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 Daycare Teachers' Role Perception,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in Children

아동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역할인식, 지식, 실천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 백성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 김진선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7.03.27
  • Accepted : 2017.05.10
  • Published : 2017.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ole perception, knowledge, self-confidence of practice, and educational needs of child daycare teachers'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and to identify their relationship. A correlation study was conducted. Participants were 180 child daycare teachers. Almost eighty percent(78.9%) of participants did not received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The mean percent of correct answers for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knowledge of participants was 52.3% and their self-confidence of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was low. However, their role perception of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and educational needs were high. Educational needs on 'hand washing and hygiene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block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infectious disease specific management and care', and 'infectious disease specific symptoms' were high. Child daycare teachers' role perception of infectious disea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mprove child daycare teachers'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are recommended. Particularly,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child daycare teachers role perceptions as infectious disease manager.

본 연구는 보육시설 아동의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역할인식, 지식, 실천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보육교사 180명이었다. 연구대상자의 78.9%는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교육 경험이 없었으며,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지식 정답률은 52.3%, 실천 자신감은 낮았다. 그러나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역할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높았다. 감염예방을 위한 손씻기 및 위생관리법, 감염성 질환차단방법, 감염성 질환별 관리 및 간호법, 감염성 질환별 증상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대상자들의 역할인식은 그들의 지식과 교육요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보육교사 대상 감염성 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적용 및 평가가 요구된다. 특히 보육교사들의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역할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수, "보육시설 방문교육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영유아 감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감염예방 행위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pp.466-477, 2007.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6, 보건복지부, 2016.
  3. 이혜원, "보육서비스 품질 제고를 위한 정책의 실효성 및 개선방안," 재정포럼, 제221호, pp.25-43, 2014.
  4. 양윤정, 권인수, "보육교사의 감염예방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감정노동이 감염예방 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회, 제16권, 제1호, pp.79-97, 2016.
  5. 안종균, 최성열, 김동수, "영유아의 보육시설 이용과 감염성 질환 실태연구," 대한소아감염학회, 제19권, 제1호, pp.19-27, 2012.
  6. T. R. Shope, "Infectious diseases in early education and child care programs," Pediatrics in Review, Vol.35, No.5, pp.182-193, 2014. https://doi.org/10.1542/pir.35-5-182
  7. 윤영미, 임미영, "보육교사의 영유아 감염성 질환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1호, pp.253-273, 2012.
  8. M. M. M. Nesti and M. Goldbau, "Infectious diseases and daycare and preschool," Journal of Pediatrics, Vol.83, No.4, pp.299-312, 2007. https://doi.org/10.2223/JPED.1649
  9. 김일옥, 박현정, "보육교사의 영아 건강관리 실태 및 교육 요구 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pp.99-120, 2012.
  10. 박선남, 이영란, 정영주, "보육교사의 전염성 질환에 대한 지식 및 전염성 질환 아동 관리 실태," 한국보건간호학회, 제24권, 제1호, pp.115-125, 2010.
  11. C. M. Mink and S. Yeh, "Infections in child-care facilities and schools," Pediatrics in Review, Vol.30, No.7, pp.259-268, 2009. https://doi.org/10.1542/pir.30-7-259
  12. L. Rosen, D. Zucker, and D. Brody, "The effect of a handwashing intervention on preschool educator beliefs, attitudes, knowledge and self-efficacy," Health Education Research, Vol.24, No.4, pp.686-698, 2009. https://doi.org/10.1093/her/cyp004
  13. 김지수,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보육교사의 건강정보 이용 및 요구," 한국콘텐츠학회 2010 춘계 종합학술대회, pp.601-603, 2010.
  14. 이미화, 강은진, 김은설, 김동훈, 김아름, 최지은, 보수교육과정매뉴얼, 보건복지부 보육사업기획과, 2015.
  15. 김동희, 박정하, "부모와 유치원교사의 어린이 감염예방 및 교육요구도 조사," 보건의료산업회지, 제10권, 제4호, pp.213-223, 2016.
  16. 최은주, 황선영, "보육교사를 위한 감염관리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안의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2권, 제6호, pp.771-782, 2012. https://doi.org/10.4040/jkan.2012.42.6.771
  17. A. A. Crowley and J. M. Kulikowich, "Impact of training on child care health consultant knowledge and practice," Pediatric Nursing, Vol.35, No.2, pp.93-100, 2009.
  18. 이은주, 유아의 건강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역할수행,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9. https://gwangju.childcare.go.kr/ccef/main.jsp
  20. 김지수, 영유아 건강관리에 관한 보육교사의 요구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1. 이소정, 영아교사의 건강, 안전에 대한 지식정도 및 교육요구와 관리실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2. https://cpms.childcare.go.kr/html/ebook/i_happy.html
  23. A. N. Hashikawa, M. W. Stevens, and Y. J. Juhn, "Self-report of child care directors regarding return-to-care," Pediatrics, Vol.130, No.6, pp.1046-1052, 2012. http://dx.doi.org/10.1542/peds.2012-1184
  24. A. N. Hashikawa, D. C. Brousseau, and D. C. Singer, "Emergency department and urgent care for children excluded from child care," Pediatrics, Vol.134, No.1, 2014. http://dx.doi.org/10.1542/peds.2013-3226
  25. D. B. Evers, "The pediatric nurse's role as health consultant to a child care center," Pediatric Nursing, Vol.22, No.3, pp.231-237, 2002.
  26. 윤형자, 2차 평가인증 과정에 참여한 민간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인식연구, 한양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7. 박은혜, 조성연, "영유아의 질병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 정도,"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제13권, 제3호, pp.235-250, 2009.
  28. S. A. Skull, E. L. Ford-Jones, and N. A. Kulin, "Child care center staff contribute to physician visits and pressure for antibiotic prescription,"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Vol.154, No.2, pp.180-183, 2000. https://doi.org/10.1001/archpedi.154.2.180
  29. 하영혜, 방경숙, "영아전담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교육요구,"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9-27, 2015.
  30. 김신정, 이정은, 양순옥,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시설에서의 아동 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요구," 아동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0-2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