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표의 의미와 용도, 그리고 교과서 구성을 위한 시사점

The Meaning and Practical Uses of Tables in Finlan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I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athematics Textbooks

  • 투고 : 2017.01.15
  • 심사 : 2017.02.22
  • 발행 : 2017.02.28

초록

표는 자료 정리의 효과적 수단이지만, 그래프에 비해 시각적 한계가 뚜렷해서 수학교육분야에서 독립적인 연구주제로서의 위상을 차지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표가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명시적으로 포함된 만큼 표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합리적인 논의는 필요하다. 이 연구는 표를 다양한 용도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핀란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채택하여, 수학교과서에서 표가 어떤 의미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는 통계영역 뿐만 아니라 수와 연산, 도형, 측정, 비와 비율 등의 수학내용을 전개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표의 외양이나 표를 구성하는 자료의 소재나 크기 등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 table as an effective arrangement tool of a set of data has not been focused on as a single research subject despite of the fact that the table has been clearly one of learning and teaching elements of national math curriculum for a long time. I hope this article gets to be a starting point for future studies of tables. For this, the Finlan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which use tables so often for many various purpose are chosen and analysed. As a result, it confirms that tables can be practical tools for developing different mathematical ideas in mathematics textbooks. Its applicable area is not limited on statistics but numbers and operations, geometry, measurement, ratio and rate. In addition, some ideas of the outlook, the size and dimension of tables, and the context of datum and etc are induced from the Finlan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국어원 (2016). (주) 낱말.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0746300 에서 2016년 9월 28일 인출.
  2. 김유향, 임현미, 김영수 (2010). 고등학생들의 생물 그래프 이해능력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38(1), 184-194.
  3. 김태선 (2006).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운동학 그래프 이해 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49-57.
  4. 박영희 (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7-34.
  5. 박유진 (2010). 교과서 통계 단원에 제시된 그래프 문항 및 중학생의 통계 그래프 이해 능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송정화, 이종희 (2007). 그래프에서 교사와 학생의 의미 구성에 대한 사례연구. 학교수학, 9(3), 375-396.
  7. 이경화, 지은정 (2008). 그래프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 비교-우리나라 교과서와 MiC 교과서의 초등통계내용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8(3), 353-372.
  8. 임지애 (2003).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통계그래프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최선희, 이대현 (2012). 우리나라 초등 교과서와 MIC 교과서의 통계 단원 비교.분석. 초등수학교육, 15(1), 41-52.
  10. 황현미, 방정숙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학교수학, 9(1), 45-64.
  11. Curcio, F. R. (1987). Comprehension of mathematical relationships expressed in graph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5), 382-393. https://doi.org/10.2307/749086
  12. Farquhar, A. B., & Farquhar, H. (1981). Economic and industrial Delusions : A discourse of the case for protection, New York: Putnam.
  13. Hoeffner, J., & Shah, P. (2002). Review of graph comprehension research: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4(1), 47-69. https://doi.org/10.1023/A:1013180410169
  14. Ilmavirta, R. Koivisto, M., Salonen, M, Sintonen, A., & Uus-Leponiemi, T, (2012). Laskutaito in English 5A. 문보람, 도영 (역).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5-1. 서울: 솔빛길.
  15. Ilmavirta, R. Koivisto, M., Salonen, M, Sintonen, A., & Uus-Leponiemi, T, (2012). Laskutaito in English 5B. 문보람, 도영 (역).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5-2. 서울: 솔빛길.
  16. Ilmavirta, R. Koivisto, M., Salonen, M, Sintonen, A., & Uus-Leponiemi, T, (2012). Laskutaito in English 6A. 오수현, 도영 (역).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6-1. 서울: 솔빛길.
  17. Ilmavirta, R. Koivisto, M., Salonen, M, Sintonen, A., & Uus-Leponiemi, T, (2012). Laskutaito in English 6B 이영석, 도영 (역).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6-2.. 서울 : 솔빛길
  18. Ilmavirta, R. Rikala, S., Sieppi, H., Sintonen, A., Uus-Leponiemi, M., & Uus-Leponiemi, T, (2012). Laskutaito in English 1A. 양숙희 (역) 핀란드 수학교과서 1-1. 서울: 솔빛길.
  19. Ilmavirta, R. Rikala, S., Sieppi, H., Sintonen, A., Uus-Leponiemi, M., & Uus-Leponiemi, T, (2012). Laskutaito in English 1B. 도영 (역).핀란드 수학교과서 1-2. 서울: 솔빛길.
  20. Ilmavirta, R. Rikala, S., Sieppi, H., Sintonen, A., Uus-Leponiemi, M., & Uus-Leponiemi, T, (2012). Laskutaito in English 2A. 도영 (역) 핀란드 수학교과서 2-1. 서울: 솔빛길.
  21. Ilmavirta, R. Rikala, S., Sieppui, H., Sintonen, A., & Uus-Leponiemi, T, (2012). Laskutaito in English 2B. 황윤희, 도영 (역) 핀란드 수학교과서 2-2.. 서울: 솔빛길.
  22. Ilmavirta, R. Rikala, S., Sintonen, A., Uus-Leponiemi, M., & Uus-Leponiemi, T, (2012). Laskutaito in English 3A. 김유미, 도영 (역) 핀란드 수학교과서 3-1. 서울 : 솔빛길.
  23. Ilmavirta, R. Rikala, S., Sintonen, A., Uus-Leponiemi, M., & Uus-Leponiemi, T, (2012). Laskutaito in English 3B. 황윤희, 도영 (역) 핀란드 수학교과서 3-2. 서울: 솔빛길
  24. Ilmavirta, R. Rikala, S., Sintonen, A., Uus-Leponiemi, M., & Uus-Leponiemi, T,(2012). Laskutaito in English 4A. 양재욱, 도영 (역) 핀란드 수학교과서 4-1..서울: 솔빛길.
  25. Ilmavirta, R. Rikala, S., Sintonen, A., Uus-Leponiemi, M., & Uus-Leponiemi, T,(2012). Laskutaito in English 4B. 양재욱, 도영 (역) 핀란드 수학교과서 4-2. 서울: 솔빛길.
  26. Monroe, E. E. (2006). Math Dictionary. Boyds Mills Press.
  27.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M., Smith, N. L. (1998).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5th ed). 강문봉 외 (역) (1999). 초등 수학학습지도의 이해. 서울: 양서원.
  28. Thomson, P. (1994).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peed and its relation to concepts of rate. In G. Harel & J. Confrey (Eds.). The development of multiplicative reasoning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pp. 179-234). Albany, NY: Sunny Press.
  29. Van de Walle, J. A. (1998).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3rd Ed.). Addison Wesley Longman, Inc.
  30. Wainer, H. (1992). Understanding graphs and tables. Educational Researcher, 21(1), 114-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