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Received : 2017.06.23
  • Accepted : 2017.08.02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were 82 college students(52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in an university in Seoul.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ANCOVA using the SPSS 23.0 program. Parent's autobiography consisted of prologue, childhood, adolescence, adulthood, and epilogue. Each chapter of the autobiography consisted of a part of the growth narrative describing the main events of the parents and a part of the introspection narrative describing the writter's feeling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significantly promoted parent-child relationships. Second,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s significantly increased parent-child attachment. Third,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effect and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본 연구는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피험자는 서울의 한 대학에 재학 중인 총 82명의 학생들이었으며, 실험군이 52명, 대조군이 30명이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설계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으로 수행하였다. 부모의 자서전은 프롤로그,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에필로그로 구성하였다. 자서전의 각 장은 부모의 주요 사건을 기술하는 성장서사 부분과 대필자의 느낌을 기술하는 성찰서사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간 관계를 유의하게 증진시켰다. 특히, 하위요인 중 친밀, 존경 요인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엄격 요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애착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셋째,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유의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의 효과와 적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원, 강희신, 최소린, "부모애착표상과 가족건강성이 예비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pp.485-502, 2013.
  2. 이중섭, 이용교, "부모의 학력이 청소년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빈곤, 비행, 부모자녀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1호, pp.65-88, 2011.
  3. S. Yuan, D. A. Weiser, and J. L. Fischer, "Self-efficacy,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Academic Performance: A Comparison of European American and Asian American College Students,"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An International Journal, Vol.19, No.2, pp.261-280, 2016. https://doi.org/10.1007/s11218-015-9330-x
  4. 전선옥, 김정원, "대학생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인식이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제8권, 제4호, pp.131-147, 2016.
  5. 김현미, 임은미, "부모-자녀관계 및 변화가 청소년의 직업가치변화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5권, 제4호, pp.57-73, 2012.
  6. 어성연, 김지언, "대학생활적응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 몰입 수준, 친구관계,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0권, 제2호, pp.55-74, 2015.
  7. 국가통계포털, "부모-청소년 자녀와의 전반적인 만족도: 자녀관점(제2차, 제3차 비교),"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54&tblId=DT_MOGE_1510000935&vw_cd=MT_ZTITLE&list_id=154_15401_2015&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에서 검색, 2015.
  8. H. Choi, M. Kim, C. G. Park, and B. L. Dancy, "Parent-child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merica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 Mental Health Services, Vol.50, No.9, pp.20-27, 2012. https://doi.org/10.3928/02793695-20120807-01
  9. 박인아, "기혼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 불만족이 노부모와의 관계 부적응 행동과 그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에서 지니는 매개효과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36권, pp.5-29, 2012.
  10. 최성희, 전영자,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여가인식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5권, 제1호, pp.17-37, 2016. https://doi.org/10.5934/kjhe.2016.25.1.17
  11. 정연호, 류점숙, 신효식,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과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전남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45-158, 2005.
  12. 최미혜, 김경희, 권혜진, 김수강, "청소년의 성허용성과 가족기능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1, No.1, pp.54-62, 2005.
  13. 김재엽, 최선아, 전지수, "청소년의 가족구조, 우울, 학교적응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9호, pp.207-231, 2016.
  14. 배희분, 옥선화, 양경선, G. H. Chung, "가족식사빈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4호, pp.125-149, 2013.
  15. 유문숙, 이은숙, 유미애, "청소년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정서지능과 대인관계간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52-262, 2012.
  16. 김종운, 이명순, "관계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동서정신과학, 제12권, 제1호, pp.61-76, 2009.
  17. 양옥경, 김연수,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4권, pp.225-261, 2004.
  18. 최인재,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6.
  19. G. C. Amsden and M. T. Greenberg,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16, No.5, pp.427-453, 1987. https://doi.org/10.1007/BF02202939
  20. 옥정, 청소년기 애착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지각된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1. 최태산, 홍경자, "청소년 문제행동에 관한 심리적 변인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권, 제2호, pp.291-322, 1997.
  22. H. Barns and D. H. Ols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1982.
  23. C. E. Hill, B. J. Thompson and E. Williams,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25, pp.517-572, 1997. https://doi.org/10.1177/0011000097254001
  24. M. S. Hill, "Marital Stability and Spouses' Shared Time: A Multidisciplinary Hypothesis," Journal of Family Issues, Vol.9, pp.421-451, 1988.
  25. H. Yoo, X. Feng, and R. D. Day, "Adolescents'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Family Context: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42, No.12, pp.1858-1872, 2013. https://doi.org/10.1007/s10964-012-9900-6
  26. 김동영, 박기정, 김효원, "한국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부모자녀관계,"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26권, 제2호, pp.120-128, 2015. https://doi.org/10.5765/jkacap.2015.26.2.120
  27. 최인재, "청소년기 자녀의 자살 생각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9호, pp.105-130, 2010.
  28. 김종운, 김지현,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48-25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248
  29. 정구철, 이상학, "대학생들의 부모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432-440, 2016.
  30. 김효순. "재혼가족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262-28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262
  31. 임금옥, 강길현, 박희서, "청소년의 생활 스트레스와 청소년 비행의 인과경로에 있어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247-254, 2015. https://doi.org/10.9708/jksci.2015.20.1.247
  32. 이수진, 문혁준, "중학생의 자기통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2권, 제6호, pp.587-598, 2013. https://doi.org/10.5934/kjhe.2013.22.6.587
  33. 배성만, 박중규, 고영삼,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9권, 제3호, pp.529-544, 2012.
  34. 박중규, 배성만, "인터넷 사용동기,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심리, 정서적 문제가 초기 성인기 집단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1권, 제2호, pp.419-434, 2012.
  35. 민지애, 유금란, "대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진로결정몰입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9권, 제1호, pp.45-63,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