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raised in their own hom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행복요인 차이 (Differences in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between Children who are raised at their own homes and those raised at the residential institutions)

  • 김선숙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3호
    • /
    • pp.233-253
    • /
    • 2017
  • 본 연구는 양육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가정에서 거주하고 있는 아동(일반아동)과 주관적 행복감을 비교하여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반아동 자료는 한국아동의 삶의 질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2,597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시설아동의 자료는 전국의 236개의 아동양육시설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참여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조사참여에 동의한 총 141개 기관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아동 246명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문제, 아동의 주관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두 집단에서 서로 다른 수준을 보일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 자기자신에 대한 만족, 가족에 대한 만족, 학교에 대한 만족,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두 집단에서 차이를 보일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다집단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 자신에 대한 만족, 학교에 대한 만족은 시설아동이나 일반아동의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가정에 대한 만족은 일반아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은 시설아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경로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 이르는 경로 중 자신과 학교에 대한 만족이 주관적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와 자기자신에 대한 만족에 이르는 2개의 경로 즉,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이 자신에 대한 만족에 이르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 산업 사회에 있어서 40대 중산층 주부가 지각한 가정 생활의 제 문제 (A Study on the Family Life Issues Percieved by the Middle-Class Housewives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 옥선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5-154
    • /
    • 199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find out overall family life issues percieved by the middle-classhousewives in their forties. 2) To examine detailed aspects related to middle years crises, leisure activities, children issues, family economy issues, and housing issues. 3) To clarify solutions to, and provide basic data on family issues raised by the middle-class families. The middle-class housewives in their forties living in the Seoul area were the subject of the survey. The sample size analysed in this study was 422. Data were analysed by the frequency, mean, percentile, standard deviation, X2-test,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and Scheffe-test as a post-hoc analysi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class housewives tend to give more importance on children issues, especiall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development. Second, family cohesion of middle-class families is comparatively high and intra-familial conflict is low, and middle years crisis of housewives is comparatively low, too. Third, the stability of middle-class families can be found in household economic management patterns. one fourth of the families own stocks and two fifths of the families own real estate except their own dwelling house. Be based on their property income add to their labor income, middle-class families are showed their economic stability, however, intra-class inequality is found, too. Fourth, the great part of middle-class families that possess their own house, tend to be unsatisfied with their housig scale, and a half of the families expect to enlarge their housing scale for more comfortable and convient liv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