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Disabled Wage Workers' Occupational Ability on Job Quality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업능력이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전명숙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정원철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1.12
  • Accepted : 2017.02.07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vocational education and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led wage workers' occupational ability and job quality.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mpetence and employment quality was theoretically examined and empirically analyzed based on human capital theory, screening theory, and job competition theory. The empirical analysis used data on 975 disabled wage workers with the use of the data of the 8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2015).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it was found that the occupational ability of the disabled work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Wage, job status, job satisfaction, which constitute the quality of employme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job quality can be improved by ameliorating disabled people's occupational ability.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that there might be a need to extend customized educa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for improving disabled people's occupational ability.

본 연구는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업능력과 고용의 질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장애인의 직업교육과 고용정책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적자본이론 및 선별이론, 직무경쟁이론을 바탕으로 직업능력과 고용의 질 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은 장애인고용패널 제8차년도(2015년)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 임금근로자 97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업능력은 고용의 질의 임금, 종사자지위, 직무만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장애인의 직업능력향상을 통하여 고용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 교육시설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유동철, "장애인 취업알선 서비스가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18권, 제1호, pp.5-26, 2008.
  2. 나영희, 서혜정, 전동일, 김인순, 이광원, 김승완, 2015 장애인백서,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3. 박자경, "저임금 근로 장애인의 특성 및일자리 이동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24권, 제2호, pp.65-86, 2014.
  4. 주석진, 한성덕, "근로형태에 따른 장애인 근로자의 근로조건 및 직무만족도 차이,"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3호, pp.47-74, 2010.
  5. 변경희,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용의 질' 개념 및 결정요인,"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2호, pp.189-211, 2010.
  6. 신은경, "지체장애인의 고용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장애와 고용, 제18권, 제2호, pp.159-183, 2008.
  7. 김범규, 김언아, 김용탁, 남용현, "취업경로가 장애인 임금근로자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3호, pp.197-228, 2015.
  8. 손지아, 박순미, "괜찮은 일자리 (Decent Job)의 관점에서 본 장애인 고용의 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동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pp.131-165, 2011.
  9. 이종범,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성취기준 개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0. 박경수, "맞춤형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강화 방안," 연구자료, pp.215-266, 2015
  11. 이현경, 박효은, 최만규,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 수준, 직업능력 및 취업욕구관련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65-27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65
  12. 이채식, 김명식, "장애인의 일자리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6 권, 제2호, pp.107-131, 2016.
  13. 이채식, 김명식,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제 특성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3권, 제1호, pp.327-356, 2013.
  14. 황준욱, "이슈분석: ILO 의" 일다운 일 (decent work)" 에 대한 발전적 논의," 노동리뷰, 2005년 (4 월), pp.21-34, 2005.
  15. 송창근, 나운환, 이혜경, "사회적기업 인증이 직업재활시설의 고용의 질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3권, 제2호, pp.273-293, 2014.
  16. C. Jencks, L. Perman, and L. Rainwater, "What is a good job? A new measure of labor-market succes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pp.1322-1357, 1988.
  17. A. E. Clark, Measures of job satisfaction: What makes a good job? Evidence from OECD countries (No. 34), OECD Publishing, 1988.
  18. J. A. Ritter and R. Anker, "Good jobs, bad jobs: Workers' evaluations in five countries," International Labour Review, Vol.141, No.4, pp.331-358, 2002. https://doi.org/10.1111/j.1564-913X.2002.tb00244.x
  19. 이상헌, "Decent work : 무엇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국제노동브리프, 제3권, 제7호, pp.4-11, 2005.
  20. 김용탁, "장애인 취업자의 취업경로 분석," 장애와 고용, 제21권, 제3호, pp.5-26, 2011.
  21. 강정한, 양유민, "사회적 연결망의 동원이 장애인의 취업과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3권, 제2호, pp.29-51, 2013.
  22. 정철영, 서우석, 나승일, 송병국, 이종성, "직업 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 실태 분석," 직업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pp.21-37, 1999.
  23. B. Bolton, "Measuring rehabilitation outcomes,"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Vol.44, No.2, pp.67-75, 2001 https://doi.org/10.1177/003435520104400203
  24. 유완식, 이정주, "장애인 직업능력 개발훈련 효과분석 연구," 직업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p.111-133, 2006.
  25. 박동열, 주인중, 진미석, 최선아,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 직업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pp.349-385, 2010.
  26. 장숙, 김영애, "여성장애인 근로자의 좋은 일자리 결정 요인 연구,"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4호, pp.239-267, 2015.
  27. 김영준, 도명애, "지역사회 사업체 참조 직업훈련이 비고용 발달장애인의 직무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5권, 제3호, pp.215-237, 2014
  28. O. Ashenfelter, "Estimating The Effect of Programs on Earning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60, pp.47-57, 1978. https://doi.org/10.2307/1924332
  29. P. J. Taubman and T. J. Wales, "Higher education, mental ability, and screening,"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81, pp.28-55, 1973. https://doi.org/10.1086/260005
  30. M. H. Wolbers, "Job Mismatches and their Labour‐Market Effects among School Leavers in Europe,"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Vol.19, No.3, pp.249-266, 2003. https://doi.org/10.1093/esr/19.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