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용 목적에 따른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 연구

A Study on Chatbot Profile Imag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 투고 : 2018.08.10
  • 심사 : 2018.12.03
  • 발행 : 2018.12.28

초록

메신저 창에서 제공되는 AI 챗봇의 경우 프로필 이미지가 챗봇과 소통하는 첫 단계가 된다. SNS에서 인상관리 수단으로 이용되는 프로필 이미지는 챗봇의 경우에도 서비스에 대한 인상을 전달하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맞는 이미지를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목적과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와 표현 방식을 밝히고자 한다. 대화 자체가 중요시 되는 심심할 때와 심리상담을 목적으로 하는 인기 챗봇들의 사례를 분석 하여 프로필 이미지를 추출한 결과 사람, 로봇, 동물, 추상적 이미지로 유형이 구분되었다. 이 기준에 따라 텍스트 버전과 이미지 버전으로 선택지를 만들어 설문한 결과 심심할 때 텍스트 버전에서는 남녀 모두 사람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으나 이미지 선택지를 보고 고른 경우 남성은 여성과 로봇 이미지, 여성은 귀여운 의인화된 만화 캐릭터와 로봇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심리상담의 경우 남녀 모두 텍스트 버전에서는 사람을, 이미지 버전에서는 여성과 동물의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다. 종합해보면 심심할 때는 남녀의 차이가 분명히 드러난 반면 심리상담의 경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차이점은 사람 이미지를 제외하고 재미에서는 로봇, 심리 상담에서는 동물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표현 방식에 있어서 남녀 모두 실사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지만 여성의 경우 2D 그래픽으로 단순화된 이미지와 추상화된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가 남성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챗봇 서비스에서 긍정적인 인상을 제공하는 프로필 이미지를 설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In AI chatbot service via a messenger, a profile image of the chatbot is the first thing that users see to communicate with the chatbot. This profile image not only manages an impression about the profile owner in SNS on followers, but also makes an important impression about chatbot services on users. Thus motivated, this study investigates proper profile images tailored for the types of chatbot services and users. Specifically, I reviewed the preferred images and expressions of chatbots for each purpose of chatbot service. Then, in a case study, I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presentative chatbot profile images for the purpose of fun and counseling. The profile images are categorized as robot, human, animal, and abstract images. Based on these categories, I surveyed the preferred profile image of the chatbot service in either the text type or image type alternatives. For the purpose of fun, in the text version, I found that both men and women preferred a human image to others. However, in the image version, men preferred woman and robot images while women preferred cute animation character and robot images. For counseling services, both men and women preferred woman and animal images most,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text version of questionnaires as well. While both genders consistently preferred real photo images, women tend to like abstract images more than men do. I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develop the proper profile images of AI chatbot for each service purpose.

키워드

CCTHCV_2018_v18n12_11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성격 DISC 맵

CCTHCV_2018_v18n12_118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마사히로 이론에 따른 이미지 예시

CCTHCV_2018_v18n12_118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인크래더블 애니메이션

CCTHCV_2018_v18n12_118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삼성 이모지

CCTHCV_2018_v18n12_118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애플 미모지

