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Verifying the Morality behind 'Mutual Beneficence': A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n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상생적 관계형성을 위한 도덕성 확인에 관한 연구 - '공감적 성향'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

  • Received : 2017.04.15
  • Accepted : 2017.05.28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As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is based on 'Relationships of Mutual Beneficence,'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of Mutual Beneficence' is the only road to the security and confirmation of self-existence. But given that our ordinary life almost entirely consists of actions objectifying others,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of Mutual Beneficence' is by no means easy.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of Mutual Beneficence' should be based on morality, controlling self-desire, and not objectifying others. Philosophy based on a priori reasoning describes self-control over selfdesire as the domination of the body through a priori reasoning. But this practical philosophy cannot present a self-evidential internal motivation behind moral actions. Due to this, the application of moral order given by a priori reasoning in response to reality is likely to be reinterpreted on basis of self-interest. With regards to this,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is given as new moral norm.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as emotion is direct and consistent given that feeling occurs prior to thinking.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is intuitive in the sense that it is an instinctual response preceeding a reasoned judgment.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as a natural moral emotion, is self-validating given that all human beings know it and practice it. But previous studies on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have an obvious limitation because they adopt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which eschew the investigation of morality. Though they present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as a natural emotion based on body rather than reason, they do not philosophically explain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Thus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as a natural moral emotion is likely to be interpreted as a subjective and relative moral norm. This paper philosophically explains that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is a universal moral norm on the basis of Merleau-Ponty's 'flesh.' 'Flesh' is formed as the entanglement between oneself and others and presents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as its philosophical basis. In other words, 'flesh' formed as the mixture or entanglement between oneself and others is the material foundation upon which one can activate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This paper's approach to the 'propensity of sympathy' can be desribed a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propensity towards sympathy' as a universal moral norm.

자기정체성의 확립이 '상생적 관계'에 기초해 있다는 점에서, '상생적 관계형성'은 자기존재의 안정성과 확증성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적인 삶이 타자와의 포용성을 지향하는 상생적 관계보다는 타자를 대상화하려는 행위로 대부분 채워져 있다는 점에서, 타자와의 상생적 관계형성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런 점에서 타자와의 상생적 관계형성은 타자를 대상화하려는 자기욕망을 조절하거나 통제할 도덕성에 기초해 있어야 한다. 이성 중심의 초월적·선험적 철학은 자기욕망에 대한 자기제어를 이성과 신체라는 이원화된 틀 속에서 이성에 의한 신체의 지배(支配)로서 기술한다. 하지만 이 실천철학이 가지는 한계점은 선험적 이성의 도덕적 명령이 우리에게 그것을 실천할 도덕적 행위의 내적 동기를 자명(自明)하게 제공할 수 없다는 점에 있다. 선험적 이성의 도덕적 명령의 현실적용은 자기중심적인 삶의 입장이나 자기이해관계의 맥락에서 선험적 이성의 도덕적 명령이 재해석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점에서 '공감적 성향'은 새로운 도덕적 규범으로서 자리매김한다. 감성형태로 주어지는 '공감적 성향'은 사유 이전의 느낌이라는 점에서 직접적이고 즉각적이고 항상적이다. '공감적 성향'은 이성적 판단 이전에 작동하는 본능적 반응이라는 점에서 직관적이다. 이런 점에서 자연 도덕정감으로서의 '공감적 성향'은 학습, 사유에 의하지 않고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이를 알고 있고 실천할 정도로 자명하게 주어진다. 그러나 '공감적 성향'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현상적 접근(現象的 接近)'이라는 점에서 분명한 한계점을 가진다. 기존 현상적 접근들은 '공감적 성향'을 이성이 아닌 신체에 토대한 자연적 감정으로 제시하고는 있지만, '공감적 성향'의 토대를 철학적으로 해명하지 못하고 있다. 자연 도덕정감으로서의 '공감적 성향'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도덕적 규범으로서 해석 내지 규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필자는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의 '살' 개념에 입각하여 신체에 토대한 자연적 감정으로서의 '공감적 성향'이 인간의 보편적인 도덕적 규범임을 밝히고자 한다. 신체적 차원에서 나와 타자 간의 교차배어로 형성되는 '살'은 '공감적 성향'에 그 철학적 단초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나와 타자 간의 신체적 교차 내지 얽힘으로 형성되는 '살'은 '공감적 성향'을 일으키는 물질적 토대가 된다. 필자의 이러한 접근은 '공감적 성향'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現象學的 接近)'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3. 『논어』
  4. 『맹자』
  5.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전양범 옮김, 서울: 시간과 공간사, 1995.
