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s in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between Children who are raised at their own homes and those raised at the residential institutions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행복요인 차이

  • 김선숙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통상복지학부 사회복지전공)
  • Received : 2017.08.11
  • Accepted : 2017.09.05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differences in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between children who are raised at their own homes and those raised at the residential institutions. This study used two kinds of data sets, one from survey on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suppor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other from survey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 conducted by Social welfare research center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Save the Childre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children raised at their own homes and children raised at residential institutions i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satisfaction with him/herself,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However, there is higher satisfaction with family in children raised at their own hom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higher satisfaction with community in children raised at residential institutions. There are difference factors effec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between the two groups. Most of all, satisfaction with him/herself is very important factor to improve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residential care.

본 연구는 양육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가정에서 거주하고 있는 아동(일반아동)과 주관적 행복감을 비교하여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반아동 자료는 한국아동의 삶의 질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2,597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시설아동의 자료는 전국의 236개의 아동양육시설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참여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조사참여에 동의한 총 141개 기관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아동 246명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문제, 아동의 주관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두 집단에서 서로 다른 수준을 보일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 자기자신에 대한 만족, 가족에 대한 만족, 학교에 대한 만족,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두 집단에서 차이를 보일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다집단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 자신에 대한 만족, 학교에 대한 만족은 시설아동이나 일반아동의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가정에 대한 만족은 일반아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은 시설아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경로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 이르는 경로 중 자신과 학교에 대한 만족이 주관적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와 자기자신에 대한 만족에 이르는 2개의 경로 즉,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이 자신에 대한 만족에 이르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