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Sanitary Management of Deceased Bodies through Categorical Analysis of Cause of Death

사망 원인별 유형 분석을 통한 사망자의 위생 관리에 대한 연구

  • 최정목 (대전보건대학교 장례지도과)
  • Received : 2017.06.07
  • Accepted : 2017.07.18
  • Published : 2017.07.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luid excretions and changes in deceased bodies depending on type, location of, and causes of death for hygienic management of funeral homes. Based on the 858 cadavers studied,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death is 68.6 years, 83.0% had illness as the cause of death, and 79.5% passed away in a medical facility. Fluid excretion was observed in 46.2% of the cadavers. In manner of death, 78.8% of deaths -highest percentage- was due to an accident and 10.8% of deaths - lowest percentage- was due to age. Fluid excretion was observed in 46.3% of cadavers from medical facilities, 38.6% of cadavers from homes and 77.4% of cadavers from miscellaneous locations. There were various number of cadavers with recorded immediate, secondary and underlying cause of death; however, the fluid excretion rate was similar. In analyzing the immediate, secondary and underlying cause of death, respiratory and heart disease were 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in categories of body organ and system. In terms of fluid excretion, liver disease followed by digestive and circulatory diseases were most common in immediate cause of death. Accidents and miscellaneous circumstances were most common amongst secondary and underlying causes of death for cadavers with fluid excretion. Based on the recorded illnesses of the cadavers, cardiopulmonary failure was most common as evident in 96 cadavers followed by pneumonia and sepsis. Cholangiocarcinoma (73.3%) had the highest rate of fluid excretion followed by pancreatic cancer, severe brain injury and liver cancer amongst categories of illnesses with more than 15 cadavers.

