, 2003.
- J. A. Brommelhoff, K. Conway, K. Merikangas, and B. R. Levy, "Higher rates of depression in women: Role of gender bias within the family," Journal of Women's Health, Vol.13, pp.69-76, 2004. https://doi.org/10.1089/154099904322836474
- C. E. Cutrona, "A psychological perspective: Marriage and the social provisions of relationship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6, pp992-999, 2004. https://doi.org/10.1111/j.0022-2445.2004.00070.x
- G. W. Brown and T. Harris, "Social origins of depression : A study of psychiatric disorder in woman,"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Vol.8, No.4, pp.501-504, 1978.
- G. B. Spanier, "Measuring dyadic adjustment : New scal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Marriage and Family, Vol.38, pp.15-28, 1976. https://doi.org/10.2307/350547
- 권태연,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1호, pp.163-197, 2013.
- 강석임, 전희정, "기혼여성의 우울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제33권, pp.161-188, 2013.
- 이여봉,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연령범주별 분석," 한국인구학, 제33권, 제1호, pp.103-131, 2010.
- 이화진, 서은경, 정유림, 남인숙, 한삼성, "기혼직장여성의 가족적 지지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9권, 제2호, pp.69-79, 2015. https://doi.org/10.12811/kshsm.2015.9.2.069
- 호윤정, 오영아, 이명선, "보육형태와 가사노동분담이 기혼여성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제41권, 제2호, pp.77-87,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