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Past Item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수학과 중등임용 확률과 통계학 기출문항 분석

  • Received : 2017.10.26
  • Accepted : 2017.11.10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In this paper, in the last 4 years(2014~2017 school year), we classified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al items based on the evaluation scope of the mathematics subject content knowledge which were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 classified items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in order to induce normalization of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al curriculum, four assessment field should be evenly distributed. Second, integrated thinking and comprehensive analytical thinking assessment is required. Third, item an epilogue should be used to measure mathematical thinking and logical competence. Fourth, the ratio of the number of items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to the number of that was 7.7%~10.0%, and the ratio according to the item weighting was 5.0%~7.5%. Fifth, it maintains the policy of stabilizing a good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items. Finally, probability and statistical assessment should focus on measuring problem solving ability from an inductive point of view.

본 연구에서는 최근 4개년(2014~2017학년도)의 수학교과내용학 기출문항 가운데 확률과 통계학 문항을 분석 대상 문항으로 분류하고, 수학과 임용시험 문항 분석틀을 기반으로 분류된 문항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확률과 통계학 교육과정의 정상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4개 평가영역이 고르게 출제되어야 한다. 둘째, 통합적 사고, 종합 분석적인 사고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수학적 사고력과 논리적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 발문이 사용되어야 한다. 넷째, 문항 수에 의한 출제 비율은 7.7%~10.0%이고, 배점에 따른 비율은 이 보다 낮은 5.0%~7.5% 사이로 출제되었다. 다섯째, 적정난이도 안정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여섯째, 확률과 통계학은 귀납적 관점의 문제해결력 측정을 해야 한다는 결론과 시사점을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교사신규채용제도 개선. 2012.2.15. 보도자료.
  2.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2015.9.23. 보도자료.
  3. 교육부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교육부.
  4. 김동욱 (2012). 수학과 중등교사 신규임용후보자 선정 경쟁 1차 시험 문항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서울.
  5. 김원경, 문소영, 변지영 (2006).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수학교육, 45(4), 381-406.
  6. 김응환 (2004). 학교수학에서 통계교육의 개산방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2), 51-65.
  7. 변지수, 최병옥 (2012). 중등교사 임용시험 수학교과 내용학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한국수학사학회지, 25(3), 119-140.
  8. 서보람 (2012). 중등 수학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9. 전영주 (2014). 중등교사 임용시험 수학교과교육학 기출 문항 분석. 한국수학사학회지, 27(5), 347-364. https://doi.org/10.14477/jhm.2014.27.5.347
  10. 조민정 (2014). 최근 6년간 중등교원임용시험 수학내용학 출제 문항 분석 : 위상수학, 미분기하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부산.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a).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의 출제.채점 체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8-9-1.
  1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b).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표시과목 수학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8-6-2.
  13.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Mathematics K-12 Learning Standards). http://www.k12.wa.us/Mathematics/Standards.aspx
  14. Freudenthal, H. (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 Reidel Publishing Company.
  1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 Reston, VA: Author.
  16. Lajoie, S. P., Jacobs, V. R., & Lavigne, N. C. (1995). Empowering childern in the use of statistic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4(4), 401-425. https://doi.org/10.1016/0732-3123(95)90039-X
  17. Scheaffer, R. L., Watkins, A. E. & Landwehr, J. M. (1998). Reflection on Statistics, edited by Susanne p. Lajoie: What every high-school graduate should know about statistics,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