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숙명여자대학교
DOI QR Code
This paper illuminates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appropriateness(中節) in Yi Yik(李瀷) and Shin Hudam(愼後聃)'s theories of moral emotion. According to this paper,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in Toegye Yi Hwang (退溪 李滉)'s philosophy. That is, How we could regulate the relation between Four Beginnings(四端) and appropriate Seven Feelings(七情). Yi Yik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elucidating philosophical significances of appropriate Seven Feelings as it were, one hand, he approved the morality of appropriate Seven Feelings, and on the other hand, differentiated appropriate Seven Feelings from Four Beginnings. Thereby He achieved to explain this problem. His solution was dependent on the concept of 'impartial sympathic spectator' that he suggested. It is valuable that Yi Yik reexamined the ethical meaning of appropriateness. His pupil Shin Hudam, however, criticised Yi Yik's opinion and identified Four Beginnings with appropriate Seven Feelings. Shin Hudam deconstructed the conceptual scheme of moral emotion suggested by Yi Yik and regarded appropriate Seven Feelings as Four Beginnings. According to Shin Hudam, the concept of appropriate Seven Feelings designed by Yi Yik was very ambiguous, actually there was no any dividing line between Four Beginnings and appropriate Seven Feelings. Both are equally moral principle manifestation(理發)and moral public(公). Now old concept category of moral emotion(Sadan and Chiljeong) was disappeared and new concept category of moral emotion was appeared, that is public and private.
이 논문은 이익과 신후담의 사칠론에서 중절의 철학적 함의를 해명하고 있다. 논문에 따르면, 퇴계의 사단칠정론에서 사단과 중절한 칠정 사이의 관계 규정은 곤란한 문제로 남겨졌다. 이익은 중절한 칠정의 의미를 새롭게 분석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는 중절한 칠정의 도덕성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사단과 차별적이라는 점을 철학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공정무사한 공감자를 설정하여 이 문제를 풀고자 한 것이 그의 해법이었다. 이러한 이익의 생각은 중절의 윤리적 가치에 대해 참신한 재평가를 수행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신후담은 스승 이익의 생각에 반대하면서 중절의 도덕적 가치를 평가 절하하였다. 신후담에 따르면, 성인(聖人)의 공칠정(公七情)과 중절(中節)한 칠정은 다른 것이었다. 성인의 공칠정은 공적 도덕성이 실현된 감정 상태이지만 중절한 칠정은 자연적 욕구와 생리적 기호가 적절한 상태에 놓인 것에 불과한 것이었다. 전자가 이발(理發)이라면 후자는 기발(氣發)인 것이다. 그는 이익에게서 모호하게 표현되었던 성인칠정(聖人七情)을 명백히 공(公)과 사(私)의 두 측면으로 차별화함으로써 퇴계학 전통의 이발(理發)을 한층 강화하였다. 여기에 이르러 사단과 칠정이라는 오래된 구분선은 해체되고 공(公)과 사(私)가 도덕 감정의 기준으로 부각되었다.
Supported by : 숙명여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