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15.
-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14.
- 금재호, "임금불평등과 고용," 노동정책연구, 제95 권, pp.1-3, 2013.
- 김제선, 김선웅, "준고령자의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지속정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718-728,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718
- 권기창, "시니어계층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124-13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24
- 김대희, 고령자 취업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고령자 취업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류기상, 한국의 고령인력 재취업 정책 및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교육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송희영, 비자발적 퇴직 후 재취업에 성공한 베이비붐세대 중년남성의 학습경험 연구 : 금융권 종사 경험자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평생교육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6.
- 이현기, "고령자 재취업과 지역복지정책적의 함의," 한국노인복지학, 제11권, 제3호, pp.87-118, 2001.
- 라진구, 고령자 재취업 및 직종선택의 결정요인과 정책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 엄동욱, "중고령자의 취업결정요인 : 국민노후보장패널 1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제8권, 제3호, pp.17-38, 2008.
- 강철희, 김교성, "실업자의 재취업과 재취업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39권, pp.5-40, 2009.
- 성지미, 안주엽,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노동 정책연구, 제6권, 제1호, pp.39-74, 2006.
- 하태종, 고령자 고용문제와 고용대책에 관한 연구 : 서울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명제대학교 경제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 이성용, "중.고령자의 실직.재취업에 대한 동태분석," 한국사회학, pp.645-660, 2009.
- 유태균, "IMF 이후 발생한 실업자의 실업탈피 가능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39권, pp.210-237, 1999.
- 윤형호, 김성준, "고령자 재취업의 영향요인 분석 : 서울시 사례," 한국행정연구, 제16권, 제1호, pp.99-121, 2007.
- 김학주, 우경숙, "중고령자의 재취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4권, 제2호, pp.97-110, 2004.
- 김미희, 탁진국, 한태영, 한영석, 유태용, "중.장년층 재취업 결정요인과 재취업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 제12권, 제4호, pp.537-557, 2007.
- 백주희, "한국 중.노년기 은퇴 경험자들의 노동 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273-287, 2014.
- 이성용, 방하남, "성.연령별 중.고령 노동자의 취업 양극화 분석,"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593-610, 2009.
- 이복자,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 M. Granovetter, "The Sterngth of Weak Ties: A Network Theory Revisited," Sociological Theroy, Vol.1, pp.201-233, 1983. https://doi.org/10.2307/202051
- M. Granovetter, "The Ster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78, issue 6, May, pp.1360-1380, 1973. https://doi.org/10.1086/225469
- 엄미나, 사회적 자본이 고령자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2.
- 김종향,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고령자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임상사회사업연구, 제8권, 제2호, pp.47-70, 2011.
- 이경상, 취업시장에서의 개인적 연결망의 특성과 직업성취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2001.
- 이정규, "노동자-직업 연결방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와 고용보험제도에 대한 합의," 한국사회학, 제32권, 제3호, pp.531-564, 2000.
- 김성훈, "취업자의 사회 연결망 활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한국노동경제학, 제26권, 제3호, pp.209-230, 2003.
- R. S. Burt, "Attachment, Decay, and Social Network,"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2, pp.619-643, 2001. https://doi.org/10.1002/job.106
- B. Wegener, "Job Mobility and Social Ties: Social Resources, Prior Job, and Status Attain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6, pp.60-71, 1991. https://doi.org/10.2307/2095673
- 안재희, 대학교육을 통한 제도적 사회자본의 형성 및 활용과 대졸여성의 취업, 숙명여자대학교 교육사회학, 박사학위논문, 2005.
- Michael C. Keeley and Philip K. Robins "Government Programs, Job Search Requirements, and the Duration of Unemployment," Journal of Labor Economics, pp.337-362, 1985.
- Stephen R. G. Jones, "Reservation Wages and the Cost of Unemployment," Economica, New Series, pp.225-246, 1989.
- 홍성우, 양채열, "실직근로자의 직업탐색과 재취업: 광주지역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논집, 제22권, 제1호, pp.1-29, 1999.
- 이상록, "실직기간 구직활동이 실직자의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43권, pp.299-327, 2000.
- 서미경, 최희진, "비취업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취업의사 결정요인 비교 연구," 한국노인복지학, 제53권, 제3호, pp.125-154,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