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s and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 Comparison of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고령장애인 실태와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 1인가구와 다인가구 비교

  • Received : 2018.10.16
  • Accepted : 2018.11.19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s and determinant factors o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so as to provide sugges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 used the data on 8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452, 126 respondents of one-person households and 326 respondents of multi-person household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4.0 program and utilizing $x^2$test, ANOV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was man, married, mild disorder, physical external disorder, non-basis living security recipient, unemployment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3.27. Second, The one-person households group showed female, non-married, severe disorder, lower acceptance of disability, lower health status, higher help daily living activity, higher discrimination experience, unemployment, lower income, basis living security recipient, lower position than multi-person group. Third, acceptance of disability, health status, social activity, relig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health status, posi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person households. Base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 실태와 생활만족도를 분석하여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8차 장애인고용패널 자료를 활용하고, 연구대상은 1인 가구 126명, 다인가구 326명이다. 분석은 $x^2$,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는 남성, 유배우자, 경증장애, 신체외부 장애, 비수급자, 미취업자가 많고, 생활만족도 수준은 3.27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장애인 1인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여성, 무배우자, 중증 장애, 장애수용이 낮은 경우, 전반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필요하고, 차별경험이 많은 경우, 미취업, 낮은 월소득, 수급자, 주관적 소속계층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인가구 고령장애인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은 장애수용(p<.05), 전반적 건강상태(p<.05), 사회활동 참여도(p<.05), 종교생활(p<.05)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다인가구 고령장애인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은 장애수용(p<.001), 전반적 건강상태(p<.001), 주관적 소속계층(p<.05)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장애인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표 1. 주요변수

CCTHCV_2018_v18n12_272_t0001.png 이미지

표 2. 일반적 특성

CCTHCV_2018_v18n12_272_t0002.png 이미지

표 3. 생활만족도 수준

CCTHCV_2018_v18n12_272_t0003.png 이미지

표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집단 차이

CCTHCV_2018_v18n12_272_t0004.png 이미지

표 5. 심리건강요인에 따른 집단 차이

CCTHCV_2018_v18n12_272_t0005.png 이미지

표 6. 경제요인에 따른 집단 차이

CCTHCV_2018_v18n12_272_t0006.png 이미지

표 7. 사회요인에 따른 집단 차이

CCTHCV_2018_v18n12_272_t0007.png 이미지

표 8. 고령장애인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

CCTHCV_2018_v18n12_272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http://www.sedaily.com/NewsView/1S3IV70H2N, 2018.8.28.
  2. 김성희, 이연희, 오욱찬, 황주희, 오미애, 이민경, 이난희, 오다은, 강동욱, 권선진, 오혜경, 윤상용, 이선우,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3.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2017.
  4. http://www.sedaily.com/NewsView/1S3IV70H2N, 2018.8.27.
  5. R. A. Cummins, E. Gullone, and A. L. Lau, A Model of Subjective Well-Being, In E. Gullone & Cummins(Eds.), NY: Plenum Press, 2002.
  6. E. Diener, E. Suh, R. E. Lucas, and H. Smith,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1967-1997," Psychological Bulletin, Vol.125, pp.276-302, 1999. https://doi.org/10.1037/0033-2909.125.2.276
  7. 박주영, 오혜경, "독거가구 고령여성장애인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22권, pp.109-128, 2013.
  8. 권오균, "장애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9권, pp.7-31, 2008.
  9. 김형수, 장애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0. 서지혜, 나운환, 정다찬,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제12권, 제4호, pp.33-57, 2017.
  11. 권재숙, 김성진, "여성 고령장애인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발달장애연구, 제16권, 제2호, pp.23-45, 2012.
  12. 노승현, "중․노령 여성지체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비영리연구, 제6권, 제1호, pp.205-241, 2007.
  13. 이영미, "장애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노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간 비교를 중심으로," 장애인고용패널학술대회 자료집, pp.231-246, 2011.
  14. 이중섭, "장애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등록장애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47권, pp.187-212, 2010.
  15. R. M. Brager, The effects of chronic musculoskeletal conditions on quality of life in disabled older wome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00.
  16. S. Cho,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Using The Psychosocial Adaption to Chronic and Disability Model," The Gerontologist, Vol.55, No.2, p.366, 2015.
  17. 노승현, 김정석, 신유리, "고령장애인의 건강증진 장벽요인 및 촉진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제43권, 제3호, pp.67-79, 2017.
  18. 박용순, "고령장애인의 노후준비와 사회경제적 지위의 상태 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비판사회정책, 제52권, pp.45-82, 2016.
  19. 박현숙, 양희택, "장애노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3권, 제3호, pp.153-174, 2013.
  20. 송진영, "고령장애인의 노후준비와 사회경제적 지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7권, 제3호, pp.145-166, 2017.
  21. 송진영, 김형모, "고령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과 취업여부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1호, pp.199-225, 2014.
  22. 양희택, 서대석, "임금근로 장애노인의 고용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애인고용패널학술대회 자료집, pp.247-277, 2011.
  23. 조승하, 송진영, "고령장애인의 노후준비의 상태 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GRI연구논총, 제19권, 제1호, pp.157-184, 2017.
  24. 정문진, 이성규, "고령장애인의 경제적 및 건강 특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551-560,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551
  25. 편민숙, 장애노인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6. H. J. Kim, S. H. Hong, and M. O. Kim, "Living Arrangement, Social Connectedn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Results from the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Developmental & Physical Disabilities, Vol.27, No.3, pp307-321, 2015. https://doi.org/10.1007/s10882-014-9418-9
  27. M. Levasseur, J. Desrosiers, and L. Noreau, "Is social participation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26, No.20, pp.1206-1213, 2014. https://doi.org/10.1080/09638280412331270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