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Between Cross-Culture Exchange and Communication(Negotiation) of Korean Youth

한국청년의 이문화 변화와 커뮤니케이션 관계와의 실증적 연구

  • Lee, J. Hong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Chosun University)
  • 이제홍 (조선대학교 경상대학 무역학과)
  • Received : 2017.08.27
  • Accepted : 2017.09.15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cultural values of the traditional way and the current cultural values of young people are very different, and the rejection of cross-cultural contact is greatly reduced because Korean young people easily accommodate other cultures of the US, Europe or Asia. At present, the cultural values of the traditional way and the current cultural values of young people are very different, and the youthfulness of Korean young people easily accepts other cultures of the US, Europe or Asia, so the resistance to cross - cultural contact is greatly redu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younger Korean youths are forming the change of the foreign culture and how the negotiation will proceed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se cultu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Korean young people have collectivism cultural rights and that they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search that there is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tendency of opposition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at the Koreans have a strong orientation, a high power interval, and strong masculinity.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in Korean culture that belongs to the high background culture, Korean young people tend to be centered in the past and decision makers tend to decide by the chief executive. On the other hand, Korean young people were denied all the verifiable cultural attributes that cultural properties and communication that maintain openness to share space exposures and office space are non - verbal, tacit communication and time observation are very long and uncertain.

