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Young Chinese's Consuming of Korean Cultural Wave Contents on Their Anti-Korean Sentiment: Focusing the Second-order Mediators of Both Liking for Korean Wave and Positive Perceptions of Koreans

한류콘텐츠 이용정도가 중국인의 혐한정서에 미치는 영향 : 한류호감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이차매개효과검증을 중심으로

  • 이희진 (한동대학교 언론정보문화학부)
  • Received : 2017.09.01
  • Accepted : 2017.10.18
  • Published : 2017.10.28

Abstract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of: (1) the effect of young Chinese's consuming of Korean cultural wave contents including Korean TV drama, film, and K-pop on their anti-Korean sentiment; (2) the second-order mediating effects of both liking for Korean wave and positive perceptions of Koreans.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695 chinese people between high-teen and 20's, located in eleven cities of seven provinces.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higher consuming of Korean cultural wave contents, the higher anti-Korean sentiment. Second, young Chinese, consuming more Korean cultural contents, show more liking for Korean wave. The more favor of Korean cultural contents, the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Koreans. The more liking for Koreans wave contests and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of Koreans, the less anti-Korean sentiment. Therefore, it is proved that liking for Korean cultural wave contents and perceiving Koreans with a positive view are important mediator to reduce the anti-Korean sentiment.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above.

이 연구는 중국 젊은이들의 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 등의 한류콘텐츠 이용이 혐한 감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어느 정도이며, 한류에 대한 호감 및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 혐한 감정에 미치는 이차매개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중국의 7개성의 11개 도시에 거주하는 10대 및 20대 남 녀 중국인들(695명)이다. 자료 분석결과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콘텐츠 이용이 증가할수록 혐한 감정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한류콘텐츠 이용이 많을수록 한류에 대한 호감도 높았고, 한류 호감이 증가할수록 한국인에 대해서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에 대한 호감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뚜렷할수록, 중국인들의 혐한 감정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한류 호감과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한류콘텐츠 이용정도에 따른 혐한 감정의 증가 현상을 유의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각각의 매개 요인임과 동시에 이차 매개 요인임이 실증적으로 규명되었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함의를 모색하며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심상민, "콘텐츠비지니스의 새흐름과 대응전략," 삼성경제연구소, pp.4-6, 2002.
  2. 이희진, 영화제작인력의 직무만족과 관련변인 연구 : 업무효능감 및 업무자율성, 의사소통능력의 직.간접효과와 경력장애와 직급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 서민수, 정태수, 주영민, 이해옥 "新한류 지속발전을 위한 6大 전략,"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연구보고서, 제899권, 2013.6.19.
  4. 강진석, "중국 언론의 한류 (韓流) 에 대한 시각과 대응에 관한 고찰," 중국학연구, 제75권, pp.301-321, 2106
  5. 강내영, "중국의 항(抗)한류 현상 연구: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제43권, pp.457-508, 2009.
  6. J. R. Baldwin and S. K. Hunt, "Intercultural and Intergroup Communication and Intergroup Communic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28, No.2, pp.272-286, 2002. https://doi.org/10.1111/j.1468-2958.2002.tb00808.x
  7. W. B. Gudykunst and Y. Y. Kim, Communication with Strangers: An Approach to Intercultural Communication (3rd ed.), New York: McGraw-Hill, 1977.
  8. 이준웅, "한류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중국인의 한국 문화상품 이용이 한국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5호, pp.5-35, 2003.
  9. G. W. Allport, The Nature of Prejudice. Reading, MA: Addison-Wesley, 1954.
  10. E. Schiappa, P. B. Gregg, and D. E. Hewes, "The parasocial contact hypothesis," Communication monographs, Vol.72, No.1, pp.92-115, 2005. https://doi.org/10.1080/0363775052000342544
  11. 中國廣電總局, 中國電視收視視年鑒 2005, 2006.
  12. 연합뉴스, "中, 가장 싫어하는 드라마로 대장금 선정," 2008.01.01.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1889210
  13. 중앙일보, "중국서 좋아라하던 '대장금' 돌연 '최악 1위' 달리는 사연은?," 장세정, 2008.01.12.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zhshzh&folder=2&list_id=8967106
  14. 파이낸셜 뉴스, "콘텐츠산업, 지난해 매출 100조원 돌파..수출 63억달러," 조용철, 2017.01.16. http://www.fnnews.com/news/201701161423129495
  15. KBS뉴스, "中 한한령 여파에 올해 콘텐츠 산업 수출액 4.7% ${\downarrow}$," 김민정, 2017.07.04.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509568&ref=A
  16. 이준웅, "중국의 한류 현상에 대한 '매개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효과 모형 검증 연구: 중국인의 한국, 미국, 일본, 대만 문화상품 이용에 따른 신념, 감정, 태도의 형성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3호, pp.277-323, 2006.
  17. 劉佳雪, 自20世紀90年代開始, 以韓劇熱播爲開端的"韓流"洶涌襲來. 韓國流行文化在中國, 乃至整個亞洲迅速傳播,對時尙, 文化及日常生活産生了深遠的影響, <解讀"韓流">, 東北師范大學, 석사논문, 2009.
  18. 김익기, 장원호, "중국에서의 한류와 반한류," 지역사회학, 제14권, pp.175-202, 2013.
  19. 김연희, 한류와 중국의 타문화 수용: 유가사상과 리얼리즘의 시각에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0. 치아오춘옌(喬春嫣), 중국의 한류에 대한 태도 및 전망에 관한 이론적 연구 : 드라마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1. 히라노 겐이지로, 장인성, 김동명 옮김, 국제문화론, 서울:풀빛, 2004.
  22. 박정희, 김영우, "한류문화산업의 글로벌화 방안 연구-영상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제16권, pp.209-219, 2007.
  23. 김신동, "동아시아의 초국적 문화수용과 타자 인식: '한류' 담론에 대한 성찰적 비평,"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pp.162-180, 2002.
  24. 이희진, "중국인의 한국드라마 시청정도가 한류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한류 호감도와 문화유입 수용성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513-526, 2014.
  25. 배병렬,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26.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ed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pp.39-50, 1981. https://doi.org/10.2307/3151312
  27. R. P. Bagozzi and Y. Yi, "On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pp.74-94, 1988. https://doi.org/10.1007/BF02723327
  28. 치아오춘옌(喬春嫣), "중국에서의 한류: 현황 과제 그리고 지속방안," 한류확산에 따른 대중국 농산물 수출 활성화, 천안시정발전연구센터, 2013.9.30.
  29. 뉴시스, "20.30대 청년 10명 중 6명, '조선족'에 부정적," 2015.11.13.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1113_0010413465&cID=10201&pID=1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