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Composition and Strength of Lime-Soil Mixture Barrier Tombs at Guri Galmae Site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구리 갈매유적 회곽묘의 조성 및 강도분석

  • Lee, Chan 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Eo, Eon Il (Hanrim Conservation & Technology) ;
  • Shin, Sook Chung (Hangang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17.02.22
  • Accepted : 2017.05.15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omposition and variable strength measurement using physicochemical and petrographic analysis for lime-soil mixture barrier tombs of Guri Galmae site in Joseon Dynasty. The tomb barriers are composed mainly of microcrystalline calcite, quartz, feldspar and mica with lime matrix. The lime matrix shows compact sheet texture, and some samples show hydration aggregates with needle-shaped textures. Gypsum occurred as a secondary process where carbonization reactions were poor. Concentrations of CaO in the tomb barrier very widely ranged from 4.43 to 36.19 wt.%, specific gravity and absorption ratio of the materials show of 1.35 to 1.62 and 20.1 to 32.6%, respectively. As the rebound hardness, the materials ranged from 10.0 to 28.4 (mean 15.7). The values are higher in the $-90^{\circ}$ direction rather than in the $0^{\circ}$ direction with the consequence that the values indicate more strength toward the vertical direction. Difference in strength by directions was caused by the directions of the tomb barriers, which is related to the processes in each stage. In the tomb barriers, ultrasonic velocity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ranged from 1,049.2 to 1,728.9m/s and under 5.00MPa, respectively. Variation patterns between the two are very similar in values. As the result of composition and strength, the materials of higher contents on CaO are higher in strength values. Generally, techniques and skills to make the lime-soil mixture barriers are interpreted as low qualities in relatively.

본 연구는 구리 갈매유적 회곽묘의 회곽을 대상으로 물리화학적 및 암석광물학적 분석을 통해 성분 및 재질특성을 밝혔으며 다양한 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회곽의 대부분에서는 은미정질의 방해석과 함께 석영, 장석 및 운모가 동정되었으며 주로 석회기질로 구성되어 있다. 석회질 기질은 판상의 치밀한 조직을 보이고 일부 시료에서는 침상조직의 수화물이 나타나며, 탄산화반응이 불량한 부분에서는 이차적으로 생성된 석고가 관찰된다. 회곽의 CaO 함량은 4.43~36.19wt.%의 넓은 범위에서 확인되며, 비중은 1.35~1.62의 범위에서, 흡수율은 20.1~32.6%를 보인다. 반발경도는 10.0~28.4(평균 15.7)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90^{\circ}$ 방향이 $0^{\circ}$ 방향에 비해 높은 값을 보여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높은 강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방향에 따른 강도차이는 회곽의 조성에 방향성이 있기 때문이며 이는 단계별 제작과정과 관련이 있다. 초음파속도는 1,049.2~1,728.9m/s의 범위이며, 일축압축강도는 5.00MPa 이하로서 양자의 유구별 변화경향은 유사하다. 회곽의 성분과 강도를 비교한 결과, CaO 함량이 높을수록 높은 강도를 보이나 차이는 크지 않으며, 전반적인 제작기술과 숙련도는 비교적 낮았던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주, 2007, 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미라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동양학> 40
  2. 김유미, 2009, 조선시대 무덤의 미라와 분변석에서 출토된 기생충알에 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75
  3. 김을용, 1987, 콘크리트 비파괴시험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전개방대학 논문집> 6, pp.45-50
  4. 김한상, 2013, 조선시대 회곽묘의 변용에 관한 소고 -이단굴광묘의 발생과 관련하여- <백산학보> 95, pp.179-207
  5. 김현우, 2012, 조선시대 회곽묘 편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2
  6. 박선규.김민정.김규용.권영진.김무한, 1997,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추정을 위한 반발도법 -초음파속도법 및 복합법의 적용성 검토-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pp.3-8
  7. 박원규.김문성, 2008, 충북 영동 성산 배씨 문중 목관의 연륜연대 분석 <호서고고학>, pp.148-165
  8. 박형동.황지호.김성수, 1999, 안동지역 매장문화재 중 매장 지반재료의 공학적 특성 <보존과학회지> 8, pp.51-57
  9. 서만철.송인선.최희수, 2002, 초음파 속도분석을 통한 불국사 다보탑 구조안전 진단 <지구물리학회지> 5, pp.199-209
  10. 서용수.이영은, 2012, 심설묘 출토유물에서 발현되는 VOCs 및 냄새물질의 특성 평가 <보존과학회지> 28, pp.63-73
  11. 신은석.이지성.박승희.한상훈, 2014, 반발경도와 초음파속도를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강도 예측 기술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지> 18, pp.118-125
  12. 연길환.윤석천.송인춘, 1987, 반발도법과 초음파 속도법의 복합법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측정 <대한건축학회지> 3, pp.161-168
  13. 오준석.유혜선.윤은영, 2004, 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염습의에 부착된 회백색 물질의 동정 <보존과학회지> 16, pp.21-26
  14. 원영수.전찬기, 1998, SEM에 의한 시멘트 경화메카니즘의 기초적 연구 <부천대학논문집> 9, pp.47-67
  15. 이찬희.조영훈.전유근, 2009, 석조문화재 풍화도 평가를 위한 초음파 측정의 설정과 직접.간접전달방법의 상관관계 <보존과학회지> 25, pp.233-244
  16. 이찬희.조지현.김지영, 2016, 조선시대 예산 목리유적 회격묘의 재질 및 제작특성과 석회의 산지 해석 <보존과학회지> 32, pp.471-490
  17. (재)한강문화재연구원, 2014, <구리 갈매 보금자리 주택지구 내 문화재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pp.1-28
  18. 조영훈, 2011, 비파괴 정밀기술을 활용한 석조문화재의 물리적 손상도 평가와 구조안정성 진단,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469
  19. 지상현.정용재.서민석, 2008, 분묘 유적지 출토 인골에 대한 고고유전학 연구 <문화재> 41, pp.99-108
  20. Goodman, R.E., 1989, Introduction to Rock Mechanics

Cited by

  1. 성남 고등 공공주택지구 출토 회격묘 과학적 보존처리 vol.22, pp.None, 2017,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9.22.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