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동시대 '대항기억'의 기록화 용산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Documenting Contemporary 'Counter-memories': Focused on the Yongsan Tragedy

  • 이경래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이광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 투고 : 2017.06.30
  • 심사 : 2017.07.17
  • 발행 : 2017.07.30

초록

본 연구는 동시대 비민주적 폭력으로 점철된 사회사적 사건들 가운데에서 점차 잊혀져가는 사회적 타자들의 기억을 재소환하기 위해 이뤄졌다. 이 글은 그 극적 사례로써 2009년 '용산4구역 철거현장 화재사건'(이하 용산참사)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다. 본 연구는 공적 기록의 빈 공백을 대신해 용산참사 속 현장 예술행동가들의 사회적 사건들을 새롭게 기억하는 자율적 방식에 주목한다. 다시 말해 이 연구는 용산참사의 경우를 일반 시민, 문화예술가, 독립미디어 활동가, 종교인 등이 함께 연대해 국가 권력 중심의 공식 내러티브에 대항해 경쟁서사를 마련하고 대항기억을 스스로 재구성하면서 시민 기록의 의미를 되살렸던 중요한 사례로 바라본다. 당시 그 누구보다 현장 예술가들은 용산참사에 대한 기록의 과정에서 배제되고 타자화된 도시 빈민들의 절규에 귀 기울이면서, 전시 및 음악 공연 기획과 도록 작업, 만화집, 현장르포 사진집, 미디어 방송, 다큐멘터리 영화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자율적인 방식으로 사회적으로 소외된 이들의 감성과 정서를 기록했다. 특히 이 글은 현장 예술가들에 의해 수행됐던 참사 당시 비공식 대항기억 기록화의 움직임을 동시대 사회사적 사건의 기록화에 있어 중요한 전략으로 고려하고 이를 중요한 탐구 대상으로 삼는다. 이에 의거해 결론에서는 현장 예술의 동시대 현장 기록 방식이 가지는 기록학적 함의와 이를 사회 공통의 기억 속에 기입하기 위한 좀 더 포괄적인 기록화 방법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tends to rehabilitate the memories of the social other which have been gradually forgotten in the social events overloaded with the undemocratic violence in South Korea today. This study explores a case of Yongsan Tragedy in 2009 among the most tragic events. It notes the autonomous ways in which activist artists would like to memorize the socio-historical events anew despite the emptiness of public records. In other words, this study considers the Yongsan case to be significant that a group of the public, artists, grassroots activists, religion men got together in solidarity so as to create the contested narratives countering dominant memories and thus to signify the records written by the civil society. Among others, activist artists had documented the unofficial counter-memories of socially alienated peoples in terms of planning a series of artistic events such as opening some gallery exhibitions and performance events, issuing a volume of work books, comics and photographies, online broadcasting, and directing some documentaries. Especially, this paper tends to note the documentation of on-site activist artists to record the counter-memories against social oblivion. By doing so, it finally suggests how we could document the Yongsan Tragedy both to search out the archival implications of today's art activism and to insert those artistic records into the commonly shared counter-memories in a more inclusive wa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승한, 김명준. 2012. Occupy Wall Street 운동에 나타난 협력적 미디어 문화생산: 카스텔의 '정체성'과 '상징'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4), 5-53.
  2. 김기곤. 2012. 기억과 공간의 정치문화사: 대안적 기억문화에 대한 모색, 중앙대 대학원신문, 06. 08.
  3. 김기곤. 2009. 국가폭력, 하나의 사건과 두 가지 재현. 민주주의와 인권, 9(1), 27-63.
  4. 박현선. 2016 여름. 정동의 이론적 갈래들과 미적 기능에 대하여. 문화과학, 86, 59-81.
  5. 서울시. 2017. 용산참사, 기억과 성찰
  6. 안태호. 2010. 이제, 끝나지 않은 질문을 던지자, 끝나지 않은 전시, 삶이 보이는 창.
  7. 용산참사와 함께하는 미술인들. 2010. 끝나지 않은 전시, 삶이 보이는 창.
  8. 이광석. 2016. 옥상의 미학노트, 현실문화.
  9. 이향우. 2012. 네트워크 사회운동과 하향적 집합운동. 경제와 사회, 95.
  10. 이현정. 2014. 기록학 실천주의의 과제와 전망. 기록학연구, 42, 213-243.
  11. 작가선언 69. 2009. 지금 내리실 역은 용산참사역입니다. 실천문학사.
  12. 전진성. 2008. 대항기억을 넘어서. 기억과 기록을 통해 본 인류비극의 역사에 대한 자기성찰(미국 홀로코스트기념관 전문가 초청 국제행사 자료집),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53-78.
  13. Cifor, Marika. 2016. Affecting relations: introducing affect theory to archival discourse. Archival Science, 16:1, 7-31. https://doi.org/10.1007/s10502-015-9261-5
  14. Cvetkovich, Ann. 2003. An Archive of Feelings: Trauma, Sexuality, and Lesbian Public Cultures, Duke University Press.
  15. Downey, Anthony, ed. 2015. Dissonant Archives: Contemporary Visual Culture and Contested Narratives in the Middle East. I. B. Tauris.
  16. Flinn, Andrew & Alexander, Ben. 2015. Humanizing an inevitability political craft':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archiving activism and activist archiving. Archival Science, 15:4, 329-335. https://doi.org/10.1007/s10502-015-9260-6
  17. Foucault, Michel. 1980. Language, Counter-memory, Practice: Selected Essays and Interviews. Cornell University Press.
  18. Ketelaar, Eric. 2009. A living archives, shared by communities of records. Community archives, facet publishing, 109-132.
  19. LaCapra, Dominick. 2008. Writing History, Writing Trauma. 치유의 역사학으로, 육영수 조지형, 김택형, 김우민, 최영화, 이화신 옮김, 푸른역사.
  20. Ranciere, Jacques. 2008(2000). Le partage du sensible: esthétique et politique. 감성의 분할: 미학과 정치, 오윤성 옮김, 도서출판b.
  21. Sellie, Alycia, Goldstein, Jesse, Fair, Molly & Hoyer, Jennifer. 2015. Interference Archive: a free space for social movement culture. Archival Science, 15:4, 453-472. https://doi.org/10.1007/s10502-015-9245-5
  22. Shepherd, Elizabeth & Yeo, Geoffrey. 2003. Managing Records: A Handbook of Principles and Practice, London: Facet Publishing.
  23. 경향신문. 2010. 용산에 가면 시대가 보이다. 01.07. 검색일자: 2017.4.5.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1071734035&code=100203
  24. 용산 철거민 사망사건 진상조사단. 2009. 용산 철거민 사망사건 진상 조사 보고서. 검색일자: 2017.6.8. http://mbout.jinbo.net/data/data/mbout_11/15/용산철거민사만사건최종진상보고서_완본.pdf
  25. 촛불미디어방송. 2009. 검색일자: 2016.3.15. http://cafe.daum.net/Cmedia

피인용 문헌

  1. 국가기록혁신과 기록담론 vol.56, pp.None, 2018, https://doi.org/10.20923/kjas.2018.56.049
  2. 기억, 기록, 아카이브 정의(正義) vol.89,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9.59.277
  3. 공공기록 평가의 책임과 권한의 분배 '시민참여 평가'를 중심으로 vol.60,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9.60.049
  4. 일상생활과 기록 vol.63,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20.63.167
  5. 기록과 기억의 재현 삼중의 미메시스로 실재읽기 vol.69,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21.69.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