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성준. (2008). 귀농자의 실태와 안정적 정착을 위한 연구: 전라북도 귀농자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섭. (2014). 귀농인의 사회.경제 활동과 함의. 농촌지도와 개발, 21(3), 53-89.
- 김정섭. (2015). 청년 귀농 정책의 방향. 경상북도 2015 귀농.귀촌 활성화 포럼 자료집. 경상북도.
- 김정섭, 임지은, & 박천수. (2012). 농어촌 지역의 인구. 산업.일자리 동향과 전망. 농업전망: 2012: 도농상생을 위한 농업.농촌 가치의 재발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정섭, 김경덕, & 임지은. (2015). 농촌 지역의 사회적 경제 실태와 활성화 방안.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정섭, 엄진영, & 유찬희. (2016). 일자리 없는 농촌, 할일 많은 농촌 - 농촌 지역의 고용 실태와 정책 방향. 농업전망 2016 - 급변하는 농업.농촌, 내일을 기획한다 (pp.353-376).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정섭, & 김종인. (2016). 일본의 청년 신규 취농 지원정책과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23(2), 115-122.
- 김한종. (2016). 도농간 인구이동 현황과 시사점. 농촌지역 인구문제 세미나 자료집. 전주: 전북연구원.
- 농림축산식품부. (2014). 지난 해 귀농.귀촌 가구 사상 최고인 10,503가구, 23,415명. 보도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통계청, 해양수산부. (2016). 2015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보도자료.
- 농촌진흥청. (2016). 주말농장 참여 후 농업.농촌 이해도 높아졌어요. 보도자료(4월 12일자).
- 서규선.변재면. (2000). U턴 귀농자 장.단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7(1), 137-153.
- 성주인, 임진영, 박유진, & 정규형. (2014). 농촌의 중장기 인구변화에 대응한 지역 활성화 과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성주인, & 채종현. (2012). 농어촌의 과소화 마을 실태와 정책 과제. KREI 농정포커스, 2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송미령, 김정섭, & 박주영. (2009). 농어촌 기초생활권의 전망과 정책 과제. 농업전망 2009(I) - 한국 농업.농촌, 도전과 새로운 희망 (pp. 423-449).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우성호, & 이성근. (2015). 귀농.귀촌의 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2(2), 101-116.
- 이민수, 박덕병. (2012). 도시민의 귀촌행태 유형화와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19(4), 1137-1170.
- 장민기, 이준우, 허재욱, 김혜민, 채상헌, 김기현, & 송기선. (2014). 귀농.귀촌 인구 정착실태 및 관련 정책 발전 방안.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 채종현, 박주영, & 김정섭. (2007). 농촌 지역의 인구 변화와 3차산업 분포, 농촌경제, 30(1), 109-127.
- 통계청. (2012). 2011년 국내인구이동 통계: 최근 10년간 수도원 인구이동. 보도자료.
- Bock, B. (2016). Rural marginalisation and the role of social innovation; A turn towards nexogenous development and rural reconnection. Sociologia Ruralis, 56(4), 552-573. https://doi.org/10.1111/soru.12119
- Falanigan, S., & Sutherland, L. (2016). Buying access to social capital? From collaboration to service provision in an agricultural co-operative. Sociologia Ruralis, 56(4), 471-490. https://doi.org/10.1111/soru.12092
- Halfacree, K., & Rivera, M. (2012). Moving to the countryside and staying: Lives beyond representations. Sociologia Ruralis, 52(1), 92-114. https://doi.org/10.1111/j.1467-9523.2011.00556.x
- Hodge, I., & Whitby, M.(1981), Rural employment: Trends, options, choices, London: Methuen.
- Sorensen, D. (1977). Reverse migration and the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blem. Wester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1(1), 49-55.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http://kosis.kr/).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 통계청. 귀농귀촌인통계(http://kosis.kr/).
- 통계청. 농림어업조사(http://kosis.kr/).
- 통계청. 인구총조사(http://kosis.kr/).
- 통계청. 전국지가변동률조사(http://kosis.kr/).
- 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http://www.bigkinds.or.kr).
Cited by
- 청년 농업인 지원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사례 - vol.25, pp.3,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18.25.3.0161
- 일본 홋카이도 비라토리정의 신규취농 지원정책과 마을조직의 역할 vol.25, pp.4, 2018, https://doi.org/10.12653/jecd.2018.25.4.0211
- Life Satisfaction of Urban-to-Rural Migrants in South Korea - Income vs. Nature - vol.25, pp.4, 2017, https://doi.org/10.7851/ksrp.2019.25.4.065
-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통한 청년활동 정책방안 연구 - 충청남도 홍성군 사례 - vol.28, pp.1,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21.28.1.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