본 연구는 장례식장에서 사망자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망의 장소, 종류 및 원인 등 사망자들의 유형에 따라 체액 분출 등 사후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망자 8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연령은 68.6세이며, 주요 사망의 원인은 83.0%가 병사이며, 사망 장소는 79.5%가 의료기관에서 발생되었다. 사망자에서 발생되는 체액 분출율은 전체 사망자의 46.2%에서 조사되었고, 사망의 종류에 따라서는 사고사가 78.8%로 가장 높고, 노화사는 10.8%로 가장 낮았다. 사망의 장소에 따른 의료기관 사망자는 46.3%, 주택 사망자는 38.6%인데 반해 기타 장소는 77.4%로 높았다. 사망의 원인으로 직접, 중간 및 선행 사인이 기록된 사망자 수는 크게 다르지만 체액 분출 비율은 비슷하였다. 장기 및 계통별 사망자 수는 직접, 중간 및 선행 사인 모두 호흡기질환과 심장질환 사망자 수가 가장 많고, 체액 분출은 직접 사인은 간질환 사망자가 가장 높고 소화기 및 혈액순환계 순이며, 중간 및 선행 사인에서는 기타 및 사고사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사망의 원인에 기록된 질병을 기준으로 한 사망자 수는 직접 사인은 심폐부전이 96명으로 가장 많고 폐렴 및 패혈증 순이며, 체액 분출은 사망자 수가 15명 이상 기준으로 담관암(73.3%)이 가장 높고, 췌장암, 중증뇌손상 및 간암 순으로 많았다. 따라서 사망자의 위생적 관리를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질병명과 발병기간을 명시하도록 하여야 하고, 사망자 이송과정에서는 관련 정보가 문서화 되고 체계적인 전달 시스템이 될 수 있도록 제도화 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5년 출생 사망통계자료, 2016.
  2.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6.
  3. 강대영, 강현욱, 곽정식, 김장한, 박의우, 박종태, 박희졍, 이상용, 법의학, 정문각, pp.35-37, 2009.
  4. Robert G. Mayer, "Embalming history, Theory and Practice," McGraw-Hill, pp.51-85, 2000.
  5. 정영철, "우리나라 장사문화 현황," 보건복지Issue&Focus, 제198호, 2013.
  6. 최정목, 장례서비스 실무, 대학서림, pp.20-21, 2012.
  7. 최정목, 남승현, "장례지도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 제8호, pp.26-32, 2015.
  8. S. K. Fridkin, J. C. Hageman, M. Morrison, L. T. Sanza, K. Como-Sabetti, and J. A. Jerniga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disease in three comunities," N Engl J Med, Vol.352, pp.1436-1444, 2005. https://doi.org/10.1056/NEJMoa043252
  9. M. Lauzardo, P. Lee, H. Duncan, and Y. Hale, "Transmiss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to a Funeral Director During Routine Embalming," CHEST, Vol.119 pp.640-642, 2001. https://doi.org/10.1378/chest.119.2.640
  10. S. S. Davidson and W. H. Benjamin, "Risk of infection and tracking of work-related infectious disease in the funeral industry," Am J Infect Control, Vol.34, pp.655-660, 2006. https://doi.org/10.1016/j.ajic.2006.05.290
  11. 대한의사협회, 진단서 작성 지침, 2003.
  12. 정형재, 김성호, 김정기, 이형식, 벙현수, 이지민, 조현국, 최정목, 한종만, 알기쉬운 인체병리학, 정담미디어, pp.94-96, 2013.
  13. R. Sowadsky, "How long HIV virus survive in a Dead Human Body," THE BODY, Apr 27, 1998.
  14. J. M. Kim, G. J. Cho, S. K. Hong, K. H. Chang, J. S. Chung, Y. H. Choi, Y. G. Song, A. Huh, J. S. Yeom, K. S. Lee, and J. Y. Choi, "Epider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HIV infection/AIDS in Korea," Yonsei Med. J, Vol.44, No.3, pp.363-70, 2003. https://doi.org/10.3349/ymj.2003.44.3.363
  15. H. Y. Kim, "Tuberculosis of HIV infection, it can be prevented and treated. Red ribbon," Korean Alliance to defeat AIDS(Korean), Vol.64, pp.16-17, 2005.
  16. M. Poeze, G. Ramsay, H. Gerlach, F. Rubulotta, and M. Levy, "An international sepsis survey:a study of doctor's knowledge and perception about sepsis," Critical Care, Vol.8, No.6, pp.409-413, 2004. https://doi.org/10.1186/cc2959
  17. P. M. Houck, D. W. Bratzler, W. Nsa, A. Ma, and J. G. Bartlett, "Timing of antibiotic administration and outcomes for medicare patients hospitalized with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64, No.6, pp.637-644, 2004. https://doi.org/10.1001/archinte.164.6.637
  18. 나선경, 중환자실 간호사의 패혈증에 대한 지식 조사,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2.
  19. 이주선, "국내 의료관련감염병(다제내성균) 감시현황과 감시체계," (주간)건강과질병, 제4권, 제50호, pp.919-920, 2012.
  20. 김우주, "중환자실에서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VRE)관리," 병원감염관리, 제13권, 제2호, pp.51-63, 2008.
  21. N. C. Kim and K. O. Choi, "Effects on nurses' hand washing behavior and reduction of respiratory isolation rate of MRSA of the hand wash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14, No.1, pp.26-33, 2002.
  22. 유정림, 고유경, "종합병원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49-160, 2016. https://doi.org/10.7739/jkafn.2016.23.2.149
  23. 질병관리본부, 다제내성균 감염 관리 지침, 2012.
  24. 안연순, "보건의료기관 종사자의 직업성 감염질환 현황," 안전보건 연구동향, 3월호, pp.58-61, 2012.
  25. P. M. Hawkey, S. J. Pedler, and P. J. Southall, "Streptococcus pyogenes:a forgottern occupational hazard in the mortuary," Br Med Vol.281, p.1058, 1980.
  26. R. R. Gershon, D. Vlahov, J. A. Escamilla-Cejudo, et al., "Tuberculosis risk in funeral home employees," J Occup Environ Med, Vol.40, pp.497-503, 1998. https://doi.org/10.1097/00043764-199805000-00014
  27. T. D. Healing, P. N. Hoffman, and S. E. Young, "The infectin hazards of human cadavers," Commun. Dis Rep CDR Rev., Vol.5, pp.61-68, 1995.
  28. 최정목, "의료기관내 사망자의 처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 제6권, pp.140-146, 2013.
  29. 이상용, 최영식, 정낙은, 한길로, 김유훈, 양경무, 박혜진, 최병하, 김성호, 이주한, 이한영, 이원태. "사망진단서(시체검안서)의 부적절함-법의학자의 역할-," Kor J Legal Med, 제26권, pp.72-79, 2003.
  30. 나종인, 이영직, 김형석, 민병우, 김혜정, 정승현, 나주영, 박종태, "시체검안서 또는 사망진단서와 부검 후 사인의 불일치에 대한 연구(II)," Kor J Legal Med, 제36권, pp.27-33, 2012. https://doi.org/10.7580/KoreanJLegMed.2012.36.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