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생들의 전통시장 먹거리 인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Food

  • 김호석 (가톨릭관동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투고 : 2018.10.22
  • 심사 : 2018.11.12
  • 발행 : 2018.11.28

초록

본 연구는 전통시장의 먹거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에 관하여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에 접근할 수 있는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가 되는 Q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 전통시장활성화를 위해 젊은층을 겨냥하여 다양한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통시장의 먹거리에 대한 인식을 유형별로 분류해서 이들 간의 특성을 알아보고, 향후 젊은층이 지속적인 방문을 할 수 있도록 마케팅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진술문 카드를 작성하여 P샘플을 선정하고 분류작업을 거치는 Q-sort를 PC QUANL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N= 21):추억추구형, 제 2유형(N= 6):지역문화자원추구형, 제 3유형(N= 5):지역성추구형으로 요인명을 설정하였다. 각 유형마다 서로 다른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각각의 주관적인 인식은 추후 다양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할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분류된 3가지 유형에 따른 각 각의 마케팅 전략수립을 통해 전통시장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물리적으로 낙후 되어있는 전통시장의 먹거리에 대한 대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하여 지역 관광자원으로써의 가치 있는 다양한 먹거리를 개발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 -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o approach deep and intrinsic meaning about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about food in traditional market. Recently, local governments have been developing diverse tourism products aimed at young people in order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In this study, we classify the perception of food in traditional market by university students, And to suggest strategic implications by using it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so that young people can visit in the futures. In order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subjective perception of traditional market food, Factor analysis was used to conduct an exploratory study. To do this, a Q-sort, Program, and Q factor analysis.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N = 21): Memories seeking type, the second type (N = 6): Local culture resource seeking type, the third type(N = 5). Each of these subjective perceptions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of the three types of classifications, the direction of traditional markets is presented, and a variety of food items that are valuable as local tourism resources are accommodated by accepting university students'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키워드

CCTHCV_2018_v18n11_27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각 진술문의 긍정 및 부정의견 점수분포방식

표 1. 분포별 점수 및 진술문 수

CCTHCV_2018_v18n11_277_t0001.png 이미지

표 2. 조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 및 유형별 인자가중치

CCTHCV_2018_v18n11_277_t0002.png 이미지

표 3. Q진술문의 유형별 표준점수

CCTHCV_2018_v18n11_277_t0003.png 이미지

표 4. 주요 유형별 아이겐값(eigen value)과 변량

CCTHCV_2018_v18n11_277_t0004.png 이미지

표 5. 각 유형간 상관관계계수

CCTHCV_2018_v18n11_277_t0005.png 이미지

표 6. 제 1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8_v18n11_277_t0006.png 이미지

표 7. 제 2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8_v18n11_277_t0007.png 이미지

표 8. 제 3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8_v18n11_277_t0008.png 이미지

참고문헌

  1. 이민우,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18권, 제2호, pp. 701-718, 2005.
  2. 김형길, 김윤정, "전통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과제," 유통연구, 제16권, 제5호, pp. 85-101, 2011.
  3. 성정연, 전선규, "수유시장의 재래시장 활성화전략 사례," 경영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pp. 51-82, 2009.
  4. 정호균, 김영태, 최규환, "관광객의 비계획 외식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36권, 제7호, pp. 75-94, 2012.
  5. 강성진, 도경록, 조록환, "지역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외국인 방문객 시장세분화 연구," 관광연구, 제29권, 제5호, pp. 177-197, 2014.
  6. 최인혁, 김훈구, "전통시장의 물리적 환경과 접근 편의성이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물류학회지, 제27권, 제6호, pp. 147-157, 2017.
  7. 김해용, 양동우,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경영 방안 연구,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8권, 제6호, pp. 165-176, 2017.
  8. 김흥렬, 허중욱, "IPA를 이용한 전통시장의 관광 매력성 분석," 관광연구, 제26권, 제3호, pp. 133-147, 2011.
  9. 권혁찬, 황보윤, "청년 창업을 위한 챌린지 숍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6권, 제1호, pp. 1-22, 2011.
  10.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간호학논문집, 제6권, 제1호, pp. 1-11, 1992.
  11. 선우동훈, "Q방법론에 의한 소비자행동 연구," 광고연구, 여름호, pp. 11-7, 1991
  12. 박경섭, "재래시장과 예술의 만남," 민족문화논총, 제49권, pp. 449-498, 2011.
  13.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 성과, 평가 결과보고서, 2014.
  14. 정민의, 전명숙, "재래시장의 쇼핑관광매력성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제7권, pp. 127-145, 2005.
  15. 심민섭, 장광집, "전통시장의 환경 개선을 위한 인식 현황에 관한 연구-역사문화도시 (서울특별시, 수원시, 강릉시, 청주시, 전주시, 경주시) 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7권, 제4호, pp. 189-203, 2016.
  16. 권혁성, 박윤구,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발전 방향," 산업경영논총, 제18권, 제1호, pp. 1-15, 2011.
  17. 조광익,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비교-관광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인가, 전통시장의 관광상품화 인가?," 관광연구논총, 제26권, 제4호, pp. 157-187, 2014.
  18. 남윤형, 류태창, 홍경구, 전통시장 지원정책 방향 재정립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010.
  19. 시장경영진흥원, 2012년도 전통시장 및 점포경영실태조사, 2012.
  20. 김도형, 지역 활성화를 위한 전통시장 육성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21. 이준엽, 안태기, "축제방문자의 먹거리 구매행도 예측에 대한 계획된 행동이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2호, p.12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