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pirituality Experience of Recovering Drug Addicts

회복기 마약중독자의 영성 체험에 관한 연구 -기독교·가톨릭인 회복자를 중심으로-

  • 임해영 (예명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학주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10.01
  • Accepted : 2018.11.06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In order to find out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support recovering drug addicts in a holistic way,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research participants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piritual experience of recovering drug addicts. According to data analysis, these spirituality experiences appeared as two thematic themes: 'experience of relationship with a divine being' and 'experience of inherent transcendence'. Three sub-themes of 'fear and scary existence', 'hanging object' and 'embracing existence' were derived from the essence theme of 'experience of relationship with a divine being' and 'immanent transcendental experience' was conceptualized into four sub-themes: 'facing existence', 'psychological reconstruction', 'mental maturity', and 'a way to go alone'. Based on this, spiritual experiences of recovery drug addicts showed that religion itself exerte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ir spiritual experience and their spiritual experience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covery of humanity. Also, 'intrinsic transcendental experience' suggested that two essential themes of spiritual experience were closely interrelated in a mutual cyclical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s the major intervention plan for the recovery drug addicts that the social welfare system can consider.

이 연구는 회복기 마약중독자의 영성 체험의 의미를 총체적으로 이해하여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이들의 영성 체험은 '신적 존재와의 관계 체험', '내재적 초월 경험'이란 2가지 본질 주제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적 존재와의 관계 체험'이란 본질 주제는 '두렵고 무서운 존재', '매달리는 대상', '품어주는 존재'란 3가지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내재적 초월 경험'은 '실존의 직면', '심리적 재구성', '정신적 성숙', '혼자서가야 하는 길' 이란 4가지 하위 주제로 개념화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이 연구는 회복기 마약중독자들의 영성 체험은 종교 그 자체가 이들의 영성체험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 이들의 영성체험은 인간성 회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신적 존재와의 관계 체험'과 '내재적 초월 경험'이란 영성 체험의 2가지 본질적 주제가 상호 순환적 관계 속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계가 숙고해 볼 수 있는 회복기 마약중독자들을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표 1. 연구 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8_v18n11_98_t0001.png 이미지

표 2. 회복기 마약중독자들의 영성체험의 본질적 의미

CCTHCV_2018_v18n11_98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이해국, 이보혜, "4대 중독원인 및 중독예방정책," 보건복지포럼, 제200호, pp. 30-42, 2013.
  2.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국가 중독예방 관리 및 서비스 전달체계 개발,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3. 강선경, 문진영, 양동현, "마약중독에서 탈출한 회복자들의 자기 삶 재건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질적 사례연구접근-," 재활복지, 제20권, pp. 87-111, 2016.
  4. 정재원, 마약중독자 재활시스템 및 신종마약 연구, 법무부, 2014.
  5.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마약관련 통계자료, 2015.
  6. 최주혜, "중독과 영성," 신학과 실천, 제47권, pp. 349-372, 2014.
  7. E. Canda and L. Furman, Spiritual diversity in social work practice(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8. 신승환, "현대 철학에서 영성 이해의 가능성," 가톨릭철학, 제25호, pp. 97-128, 2015.
  9. 신승환, "현대 철학에서 영성 이해의 가능성," 가톨릭철학, 제25호, pp. 97-128, 2015.
  10. R. Moos and B. Moos, “Paths of entry into Alcoholics Anonymous: effects on participation, perceived benefit, and outcome,” Alcohol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Vol. 29, No. 10, pp. 1858-1868, 2005. https://doi.org/10.1097/01.alc.0000183006.76551.5a
  11. 박애란, 알코올 의존자의 회복경험 : 삶의 거듭남,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2. 천덕희, A.A.를 통해 회복중인 알코올중독자들 의 경험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3. 강준혁, 도박중독자의 회복과정과 실존체험,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4. 심수현, 도박중독의 회복과정에서 영성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5. 최송식, 이솔지,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영성을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0권, pp. 418-448, 2008.
  16. 김세봉, 변상해,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논문지, 제12권, 제1호, pp. 447-459, 2011.
  17. 최은미, N.A 자조 모임을 통한 마약의존자의 회복경험 탐색, 평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8. 박차실, A.A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회복 초기의 중독적 사고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19. 강준혁,이혁구, "단도박자의 감각 회복 체험," 사회복지연구, 제47권, 제4호, pp. 121-150, 2016.
  20. W. Miller and C. Thoresen. "Spirituality, religion, and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Vol. 58, No. 1, pp. 24-35, 2003. https://doi.org/10.1037/0003-066X.58.1.24
  21. W. Miller, "Researching the spiritual dimensions of alcohol and other drug problems, Addition," Vol. 93, No. 7, pp. 979-990, 1998. https://doi.org/10.1046/j.1360-0443.1998.9379793.x
  22. P. Richards and A. Bergin,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religious diversity, 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
  23. M. Swora, “The rhetoric of transformation in the healing of alcoholism: The twelve steps of alcoholics anonymous,” Mental Health, Religion & Culture, Vol. 7, No. 3, pp. 187-209, 2004. https://doi.org/10.1080/13674670310001602445
  24. P. Borman and D. Dixon, “Spirituality and the 12 steps of substance abuse recovery,” J of Psychology and Theology, Vol. 26, No. 3, pp. 287-291, 1998. https://doi.org/10.1177/009164719802600306
  25. S. Avant, L. Warburton, and A. Margolin, “Spiritual and religious support in recovery from addition among HIV-positive injection drug users,” Journal of Drugs, Vol. 33, No. 1, pp. 39-45, 2001.
  26. L. Green, M. Fullilove, and R. Fullilove, “Stories of spiritual awakening: The nature of spirituality in recovery,”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Vol. 15, No. 4, pp. 325-331, 1998. https://doi.org/10.1016/S0740-5472(97)00211-0
  27. R. Fiorentine and M. Hillhouse, "Drug treatment and 12-step program participation: The additive effects of integrated recovery activities,"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Vol. 18, pp. 65-74, 2000. https://doi.org/10.1016/S0740-5472(99)00020-3
  28. S. Carroll, "Spirituality and purpose in life in alcoholism recover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 54, pp. 297-301, 1993. https://doi.org/10.15288/jsa.1993.54.297
  29.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 응용현상학의 지평, 한길사, 2014.
  30.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3.
  31. 김영천, 이현철, 질적연구: 열다섯 가지 접근, 아카데미프레스, 2017.
  32. 임해영, 김학주, 윤현준, "회복기 마약중독자의 직업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생명연구, 제48권, pp. 207-265, 2018.
  33. A. Giorgi,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psychology: A modified Husserlian approach, Duquesne University Press Pub., 2009.
  34. 김성민, "현대 사회의 종교적 상황과 종교의 분석심리학적 의미," 신학과 실천, 제48호, pp. 171-145, 2016.
  35. 윤현준, 약물의존자의 회복체험 연구-인간되어감 방법론을 적용하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6. 김경미, "사회복지사의 영성(Spirituality)교육프로그램 참여 후 변화 경험 연구:임상사목교육 (CPE)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 537-54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