  6. 막스 셸러, 『동감의 본질과 형태들』, 조정옥 옮김, 서울: 아카넷, 2006.
  7. 신정근, 「'관계'의 고착성과 '탈바꿈'의 자유사이의 긴장-고대유가의 '우주적 인간'의 탄생」, 『철학연구』 51, 2000.
  8.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 『덕의 상실』, 이진우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1997.
  9. 위르겐 하버마스, 『담론윤리의 해명』, 이진우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1997.
  10. 이경원, 「대순진리회의 '상생'이념에 관한 연구」 『신종교연구』 13, 2005.
  11. 임마누엘 칸트, 『실천이성비판』, 최재희 옮김, 서울: 박영사, 1997.
  12. 임마누엘 칸트,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 이남원 옮김, 울산: 울산대학교 출판부, 1998.
  13. 임마누엘 칸트, 『윤리형이상학 정초』, 백종현 옮김, 서울: 아카넷, 2005.
  14.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김형철 옮김, 서울: 서광사, 1992.
  15. 칼 슈미트, 『정치적인 것의 개념』, 김효전 옮김, 서울: 법문사, 1995.
  16. Ch. Taylor, Source of the Self, Cambridge: Cambridge UP, 1990. https://doi.org/10.1017/s0033291700036825
  17. D. Gauthier, Morals by Agreement, Oxford: Clarendon Press, 1986. https://doi.org/10.1093/0198249926.001.0001
  18. D. Hume, A Treatise of Human Nature, Oxford: Oxford UP, 1978. https://doi.org/10.1093/actrade/9780198245872.book.1
  19. D. Hume, Enquries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and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 Oxford: Oxford UP, 1978. https://doi.org/10.1093/actrade/9780198245353.book.1
  20. J. Habermas, The Inclusion of The Other, Cambridge: MIT Press, 1998. https://doi.org/10.2307/2586029
  21. J. P. Sartre, Being and Nothing, New York: Philosophical Library, 1956. https://doi.org/10.1017/S0003055400230864
  22. L. Wittgenstein,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Oxford: Basil Blackwell, 1978.
  23. M. Merleau-Ponty, The Primacy of Perception, Evanston: Northwestern UP, 1964.
  24. M. Merleau-Ponty, Sense and Non-Sense, Evanston: Northwestern UP, 1964.
  25. M. Merleau-Ponty,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Evanston: Northwestern UP, 1968.
  26. M. Merleau-Ponty, Signs, Evanston: Northwestern UP, 1982.
  27. M. Merleau-Ponty, The Prose of the World, Evanston: Northwestern UP, 1986.
  28. M. Merleau-Ponty, Th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London: Routledge, 1962.
  29. R. Cudworth, A Treatise concerning Eternal and Immutable Morality: British Moralists 1650-1800, Indiana: Hackett Publishing Co., Inc, 1991. https://doi.org/10.1017/CBO9781139166720
  30. R. D. Broiles, The Moral Philosophy of David Hume, Hague: Martinus Nijhoff, 1964. https://doi.org/10.1007/978-94-011-9506-5
  31. T. Hobbes, Leviathan, Oxford: Oxford UP, 2012. https://doi.org/10.1093/oxfordhb/9780199549993.013.0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