CCTHCV_2018_v18n12_118_f0006.png 이미지

그림 6. 워봇

CCTHCV_2018_v18n12_118_f0007.png 이미지

그림 7. 테스

CCTHCV_2018_v18n12_118_f0008.png 이미지

그림 8. 와이사

CCTHCV_2018_v18n12_118_f0009.png 이미지

그림 9. 엘리

CCTHCV_2018_v18n12_118_f0010.png 이미지

그림 10. 허깅페이스

CCTHCV_2018_v18n12_118_f0011.png 이미지

그림 11. 미츠쿠

CCTHCV_2018_v18n12_118_f0012.png 이미지

그림 12. 리플리카

CCTHCV_2018_v18n12_118_f0013.png 이미지

그림 13. 에비봇

CCTHCV_2018_v18n12_118_f0014.png 이미지

그림 14. 심심할 때 선호하는 챗봇 프로필 이미지

CCTHCV_2018_v18n12_118_f0015.png 이미지

그림 15. 심리 상담할 때 선호하는 챗봇 프로필 이미지

CCTHCV_2018_v18n12_118_f0016.png 이미지

그림 16. 이미지 표현방식에서 남녀 선호도 차이

표 1. 챗봇 프로필 이미지 사례비교

CCTHCV_2018_v18n12_118_t0001.png 이미지

표 2. 설문응답자 구성

CCTHCV_2018_v18n12_118_t0002.png 이미지

표 3. 심심할 때 선호하는 이미지

CCTHCV_2018_v18n12_118_t0003.png 이미지

표 4. 심리상담할 때 선호하는 이미지

CCTHCV_2018_v18n12_118_t0004.png 이미지

표 5. 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 프로필 이미지

CCTHCV_2018_v18n12_118_t0005.png 이미지

표 6. 상담목적 챗봇 프로필 이미지 표현방식 선호도 차이

CCTHCV_2018_v18n12_118_t0006.png 이미지

참고문헌

  1. http://www.etnews.com/20171225000006
  2. 이경일, 챗봇(chatbot):제3의 물결, 흥국증권, 2017
  3. Z. Yu, Z. Xu, A. W. Black, and A. Rudnicky, "Strategy and policy learning for non-task-oriented conversational systems," In Proceedings of the 17th Annual Meeting of the Special Interest Group on Discourse and Dialogue, pp.404-412, 2016.
  4. H. Nguyen, D. Morales, and T. Chin, A Neural Chatbot with Personality, Stanford University working paper, 2017.
  5. www.roaconsulting.co.kr
  6. 이종윤, 홍장선, 윤주현, "카카오톡 프로필 이미지를 통한 다중적 자아의 유형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제26권, 제4호, pp.181-204, 2013.
  7. Q. Qian, M. Huang, and X. Zhu, "Assigning personality/identity to a chatting machine for coherent conversation generation," arXiv preprint arXiv:1706.02861, 2017.
  8. 강민정, "사용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319-329,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5.319
  9. 고미숙, "CMC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를 통한 인격적 관계 형성을 위한 교육," 도덕윤리과교육연구, 제36권, pp.85-113, 2012.
  10. 김희경, SNS 프로필 이미지와 소비자 광고태도의 상관성,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1. 김보섭, 이미지로 생각한다는 것 : 인터뷰로 본 디자이너의 사고 과정, 베란다, 2017.
  12. J. Ferguson and C. Fletcher, "An investigation of some cognitive factors involved in person-perception during selection interviews," Psychological Reports, Vol.64, No.3, pp.735-745, 1989. https://doi.org/10.2466/pr0.1989.64.3.735
  13. 강민지, SNS미디어에 표현된 자아유형의 인상 관리 정도에 따른 헬스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수용도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4. M. L. Antheunis, P. M. Valkenburg, and J. Peter, "Getting acquainted through social network sites: Testing a model of online uncertainty reduction and social attrac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6, No.1, pp.100-109, 2010. https://doi.org/10.1016/j.chb.2009.07.005
  15. T. Greitemeyer and I. Kunz, "Name-valence and physical attractiveness in Facebook: Their compensatory effects on friendship acceptance,"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53, No.3, pp.257-260, 2013. https://doi.org/10.1080/00224545.2012.741629
  16. 강영안, E. Levinas, 타인의 얼굴 :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5.
  17. M. B. Mathur and D. B. Reichling, "Navigating a social world with robot partners: A quantitative cartography of the Uncanny Valley," Cognition, Vol.146, pp.22-32, 2016. https://doi.org/10.1016/j.cognition.2015.09.008
  18. C. Misselhorn, "Empathy with inanimate objects and the uncanny valley," Minds and Machines, Vol.19, No.3, p.345, 2009. https://doi.org/10.1007/s11023-009-9158-2
  19. 정희진, 엄기서, "가상공간에 나타난 아바타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7권, 제1호, pp.319-331, 2001.
  20. 김남훈, 디지털 캐릭터의 UV(Uncanny Valley) 현상에 관한 연구 : 리얼리즘 기반의 CG 영화와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1. http://www.itworld.co.kr/tags/71722/AR%EC %9D%B4%EB%AA%A8%EC%A7%80/108478
  22. http://uk.businessinsider.com/therapy-chatbot -depression-app-what-its-like-woebot-2018-1 /#alison-darcy-a-clinical-psychologist-at-stanf ord-university-created-woebot-based-on-cogn itive-behavioral-therapy-which-encourages-pe ople-to-examine-how-they-react-to-challengi ng-situations-2
  23. https://www.theguardian.com/society/2018/apr /25/meet-tess-the-mental-health-chatbot-that -thinks-like-a-therapist
  24. https://www.techinasia.com/ai-chatbot-wysatouchkin- penguin
  25. https://www.theguardian.com/sustainable-business/2015/sep/17/ellie-machine-that-can-detect-depression
  26. https://www.technologyreview.com/s/603936/three-weeks-with-a-chatbot-and-ive-made-a-new-friend/
  27. https://venturebeat.com/2017/07/11/expressive-ai-launches-emotionally-responsive-avatars/
  28. https://futurism.com/ai-chatbot-meaningfulconversation/
  29. http://uk.businessinsider.com/best-ai-chatbots-online-robot-chat-2017-10
  30. 은희, 주은선, "내담자 변인과 상담형태에 따른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감 연구," 한국심리 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3권, 제1호, pp.51-77,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