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Proper Curriculum Organization Pla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초·중등 발명·지식재산 교육과정의 적정 편성 방안 연구

  • Received : 2017.02.10
  • Accepted : 2017.03.22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is study used the secondary Delphi method for experts, in order to propse a proper formation plan for the goal and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invention/intellection property education. Its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key objective of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for each school level is evaluated as appropriate. With regard to the key objective, elementary schools are aiming at 'fostering awareness and attitude for invention'(M=4.5), middle schools, 'understanding of invention process and method'(M=4.2), general high schools,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invention method'(M=4.1),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Employee Invention'(M=4.6). The objective and goal of education for each school level are also evaluated as appropriate. Second, although the proper formation plans for a key learning elem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were almost identical to an actual formation of preceding literature, overall change is required for the formation balance of each learning element, according to the objective and goal of school-leveled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An appropriate formation shall be focusing on basic learning elements (A, B, C, D, E, and F)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73.2%, 65.1%), lowering somewhat the former elements and increasing expanded learning elements for high schools(51.0%), which are connected to the invention, course(H), and patent application(K). Third, elementary and secondary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ystem should be oriented to its objective and goal. In order to reach this, an appropriate formation plan should be made for each school level, based on the principle of Tyler's learning organization, such as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which are key learning element. Specialized high schools, in particular, need to be differentiated from general ones, as well a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dditionally, for understanding and applying an employee invention,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in the phase of secondary occupational education.

이 연구는 초 중등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목표 및 교육과정에 대한 적정 편성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전문가 대상으로 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제안한 학교급별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핵심 목적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목적은 초등학교가 '발명 인식과 태도 함양'(M=4.5), 중학교가 '발명 과정과 기법 이해'(M=4.2), 일반계고가 '발명 기법 적용 및 평가'(M=4.1), 특성화고가 '직무 발명 이해와 적용'(M=4.6)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교육목적 및 목표도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 연구에서 제안한 초 중등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에 대한 적정 편성 방안은 선행문헌의 편성 실태와 대동소이하게 나타났으나, 학교급별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목적 및 목표에 따른 각 학습요소의 편성 비중은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발명의 기본적인 학습요소(발명의 이해(A), 창의성 이해와 활동(B), 문제 인식과 활동(C), 문제해결과 활동(D), 발명 융합 지식(E), 발명 기법과 실제(F))에 집중하여 편성하고(73.2%, 65.1%), 고등학교는 초 중학교에서 집중했던 기본 학습요소의 비중을 낮추며(51.0%) 발명과 진로(H), 특허 출원(K) 등 발명과 연계되어 확장된 학습요소들의 비중을 높여 편성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초 중등 발명 지식재산교육 체계는 학교급별 발명 지식재산교육의 목적 및 목표를 지향점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핵심 학습요소는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 등 타일러(Tyler)의 학습조직 원리에 근거하여 학교급별로 적정 편성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특성화고는 초 중학교뿐만 아니라 일반계고와의 차별화가 필요하며 직무 발명 이해와 적용을 위한 중등 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 지식재산교육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2. 김용익 외(2010). 발명영재 교육 프로그램(초급, 중급, 고급). 광주교육대학교, 특허청.
  3. 김용익(2005). 학교 발명교육의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교사들의 의견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8(4), 151-176.
  4. 남현욱 외(2008).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초급, 중급, 고급). 특허청.
  5. 서혜애 외(2006). 발명교육 내용표준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특허청.
  6. 유승현 외(2005).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초급, 중급, 고급). 아주대학교.
  7. 이규녀, 이병욱(2014). 초.중.고에서의 발명.지식재산교육 핵심 학습요소 편성 실태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 194-215.
  8. 이병욱 외(2012). 창의발명인재 육성 사업 추진 현황 및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특허청, 충남대학교.
  9. 이병욱 외(2013a). 청소년 발명교육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안 타당성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2), 199-224.
  10. 이병욱 외(2013b).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 체계 구축 및 활성화 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충남대학교.
  11. 이병욱, 이규녀, 이혁기(2014). 초.중등학교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 추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1), 25-48.
  12. 이병욱, 이찬주, 이상현(2014).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교육내용 반영 실태 및 요구 분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2), 1-18.
  13. 이춘식 외(2006). 정규 교과를 통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발명진흥회, 특허청.
  14. 최유현 외(2005). 발명부터 특허까지(초급, 중급, 고급). 한국발명진흥회, 특허청.
  15. 최유현 외(2011). 창의와 발명: 발명교육표준교재 개발(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국고, 충남대학교, 한국발명진흥회, 특허청.
  16. 최유현 외(2012).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 교육내용 표준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148-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