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Job Search Channels on Occup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Job Fit

대졸자의 구직경로가 첫 일자리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개인-직무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혜영 (경기대학교 대학원 직업학과) ;
  • 강순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직업학과)
  • Received : 2017.06.27
  • Accepted : 2017.07.12
  • Published : 2017.07.28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job search channels on the occup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with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using human networks for getting jobs, not only the educational level and major adequacy, but also the workplace satisfac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when using non-human networks. Second, as i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arch channels and occupational adaptation by Sobel-te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level and major adequacy, excluding skill level adequ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human networks, by serving as an effective information transmitter on person-job fit between job search and recruitmen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improve occup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These results imply that strategic utilization of human networks in job search activities is important, and that it is necessary that career-related programs in the universities or the employment service institutions systematically include the importance and methods of using human networks.

본 연구에서는 2014년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졸 신입사원의 구직경로가 첫 일자리 직업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직경로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했을 때 비인적 네트워크에서보다 교육수준 적합성과 전공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직장만족도와 업무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술수준 적합성을 제외한 교육수준 적합성과 전공 일치도가 구직경로와 직업적응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적 네트워크가 구인과 구직 사이에 직무적합성에 대한 정보전달 통로로 작용함으로써 첫 일자리 직업적응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구직 활동에서 인적 네트워크의 전략적인 활용이 중요하며, 대학 또는 고용서비스기관의 진로관련 프로그램에서도 인적 네트워크 활용의 중요성과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경영자총협회,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 2016.
  2. S. Bashir and A. B. Nadeem, "Effects of the Realistic Job Previews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Met Expect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Vol.11, No.4, pp.219-227, 2016.
  3. A. Kristof-Brown, R. Zimmerman, and E. Johnson, "Consequences of Individuals' Fit at Work: A Meta-Analysis of Person-Job, Person-Organization, Person-Group, and Person-Supervisor Fit," Personnel Psychology, Vol.58, pp.281-342, 2005.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5.00672.x
  4. 손정선, 전공과 직업일치에 따른 직무만족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 최보인, 장철희, 권석균,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의 효과성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5권, 제1호, pp.199-232, 2011.
  6. 박가열, 천영민, "대졸자 취업 영향요인 분석," 고용과 직업연구, 제3권, 제1호, pp.29-59, 2009.
  7. 조성은, 한은영, "SNS의 이용과 개인의 사회관계변화 분석: SNS 연결관계를 통한 신뢰 사회 구현에 대한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기본연구, 13-09-02, 2013.
  8. www.kosis.or.kr
  9. 조달호, "서울의 고용동향," 서울경제 2016년 6월호, pp.6-32, 2016.
  10. J. C. Ullman, "Employee Referrals: Prime Tool for Recruiting Workers," Personnel, Vol.43, pp.30-35, 1966.
  11. R. E. Hill, "New Look at Employee Referrals as a Recruitment Channel," Personnel Journal Vol.49, pp.144-148, 1970.
  12. Graham L. Reid, "Job Search and the Effectiveness of Job-Finding Methods,"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Vol.25, No.4, pp.479-495, 1972. https://doi.org/10.1177/001979397202500401
  13. 김영철, 인적 네트워크(개인의 사회적 자본)의 노동시장 효과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10.
  14. 장미혜, 민현주, 이택면,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사회자본: 경제 사회 양극화의 현황과 대응방안(제3차년도),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15. Marmaros, David and Bruce Sacerdote, "Peer and Social Networks in Job Search," European Economic Review, Vol.46, pp.870-879, 2002. https://doi.org/10.1016/S0014-2921(01)00221-5
  16. M. A. Zottoli and J. P. Wanous, "Recruitment source research: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0, pp.353-382, 2000. https://doi.org/10.1016/S1053-4822(00)00032-2
  17. 강순희, "청년 일자리 탐색방법이 취업성과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pp.77-99, 2010.
  18. 이경상, 취업시장에서의 개인적 연결망 특성과 직업성취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9. Lin, Nan, Social Capital :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NY: Cambridge University, 2001.
