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ifferences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e Exhibition of Artworks and the Remediated Exhibition of Artwork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and

예술작품의 원작으로 구성된 전시와 원작을 재매개한 디지털 전시의 미적 경험에 대한 상이성 연구: <모네,빛을 그리다전(展)>와 <풍경으로 보는 인상주의전(展)>의 비교연구

  • 이보아 (서강대학교 아트&테크놀로지학과) ;
  • 최수민 (서강대학교 아트&테크놀로지학과) ;
  • 홍용석 (서강대학교 아트&테크놀로지학과)
  • Received : 2017.02.02
  • Accepted : 2017.03.14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This research concurrently conducts literature review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compare aesthetic experience of and . From the perspective of viewing attitudes, two types of perception equally coexist in both exhibitions: convergent perception is predominant over distracted perception in IL while distracted perception is higher than convergent perception in MIE. However, the influence of convergent perception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immersion is proved only in MIE. In terms of roles of viewer, there is a tendency to weigh on passive role in both exhibitions. In particula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role is relatively high in MIE. The role of viewer do not correlate with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immersion, as well as modes of perception. The elements of aesthetic experience are highly rated and the use of previous knowledge acts 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ole of viewers in IL. Through this study, we witness the fact that visitors who are familiar with traditional artworks depend upon both modes of perception as well as passive role of viewer in the digital exhibition. In conclusion, remediation through digital technology has blurred the boundary of the dichotomy of a viewing attitude and a role of viewer depending on exhibit media, consequently MIE bears both natures of traditional artworks and digital media.

본 연구는 전시매체적 상이성에 따른 미적 경험을 비교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풍경으로 보는 인상주의전(展)(이하 인상주의전)>과 <모네, 빛을 그리다전(展)(이하 모네전)>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정량적 연구를 병행했다. 감상태도의 관점에서, 두 전시에서 공통적으로 두 가지의 지각방식이 공존했다. 인상주의전에서는 집중적 지각이 우세했고, 모네전에서는 분산적 지각이 높았지만, 모네전에서만 집중적 지각의 전시만족도 및 전시몰입도에 대한 영향력이 입증되었다. 관람객 역할 측면에서는 두 전시에서 공통적으로 수동적 역할에 대한 비중이 높았으며, 관람객 역할은 지각방식 뿐만 아니라 전시만족도 및 전시몰입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인상주의전의 경우, 미적경험요소에 대한 평가가 높게 제시되었으며, 사전지식의 활용은 관람객의 역할에 긍정적인 영향력으로 작용했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예술작품에 익숙한 관람객들은 디지털 전시에 대해서도 수동적 역할을 취하면서 두 가지의 지각방식에 의존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기술을 통한 재매개는 전시의 매체적 상이성에 따른 감상태도 및 관람객 역할에 대한 이분법적 논리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명화 기반의 디지털 전시는 전통적인 예술작품 및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동시에 갖는다는 것이 주요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N. Simon and S. Bernstein, "Museum 2.0," What is Museum, 2006. (http://www.maximsurin.info/wp-content/uploads/pdf/museum-2-0.pdf)
  2. 신정원, "뉴미디어아트 미학의 가능성," 인문콘텐츠, 제20권, pp.35-59, 2011.
  3. 양지연, "박물관 전시물의 개념 변화와 전시물 기반 학습의 적용," 미술교육논총, 제20권, 제2호, pp.285-310, 2006.
  4. 정현희, "디지털 아트의 미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2권, 제1호, pp.203-212, 2012.
  5. 제이 데이비드 볼터, 리차드 그루신,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6. 신성열, "현대미술의 대중매체성과 예술철학적 의미," 인문과학연구, 제30권, pp.277-300, 2011.
  7. 김상호, "아우라와 재매개,"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2권, pp.105-138, 2010.
  8.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도서출판길, 2013.
  9. 오병남, 미학강의,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0. E. Bullough, "Psychical distance as a factor in art and an aesthetic principle,"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5, No.2, pp.87-118, 1912.
  11. G. C. Cupchik, "The evolution of psychical distance as an aesthetic concept," Culture & Psychology, Vol.8, No.2, pp.155-187, 2002. https://doi.org/10.1177/1354067X02008002437
  12. 심혜련,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아우라(Aura) 개념에 관하여," 시대와 철학, 제12권, 제1호, pp.145-176, 2001.
  13. 고창선, "뉴 미디어 아트에서 물리적 심미적 거리를 통한 관조의 재해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723-73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723
  14. 계보경, 김영수,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24권, 제4호, pp.193-224, 2008.
  15. 정익준, "박물관 관람객의 몰입경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실천민속학연구, 제12권, pp.331-352, 2008.
  16. R. Agarwal and E. Karahanna,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pp.665-694, 2000.
  17. 박지혜, 김병선, "박물관 전시 매체의 특성에 따른 관람객 경험의 차이,"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1호, pp.219-261, 2013.
  18. 김영은, "상호작용과 몰입모델연구,"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제2권, 제2호, pp.67-72, 2013.
  19. B. J. Pine and J. H. Gilmore,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Vol.76, pp.97-105, 1998.
  20. 박조원, "문화 소비에 따른 체험유형별 만족에 관한 연구," 문화정책논총, 제25권, 제2호, pp.217-241, 2011.
  21. 정석순, 이준엽, "전시의 체험요소 (4Es), 방문가치,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5권, 제2호, pp.175-193, 2011.
  22. Boa Rhee, Shin Hyo Kim, and Soo Min Shin,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the Digital Exhibition: A case study on Van Gogh Inside: Festival of Light and Music,"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21, No.10, pp.21-28, 2016. https://doi.org/10.9708/JKSCI.2016.21.10.021
  23. 윤여진, 윤은주, "전시회 체험에 따른 참가자 몰입이 전시회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무역전시연구, 제10권, 제1호, pp.83-106, 2015.
  24. 김지희, 한진수, "박물관 방문 관광객의 동기, 몰입, 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관광연구, 제26권, 제1호, pp.73-94, 2011.
  25. 정면주, 손주영,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와 관객과의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전시 해석매체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감성과학, 제14권, 제3호, pp.415-424, 2011.
  26. M. B. Stogner, "The Immersive Cultural Museum Experience-Creating Context and Story with New Media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Inclusive Museum, Vol.3, No.3, pp.117-130, 2011. https://doi.org/10.18848/1835-2014/CGP/v03i03/44339
  27. 하은경,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예술의 확장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pp.9-18, 2012.
  28. S. Bitgood, "Environmental psychology in museums, zoos, and other exhibition centers," In R. Bechtel and A. Churchman (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Psychology, John Wiley & Sons, pp.461-480, 2002.
  29. M. B. Stogner, "The Immersive Cultural Museum Experience-Creating Context and Story with New Media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Inclusive Museum, Vol.3, No.3, pp.117-130, 2011. https://doi.org/10.18848/1835-2014/CGP/v03i03/44339
  30. 김효연, 몰입경험요소를 적용한 기업홍보관 실내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1. 석임복, 강이철, "Csikszentmihalyi 의 몰입 요소에 근거한 학습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1호, pp.121-154, 2007.
  32. M. Csikszentmihalyi and R.E. Robinson, "The art of seeing: An interpretation of the aesthetic encounter,"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Vol.27, No.1,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