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among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이 대인관계 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박미정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
  • 오두남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7.08.24
  • Accepted : 2017.10.19
  • Published : 2017.11.28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of college students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222 students attending two universities located in C and S cities between June 1 and June 10, 2016, and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subjects were found to be 2.13 out of 1~5 point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perceived home economy level, and leisure activities. Second, communication skill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Third, in relation to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sex, grade,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family economic level and leisure activity was 26.7%, and communication skills further explained 18.4%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Fourth, in relation to subjective happiness, the explanatory power of subjective gender,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family economic level and leisure activity was 33.0%, and communication skills further explained only 0.3% of subjective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munication-related education can be used as a major intervention strategy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mprove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이 대인관계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6년 6월 1일부터 10일까지 C와 S시에 소재한 2곳의 대학에 재학 중인 22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의사소통 기술은 점수가능범위 1~5점 중 2.13점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지각된 가정경제 수준과 여가활동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의사소통 기술은 대인관계 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대인관계 만족도에 대한 성별, 학년, 학업성취도, 지각된 가정경제 수준 및 여가활동 여부의 설명력은 26.7%였으며, 의사소통 기술은 대인관계 만족도를 18.4% 추가적으로 설명하였다. 넷째,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성별, 학업 성취도, 지각된 가족경제 수준 및 여가활동 여부의 설명력은 33.0%였으며, 의사소통 기술은 주관적 행복감을 0.3% 추가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만족도 및 행복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의사소통 관련 교육이 주요 중재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E. H.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orton, 1968.
  2. 조명주, "간호대학생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82-190,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2.182
  3. Y. K. Kim, "Development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happiness through reframing family of origin emotional health,"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Vol.11, pp.35-60, 2009.
  4. U. Kim, Y. S. Park, M. U. Kim, K. Lee, and H. S. Yu,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and life satisfa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adolescents, adults, and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5, No.1, pp.119-145, 2000.
  5. S. Miller, "Definition of happiness: 'I have what I consider the best job," Managed Care, Vol.25, No.11, p.23, 2016.
  6. 이수정, 안신호,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에 관한 연구 개관," 심리과학연구, 제4권, pp.123-143, 2005.
  7. D. W. Lee, Happiness research on welfare policy implications; The 5th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07.
  8. 배순원,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9. 이민선, 채규만,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 효과," 인지행동치료, 제12권, 제1호, pp.63-75, 2012.
  10.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4학년도 신입생 특성조사 주요결과,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pp.1-6, 2014.
  11. 권진희,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표현성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제14권, 제1호, pp.37-49, 2011.
  12. 송민선, 안효자, 정영해,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의료커뮤니케이션, 제5권, 제1호, pp.40-48, 2010.
  13. S. Trenholm and A. Jens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6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4. 정계선, 김경아, 성지아,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3호, pp.413-422,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3.413
  15. F. Heider,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John Wiley & Son, 1964.
  16. B. H. Spitzberg and W. R. Cupach,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Springer-Verlag, 1989.
  17. 구자경,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와 치료적인 요인 지각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제7권, 제1호, 2006.
  18. 정경진, 최한나, "비폭력대화 모델에 기초한 집중형 의사소통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인관계능력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인간이해, 제32권, 제1호, pp.1-16, 2011.
  19. 전정미, 유미숙,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정서지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제27권, 제3호, pp.225-240, 2006.
  20. 김말선, "의사소통훈련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교정상담학연구, 제1권, 제1호, pp.79-101, 2016.
  21. 정추영, 서영숙, "융복합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 연구, 제15권, 제5호, pp.271-280, 2017.
  22. 이헌석, 최은희, 황미영,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갈등해소양식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2호, pp.1-22, 2009.
  23. 김여흠, 이윤주,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불안, 공감, 사회적 기술, 분노표현양식,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구조모방정식 모델 검증,"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1587-1604, 2013.
  24.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5. 허선영, 초등 영재의 의사소통 능력과 리더십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6. 안상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무조건적인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7. 유현숙, 고장완, 임후남,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종합적 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학습과정요인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9권, 제4호, pp.319-337, 2011.
  28. 문새롬,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9. 김정윤, 박현숙, "간호대학생의 행복감 관련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7권, 제1호, pp.545-559, 2015.
  30. 남문희, 이미련, "간호대학생의 건강행태,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가 주관적 행복지수에 미치는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0호, pp.363-374,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10.363
  31. 최순이, 영화치료를 적용한 의사소통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갈등해결방식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2. 송정애, 장정순,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가족기능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제1호, pp.119-144, 2010.
  33. J. A. Devito,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ook(10th ed.), Person Education, 2004.
  34. 주지선,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5. Y. N. Ko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achievement, career decision, and learning styles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13, No.3, pp.215-234, 2005.
  36. 박현숙, 권복순,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48-56,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