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vorced Single Mothers'Experience of Self-Independence

이혼한 여성 한부모들의 자립경험

  • 성정현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2.08
  • Accepted : 2017.03.08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life experience of divorced mothers' self-independence and to search for ways of helping their self-independence in social welfare practices.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divorced mothers about life experience of psycho-social and economic spheres, child care, job experience,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ingle mothers had experienced psychological distress of depression, feeling of reject and betrayal, difficulties in child care, and so on. They had experienced of various jobs to cope with economic difficulties. After divorce, they had explored informations and support resources to receive help for their children, and they endeavored to acquire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They accepted their divorces in themselves and they rebuilt relationships with ex-husband, excised perceptions of self-control in finances and child discipline spheres. And they established of mid-to long-term life goals, and did not abandon their dreams and visions in despite of their poor qua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e ways of social welfare practices to help and support single mothers' self-independence we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part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이혼을 경험한 여성 한부모들의 자립 경험을 탐색하여 한부모들의 자립을 도울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미 자립을 한 10명의 이혼여성을 대상으로 자립 및 적응 경험을 심층면접 하였다. 연구결과, 참가자들은 이혼 당시 배우자에 대한 배신감과 실망감, 우울 등의 심리 정서적 어려움과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경제적 문제, 주거 빈곤을 경험하였으며, 이런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임시직을 경험하고 지속적인 정보탐색 및 고등교육 과정의 이수, 자격증 취득 등 경력을 개발하는 노력을 하였고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정서적으로는 이혼을 수용하고 자녀와 전배우자 간 관계를 재정립했으며, 생활과 자녀관계에 대해서는 자아통제력을 행사하였다. 또 원가족의 승인과 한부모 자조모임, 지역사회지지 망을 확보하였으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중장기 계획과 목표를 수립하여 매진하는 삶을 삼으로써 희망과 기대를 놓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자립 및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2016.
  2. S. B. Kincaid and R. A. Caldwell, "Marital separation: causes. coping and consequences," Journal of Divorce, Vol.22, No.3/4, pp.109-127, 1995.
  3. B. L. Bloom, S. J. Asher, and S. W. White, "Marital disruption as a stressor: a review and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85, No.4, pp.867-894, 1978. https://doi.org/10.1037/0033-2909.85.4.867
  4. E. Hethering, M. Cox, and R. Cox, "Long-term effects of divorce and remarriage on the adjustment of childre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Vol.24, pp.518-530, 1978.
  5. S. J. Price and P. C. Mckenry, Divorce, FAmily studies text series 9. Sage Pub, 1988.
  6. 성정현, 성역할태도와 이혼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7. R. S. Weiss, Marital Seperation, NY: Basuc Books, 1975.
  8. G. C. Kisson and M. B. Sussman, "Marital complai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of mental distress in divor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4, pp.87-101, 1982. https://doi.org/10.2307/351265
  9. 김은지, 황정임, 저소득한부모가족아동양육비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10. 송다영, 성정현, "근로빈곤층 여성가장 가구의 생활실태와 심리사회적 문제에 대한 연구," 사회정책연구, Vol.25, pp.81-106, 2006(8).
  11. 김명희, 양육미혼모 모자가정 건강실태조사 결과 보고. 한국여성재단, 2014.
  12. S. D. McLanahan and K. Booth, "Mother-only families: problems, prospects, and politic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1, pp.557-580, 1989. https://doi.org/10.2307/352157
  13. 강철희, "시설보호아동의 자립준비 실태에 관한 연구: 퇴소를 준비하고 있는 아동과 퇴소 후 자립지원시설에 거주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이화사회복지연구, Vol.1, pp.170-219, 2002(3).
  14. 김지혜, 조성희, "양육미혼모의 자립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18, No.2, pp.149-180, 2016.
  15. 신해령,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청소년과 보육사의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16. 조규필, 정경은, "취약청소년의 자립준비도 분석: 두드림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Vol.23, No.3, pp.267-292. 2016.
  17. 남연희, 김영상, "지체장애인의 자립도와 자립생활을 위한 서비스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Vol.9, No.1, pp.81-110. 2005.
  18. 송욱, 여성의 이혼 후 적응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9. 윤상용.김태완, "장애인과 저축: 저축 결정요인과 고용상태 및 생활만족도 효과". 장애와 고용. Vol. 22(3), pp. 101-124. 2012.
  20. 옥선화, 최새은, 권소영, 강유진,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사회관계망 지원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22, No.1, pp.181-191. 2004.
  21. M. Yu, "Divorce and culturally different older women: issues of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Vol.21, No.1/2, pp.41-53, 1994. https://doi.org/10.1300/J087v21n01_03
  22. N. B. Fisher, Exploratory study of how women changing during separation/divorce proces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94.
  23. G. C. Kitson and H. J. Raschke, "Divorce research: What we know, what we need to know," Journal of Divorce, Vol.4, No.3, pp.1-37, 1981. https://doi.org/10.1300/J279v04n03_01
  24. K. Bursik, Adaptation to marital separation and divorce: a context for ego development in adult women, Ph.D. Dissertation, Boston Univ., 1986.
  25. K. Bursik, "Correlates of women's adjustment during the separation and divorce process," In Women and divorce, men and divorce: gender differences in separation, divorce and remarriage, edited by Volgy, S. S., The Haworth Press, pp.139-162, 1991.
  26. C. R. Bienstock, The dffect of sex role attitudes on coping patterns in divorced single parent mothers, Ph,D. Dissertation, New York Univ., 1988.
  27. P. J. Smock, "The economic costs of marital distruption for young women over the past two decades," Demography, Vol.30, pp.353-371, 1993. https://doi.org/10.2307/2061645
  28. 김옥희, 김연경, "중년여성의 애착, 외상 후 성장 및 자기실현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2, pp.507-51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507
  29. 이화명, 정원철, "한부모 빈곤여성의 사회적 배제감이 탈빈곤 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pp.760-77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760
  30. 성정현, "The Single Mothers' Experience of Self-Independence in Contemporary Korea," 제26회, 일본가족사회학회 대회,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