  20. M. S. Granovetter, Getting a Job: A Study of Contacts and Career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21. M. S. Granovetter, "The Strength of Weak Ties: A Network Theory Revisited," Sociological Theory, Vol.1, pp.201-233, 1983. https://doi.org/10.2307/202051
  22. 오성욱, 김균, 이만기, 취업(채용)경로별 이용특성 분석을 통한 공공고용서비스 (PES)의 발전방안(정책연구 2010-03), 한국고용정보원, 2010.
  23. 이현주, 대졸자의 구직방법이 초기노동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4. J. J. Beggs and J. S. Hulbert, "The Social context of Men's and Women's Job Search Ties: Membership in Voluntary Organizations," Sociological Perspectives, Vol.40, No.4, pp.601-622, 1997. https://doi.org/10.2307/1389465
  25. 안재희, "대졸 여성의 취업에 대한 제도적 사회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제16권, 제2호, pp.85-110, 2006.
  26. 곽윤숙, "대졸 여성의 직업세계 이행: 저해요인과 지원체제 방안," 진로교육연구, 제19권, 제2호, pp.1-16, 2006.
  27. 김성훈, "사회 연결망과 공식경로를 통한 첫 취업의 개인적 결과와 사회적 결과," 한국사회학 제39권, 제1호, pp.53-85, 2005.
  28. 이병훈, "구직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동경제논집, 제25권, 제1호, pp.1-21, 2002.
  29. 김성훈, "취업자의 사회 연결망 활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노동경제논집, 제26권, 제3호, pp.209-230, 2003.
  30. D. Blau and R. Philip, "Job Search Outcomes for the Employed and Unemployed,"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98, No.3, pp.637-655, 1992 https://doi.org/10.1086/261698
  31. 강유진, 직무만족도에 대한 네트워크의 유형별 효과 - 구직과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2. 김두순, 이주현, 이성재, 김지은, 2011(2009)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1차년도 기초분석보고서,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노동부, 2011.
  33. R. V. Dawis and L. H. Lofquist,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nt: An individual-differences model and its application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4.
  34. R. D. Bretz and T. A. Judg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Implications for satisfaction, tenure, and career suc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4, pp.32-54, 1993.
  35. T. N. Bauer and B. Erdoga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utcomes: Now and into the future, In C. R. Wanberg (Ed.), The oxford handbook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nc, 2012.
  36. K. Lauver and A. Kristof-Brown, "Distinguishing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person-job and person-organization fi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9, No.3, pp.454-470, 2001. https://doi.org/10.1006/jvbe.2001.1807
  37. 오성욱, 이승구, "대학생의 직업가치 유형이 직무적합도 및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2권, 제22호, pp.1-19, 2009.
  38. 어윤경, "전공-직무 일치와 직업 가치관에 따른 직무 만족도 변화 추이," 상담학연구, 제11권, 제2호, pp.721-738, 2010.
  39. 차성현, 주휘정,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9권, 제3호, pp.177-215, 2010.
  40. J. Allen and R. Van Der Velden, "Educational Mismatches Versus Skill Mismatches: Effects on Wages, Job Satisfaction and on-the-Job Search," Oxford Economic Papers, Vol.3, pp.434-452, 2001.
  41. Datcher, Linda, "The Impact of Informal Networks on Quit Behavior,"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65, No.3, pp.491-495, 1983. https://doi.org/10.2307/1924196
  42. Curtis J. Simon and John T. Warner, "Matchmaker, Matchmaker: The Effect of Old Boy Networks on Job Match Quality, Earnings, and Tenure," Journal of Labor Economics, Vol.10, No.3, pp.306-330, 1992. https://doi.org/10.1086/298289
  43. 서형도, 네트워킹 행동과 경력성공: 조직적합성, 직무적합성 변수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4. 오성욱, "구직경로별 대졸청년구직자의 직업선택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7권, 제4호, pp.93-11, 2013.
  45. http://www.danielsoper.com/statcalc/calculator.aspx?id=31)
  46. 정지선, 이수정, 신정철,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 및 취업의 질적 수준 분석: 전공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직업개발연구, 제14권, 제3호, pp.53-78, 2011.
  47. 한국고용정보원, 주요 업종별 채용 트렌드 변화 연구, 2017.
  48. 김선아, 민경률, 이서경, 박성민, "직업선택동기의 선행.조절.결과요인에 관한 연구-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pp.455-500, 2013.
  49.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0/12/0200000000AKR20161012082000003.HTML
  50.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320932&code=14190000&cp=n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