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ing Statistics of the Direct and Indirect Socioeconomic Losses from Storm and Flood to Construct Reg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지역공간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풍수해의 사회경제적인 직·간접손실 항목 도출에 관한 연구

  • 현수현 (서경대학교 도시안전연구센터) ;
  • 김학열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7.01.18
  • Accepted : 2017.02.13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Since disasters have been getting stronger and wider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those impacts on social and national economy have been also getting more severe in various subjects. However, as direct property damage as well as casualties are only measured in case of disasters, monetary figures on its losses are likely to be underestimated, which are known as a major barrier to both compensation for loss and making a regional disaster management plan.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atistics appropriate to the direct and indirect socioeconomic losses, which have continuously been overlooked.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defines the scope of direct and indirect socioeconomic losses, provides a framework for developing those measurements, and determines a preliminary statistics list. Selection criteria to set the final list are decided and are then applied to the lis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to estimate and calculate its socioeconomic losses from storm and flood.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에 의해 재난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사회 및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재해손실 통계는 직접적인 인명피해를 제외하면 물리적인 피해에만 국한되어 있어 피해규모가 과소 집계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피해자의 보상 및 정부 지자체의 재난정책 수립에도 장애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간과되어 온 사회경제적 직 간접 손실의 피해항목을 조사 분석하여 국내의 실정에 맞는 기본통계 항목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재해피해 통계 현황과 선행연구 등을 검토하여 사회경제적 직 간접 손실에 대한 개념 및 프레임워크를 설정하고, 예비 통계항목을 도출하였다. 이후, 통계항목의 선별기준을 정립하여 최종 통계항목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풍수해의 사회경제적인 영향과 피해규모를 산정하고 예측하는 기술개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안전처 보도자료, "9.12 지진 피해지역 복구 비용 145억원 확정," 2016.
  2. 국민안전처 보도자료,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태풍'차바'등 피해지역 복구비용 총 5,049억원 최종 확정," 2016.
  3. 국민안전처 보도자료, "울산 북구.울주군 특별재난지역 선포, 피해주민 생활안정화 지원," 2016.
  4. 국민안전처 보도자료, "6개 지자체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 피해주민 생활안정화 지원," 2016.
  5. 자연재난조사 및 복구계획수립 요령, 국민안전처 훈령 제91호, 2015.
  6. 자연재해대책법, 법률 제12942호, 2014.
  7.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법률 제13440호, 2015.
  8. 재난구호 및 재난복구 비용 부담기준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369호, 2015.
  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 운영규정, 국민안전처훈령 제64호, 2015.
  10. 국립방재연구원, "도시홍수 손실평가기법 개발 방안," 2012.
  11. 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손실 추정 시스템 세부 설계 및 재난지역 조사.분석, 샤인프린팅, 2013.
  12. FEMA, Multi-hazard Loss Estimation Methodology Flood Model Hazus$^{(R)}$-MH MR5 Technical Manual, FEMA, 2015.
  13. ECLAC, Handbook for Disaster Assessment, ECLAC, 2014.
  14. 國道交通省河川局, 治水経済調査マニュアル (案), 國道交通省, 2005.
  15. 강주화, 유순영, 윤성민, "자연재해의 경제적 영향평가 연구방법론과 백두산화산재해에의 적용 가능성," 자원환경지질, 제47권, 제2호, pp.133-146, 2014. https://doi.org/10.9719/EEG.2014.47.2.133
  16. Committee on Assessing the Costs of Natural Disasters, The Impacts of Natural Disasters: A Framework for Loss Estimation,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9.
  17. 삼성경제연구소, "기상재해의 경제학," CEO Information, 제155호, 1998.
  18. 채여라, 김희정, 윤동근,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 체계 및 자료 구축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3.
  1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시재생 DB 및 정보시스템 모형 개발, 서전문화사, 2008.
  20. W. Virginia, "Maclaren, Urban Sustainability Reporti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62, No.2, Spring, 1996.
  21. P. Hardi, Models and Methods of Measuring Sustainable Development Performanc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