시대환경변화에 따라 각국의 젊은이들은 다양한 문화를 습득하기 때문에 공통적인 문화를 형성하며, 타국의 문화를 쉽게 수용할 수 있다. 이에 기존의 선행연구 즉, E. T. Hall(1959)의 고배경문화와 저배경문화 그리고 Hofstede(1991)의 5개 차원(권력거리, 불확실성회피, 개인 또는 집단주의, 남성성 또는 여성성, 장기적지향성)을 기본으로 하여 한국의 젊은 청년들은 이문화변화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들 이문화 형성에 따른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예측모형을 도출하여 미래의 한국 통상협상 모형을 재정립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인 젊은이는 집단주의 문화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확실성 회피 성향이 있다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한국인은 장지지향성이 있으며, 권력간격이 매우 높으며, 남성주의가 강할 것이라는 실증분석 결과 반대의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대체적으로 한국 젊은이의 이문화 변화 유형은 남성주의보다는 여성주의 경향이 강하며,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측면보다는 가정적인 측면으로 변화함에 따라 권력간격이 낮은 유형으로 변모하고 있다. 또한 장기지향적인 성향이 아니며, 즉각적인 어떠한 사안에 즉각적인 반응과 해결하고 하는 유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석, "중국인 꽌시(關係)의 구성요소와 곤경사례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문제연구소, 중국연구, 제37권, 2006, p.268.
  2. 고민정.강재정.서용건, "이문화 인지도에 따른 외래 관광객에 대한 태도 연구: 서귀포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경영문화, 제42권, 2013, pp.321-345.
  3. 권종욱.김학조, "한국과 중국 종업원의 세대간 직무가치관 분석,"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0, pp.1-20.
  4. 김미정.왕려원.박문서, "글로벌비즈니스 협상의 신뢰수준별 차이: 한-캐나다인의 대중국 협상 문화 비교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7권 제3호, 2015, pp.155-176.
  5. 김미정.채대석, "한중일 비즈니스 협상과 문화의 고찰", 통상정보연구, 제12권 제2호, 2010, pp.409-438.
  6. 김기홍, 한국인은 왜 항상 협상에 지는가, 굿인포메이션, 2001.
  7. 김병국, 상대를 내 편으로 만드는 협상기술, 서울 : 더난출판, 2002.
  8. 김순임, "이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에 대한 고찰", 독일언어문학 제29집, 2009, pp.97-129.
  9. 김유경, "문화거리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거리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국제지역연구, 제8권 제3호, 가을호, 2004, p.35.
  10. 김지용, "협상의 상황적 제약이 협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무역계약 상황을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제11권 제2호, 2009, pp.329-342.
  11. 김진학.김현종, "문화적 측면의 국제협상 연구방법론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 제25권,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0, pp.31-55.
  12. 박양순, "다문화사회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한중일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제27권, 2009, pp.67-86.
  13. 박종돈, "M&A 협상성과에 기업간 문화차이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8권 제2호, 2006, pp.229-247.
  14. 서대원, 글로벌 파워매너, 중앙북스, 2008, pp.16-17.
  15. 신유근, 한국의 경영, 서울: 박영사, 1993.
  16. 신인아, "유고슬라비아의 문화변동과 한국인의 이문화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인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제39권 2001, pp.14-23.
  17. 안세영.홍성민, "문화간 태도 진단성이 협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협상연구, 제10권 제2호, 2004, pp.49-71.
  18. 오세철, 문화와 사회심리이론: 조직행동이론의 재구성, 서울: 박영사, 1982.
  19. 이규태, 한국인의 의식구조(속), 신원문화사, 1983.
  20. 이승영.이종화, 글로벌경영, 도서출판보명, 2006, p.253.
  21. 이정아.최영봉, "다국적 기업의 문화지향성과 리더쉽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4건 제3호, 2012, pp.351-379.
  22. 이종건․박헌준, "한국인의 협상전술에 관한 탐색적 연구," 협상연구, 제10권 제1호, 2004.
  23. 이지훈․이종구, "교차문화적 협상과 협상행태에 따른 특성요인 연구," 유라시아연구, 제6권 제3호, 2009, pp.18-38.
  24. 이학종(1998), 한국기업의 구조조정과 새 조직문화개발, 서울: 박영사, 1998.
  25. 임영철, 한국어와 일본어 그리고 일본인과의 커뮤니케이션, 태학사, 2008.
  26. 최윤희, "이문화관리와 문화적 가변성의 차원에 관한 일 고찰,"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국제지역연구, 제7권 제4호, 2003, p.212.
  27. 황재영.(1999). "바람직한 협상문화 정착을 위한 시론 : 한국인의 협상문화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간관계학보, 제4권 제1호, pp.163-177.
  28. 態谷, 依賴の仕方一國硏岡崎調査のデータから, 日本語學, 14-10, 1995.
  29. Adler, Nancy International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Behavior, Cultural Difference Studies, South Western Press, 2002, p.60.
  30. Barry, B. and R. A. Friedman, "Bargainer Characteristics in Distributive and Integrative Negoti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4, 1988, pp.345-359.
  31. Baumer, Thomsa, Handbuch Interkulturelle Kompetenz, Zurich: Orell Fussli Verlag AG, 2002.
  32. Brady, L. P., The Politics of Negotiation, Chapel Hill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1.
  33. Dodd, C. F., "International Readiness Assessment for Pro-departure Candidates," Journal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tudies, Vol.16, No.2, 2007, pp.1-17.
  34. Dodd, C. F., Dynamics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5th ed. New York: McGraw Hill, 1998.
  35. Donald N. Clark, Cultural and Customs of Korea, Greenwood Press, 2000, pp.30-36.
  36. Edward T. Hall, Beyond Culture, Garden City, NY: Doubleday, 1976, p.79.
  37. Eun Yeong Na, "International Communication Perspectives in International Negotiation,"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and Social Issues, Vol. 2, No. 1, 1995, pp.199-226.
  38. Geert Hofstede,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CA: SAGE, 1980).
  39. Geert Hofstede, Cultures and Organization, Software of the Mind, London: McGraw-Hall, 1991, p.12.
  40. Goldberg, L. R., "Language and Individual Differences: The Search for Universal in Personality Lexicon. In Wheeler, L(Ed.),"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2, 1981, pp.141-165.
  41. Hall, E.T., The Silent Language, NY: Doybleday, 1959.
  42. Hall, Edward(1976), Beyond Culture, Garden City, NY: New York.
  43. Hofstede G.,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London: McGraw-Hill, 1991.
  44. Hofstede, Culture's Consqence: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h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2nd ed., London: Sage Publication, 2001, p.87.
  45. Hofstede, G.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CA:SAGE, 1980.
  46. Hofstede, G. "Problems Remain but Theories Will Change: The Universal and the Specific in the21st Century Global Management." Organizational Dynamics. Vol. 27. 1999.
  47. Hofstede, G., "Cultures Consequences", McGraw-Hill, 1980.
  48. Hofstede, G. H. and Bond, M. H., "The Confucius Connection: From Cultural Roots to Economic Growth", Organizational Dynamics, Vol.16, No.4, 1988, pp.4-21.
  49. Hofstede, G., Hofstede, G. J., and Minkov, M.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mind:intercultural cooperation and its importance for survival, 3rd Edition. NY: McGraw-Hill, 2010.
  50. Hwang Hae-Jin and Hwang Ye-Kyung, "A Study on Koreans' Barriers in the Intercultural Business Communications from the Foreigners' Viewpoint Focused on international Meeting of Multinational Companies,"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Vol.17, No.1, 2008, pp.73-91.
  51. Hyong In Kim, "The Origins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U.S. and Korea: A Comparative Study of Cultural Codes,"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2008, pp.83-105.
  52. Jean Johnson and John Cullen, "Trust in Cross-Cultural Relationship," Martin Gagnon and Karen Newman (ed), The Blackwell Handbook of Cross-Cultural Management, 2002, Blackwell, p.345.
  53. Jee-Hoon Lee and Jong-Gu, Lee, "A Study on Characteristic Factors by Cross-Cultural Negotiating and Negotiating Behavior," The Journal of European Studies, Vol.6, No.3, 2009, pp.17-38.
  54. Kluckhohn, F. R. and Strodtbeck, F. L., Variations in Value Orientations, Evanston, IL: Row, Peterson, 1961.
  55. Larry A. Samovar and Richard N. Porter,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Belmont, CA Wadsworth, 1995, p.100.
  56. Park Sang Nam, "The Need of Cross-culture Management for Korean in Central Asia,"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Vol.12, No.2, 2008, pp.113-132. https://doi.org/10.18327/jias.2008.07.12.2.113
  57. Park, Hun-Joon, "Theoretical Challenges and Perspectives on Business Negotiation," Yonsei Business Review, Vol.44, No.2, 2007, pp.181-211.
  58. Samovar, L. and Porter, R.(1995).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Wardsworth Publishing Company, p.98.
  59. Samovar, L. and Porter, R., Communication between Cultural(4th ed.),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2001.
  60. So Yeon Lee and Bum Soo Chon, "Factors in Discriminating SNS Users in Korea," Information and Policy, Vol.19, No.4, 2012, pp.46-6.
  61. Suk-hyon Kim, "Korean Cultural Codes and Communication," International Area Review, Vol.6, No.1, 2003, pp.104-106.
  62. Triandis Harry, "Generic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Martin Gagnon and Karen Newman (ed), The Blackwell Handbook of Cross-Cultural Management, 2002, Blackwell, 2002, p.33.
  63. Wilson, S. R. and L. L. Putnam, Interaction Goals in Negotiation, In Anderson, J(ed.), Communication yearbook 13: 374-406. Newbury Park,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