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Catchment Area of Child Care Center by Means of Transportation Mode

어린이집의 통행수단별 이용권 분석

  • 김용진 (한국교통대학교 건설환경도시교통공학부) ;
  • 김성희 (안양대학교 도시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7.05.02
  • Accepted : 2017.07.06
  • Published : 2017.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tchment area of child care centers,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due to social changes such as nuclear family and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In this study, we surveyed 2,174 children in 32 municipal child care centers in Suwon city. As a result, most of infants(0~2years old) were coming to daycare facilities by cars, and its catchment area for 90%ile were about 3km. Next, the catchment area of the children who walk to child care centers is about 500m. When using the car, the catchment area was 1.3km.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suggestions. Considering the infant car use area, it is necessary to install more than one child care center per living area.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urgently expand daycare centers that provide child care services for infant care. Next, a nursing center-based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s needed.

본 연구는 저출산 고령화시대의 가장 중요한 공공시설이자 핵가족화 및 여성사회참여 등의 사회변화로 그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는 어린이집에 대하여 그 이용권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의 시립어린이집 32개소의 2,174명의 아이들에 대한 이용실태를 조사하여 통행수단별 이용권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영아(0~2세) 과정의 대부분은 차량을 통해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90%ile에 해당하는 이용권은 약 3km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누리(3~5세) 과정의 아이들 중 걸어서 어린이집에 등원하는 경우의 85%ile에 해당하는 이용권은 약 500m로 나타났으며,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90%ile에 해당하는 이용권역은 약 1.3km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누리과정과 영아과정의 차량 이용권역을 고려할 때, 생활권별 1개소 이상의 어린이집 설치가 필요하다. 특히, 영아과정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이 시급히 확충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어린이집 중심의 보행환경 개선사업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승은, 이상현, 이을규, "지방도시 공공시설의 시설 수와 연면적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제16권, 제1호, pp.103-110, 2014.
  2. 안치호, 택지개발사업에 의해 공급된 도시공공시설의 입지적정성 분석 및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 김상호, 국공립어린이집의 양적 확충 및 질적 향상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3.
  4. 김용국, 녹색복지 실현을 위한 서울시 근린공원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 홍미영, 김학진, "서울시 생활권별 공공시설의 공급 불균형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6권, 제5호, pp.161-177, 2015.
  6. 전범우, 공공시설의 보행접근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7. 한고은, 성남 기성시가지 생활권 내 생활가로 특성 비교 연구,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8. 이원태, 전국 문화기반시설관리 운영평가 개선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3.
  9. 김현, 김예성, 이다솜, 김지엽, "도시공원 이용권 분석을 통한 수원시 공원서비스의 적정성 평가," 조경연구, 제43권, 제2호, pp.114-125, 2015.
  10. 김용진, "노인의 주요 근린시설별 이용권 도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8권, 제5호, pp.215-223, 2012. https://doi.org/10.5659/JAIK_PD.2012.28.5.215
  11. 김용진, 안건혁, "자전거 통근자 행태분석을 통한 하천변 자전거도로 이용권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2권, 제2호, pp.55-67, 2011.
  12. 이재영, "자전거이용행태 기반 TOD(B-TOD)의 개념 및 계획권 설정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5권, 제6호, pp.149-160, 2010.
  13. 김승제, 손석의, "학교시설과 지역시설과의 기능 분담을 통한 복합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13권, 제57호, pp.24-30,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