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 on Walking and Positioning : Focusing 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Non-disabled

보행 및 위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배선영 (배재대학교 컴퓨터수학과)
  • Received : 2018.10.29
  • Accepted : 2018.11.12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In this study, I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in research on walking and positioning in Korea and to compare the results of researches on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Non-disabled. I selected 113 papers in order to know the current status of the study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features (publication year, academic journals, number of authors, keywords, research methods, research types, implementation methods, research support, references) and research themes and contents of domestic research on walking and positioning. As a result, there was no an upward trend in number of publications by the Visually Impaired compared to the Non-disabl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non-disabled, Research topics, types of research, implementation include various attempts of location-related technologies, and system development, improvement, stabilization, and accuracy, whereas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there were focused on development of systems, portable or attachable devic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n system improvement. Research support also showed that the non-disabled received various research support. Therefore, I suggested the need to continuously develop and improve the research, to diversify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types, to expand the research scope, to improvement fea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연구된 보행 및 위치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 대상의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여 시각장애인 대상의 연구의 현재를 바로 알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국내 논문 총 113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보행 및 위치에 관한 국내 연구의 개괄적 특징(게재 연도, 학술지 및 저자수, 키워드, 연구방법, 연구유형 및 구현방법, 연구지원, 참고문헌)과 연구주제 및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행 및 위치에 관련하여 비장애인 대비 시각장애인 대상의 논문 게재수의 연도별 증가추세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발행기관의 성격, 저자의 전공이나 저자수 등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연구주제와 연구유형, 구현형태로는 비장애인 대상의 경우가 보행 및 위치 관련 기술의 다양한 시도 및 시스템 개발, 개선, 안정화, 정확성 추구라면 시각장애인 대상의 경우에는 시각장애인의 일반적 특징을 반영한 시스템 개발이나 휴대, 부착이 가능한 단말기 중심의 연구였으며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연구지원에서도 비장애인 대상의 경우가 다양한 연구지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장애인 대상의 연구들의 지속적인 개발 및 개선, 연구주제와 연구유형의 다양화, 연구 조사범위의 확장과 타당도의 향상, 실질적 정책반영의 연구지원이 마련되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1_61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국가 및 사회에 대한 요구사항

CCTHCV_2018_v18n11_61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논문 게재 비율 비교

CCTHCV_2018_v18n11_611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연도별 연구 논문 게재수 추세

CCTHCV_2018_v18n11_611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연도별 연구 논문 게재수 비교

표 1. 장애인구 및 출연율

CCTHCV_2018_v18n11_611_t0001.png 이미지

표 2. 연도별 국내 학술 게재 논문 현황

CCTHCV_2018_v18n11_611_t0002.png 이미지

표 3. 연도별 논문 저자 현황

CCTHCV_2018_v18n11_611_t0003.png 이미지

표 4. 논문 제1저자 구분 현황

CCTHCV_2018_v18n11_611_t0004.png 이미지

표 5. 교신저자 구분 현황

CCTHCV_2018_v18n11_611_t0005.png 이미지

표 6. 논문 구분 현황

CCTHCV_2018_v18n11_611_t0006.png 이미지

표 7. 분석대상의 학술지 게재 현황

CCTHCV_2018_v18n11_611_t0007.png 이미지

표 8. 게재 논문별 키워드 현황

CCTHCV_2018_v18n11_611_t0008.png 이미지

표 9. 연구방법 현황

CCTHCV_2018_v18n11_611_t0009.png 이미지

표 10. 연구유형 현황

CCTHCV_2018_v18n11_611_t0010.png 이미지

표 11. 구현방법 현황

CCTHCV_2018_v18n11_611_t0011.png 이미지

표 12. 연구지원 구분 현황

CCTHCV_2018_v18n11_611_t0012.png 이미지

표 13. 참고문헌 편수 현황

CCTHCV_2018_v18n11_611_t0013.png 이미지

References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7.
  2. 배선영, "시각 장애인을 위한 Bluetooth 4.0 기반 의 실내 위치 추정 및 안내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 202-208,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202
  3. 양승호, 송지원, "시각장애인들의 길찾기 행위에 대한 연구 : 이동 보조기기 디자인의 가이드라인 도출을 위한 목적으로,"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제8권, 제1호, pp. 55-69, 2009.
  4. 김창기, 서정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네비게이션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 24-3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024
  5. 조열, 이미용, "형태인지능력 측정에 관한 연구-연상에 의한 윤곽선 인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4권, 제1호, pp. 371-381, 2003.
  6. B. Lowenfeld, "The visually Handicapped Child in school," New York, John Day, 1973.
  7. 송지원, 양승호, "시각장애인의 지팡이를 이용한 실내 보행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0권, 제1호, pp. 331-340, 2010.
  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시각장애인 보행편의를 위한 요구사항 분석 연구 최종보고서, 2015.
  9. 자주현, 최재학, 양승대, 장영건, "시각장애인용 보행자 길 찾기 시스템 구현,"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 36-38, 2016.
  10. Pablo-Alejandro Quinones, Tammy Greene, Rayoung Yang, and Mark Newman, "Supporting Visually Impaired Navigation : A Needs-finding Study," CHI 2011, May. 7-12, 2011.
  11. 이윤주,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연구 동향 : 1994-2013년 국내.국제 학술지 논문 비교," 상담학연구, 제16권, 제1호, pp. 51-71, 2015.
  12. 정동훈,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 1998-2008년 특수교육 및 재활 관련 학술지 중심으로," 지체. 중복.건강장애연구, 제52권, 제1호, pp. 157-178, 2009.
  13. 손지영, 정소라, 김동일, "국내 장애학생 고등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pp. 157-178, 2011.
  14. 박혜영, 조미란, 윤은정,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연구의 동향 : 1998-2017년 국내․국제 학술지 논문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 243-256,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243
  15. B. Berelson, Ca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ch Glencoe, III : Free Press, 1952.
  16. P. Gerbric and E. Stacey, “A purposive approach to content analysis : Designing analytical framework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 8, No. 1, pp. 45-59, 2005. https://doi.org/10.1016/j.iheduc.2004.12.003
  17. H. H. Kassarjian, “Content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Th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4, No. 1, pp. 8-18, 1977. https://doi.org/10.1086/208674
  18. 김사헌, 관광학연구방법강론, 서울 : 백산출판사, 2002.
  19. 정승원, "고용관련 환경요인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제3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pp. 179-208,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