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alidity Verification of ARCS Evaluation Models for Promoting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대학생의 학습동기 촉진을 위한 ARCS 평가모형의 타당화 검증

  • 김미례 (호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7.10.18
  • Accepted : 2017.11.08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Due to the lack of learning motivation, there is a need to seek ways to facilitate learning incentives because it's causing drop out and maladjustment of university life.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ARCS evaluation model developed by Keller (1983) is a valid model for evaluating the motivation level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sample 276(male 116, female 157) in the Republic of Korea. To analyze the data, average statistic, one-way ANOVA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were us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otivation per ARCS factor has demonstrated the highest relevance factor. Second, the level of motivation by the ARCS for the 1st and 3rd graders was appropriate. Differences in 'attention' and 'relevance' have only been observed for each year, and the 1st grade group was found to be larger than the 2nd grade cohort. Third, construc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obtained for measuring the level of motivatio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variables also showed that the AVE and CR were met, and the model fit well was satisfactory.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학습동기 저하로 인해 중도탈락과 대학생활 부적응이 심화되어 가고 있기에 학습동기촉진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J 지역대학에 재학 중인 학습자 273명(남 116, 여 157)을 대상으로 Keller(1983)가 제안한 ARCS 평가모형이 동기수준을 평가하는데 타당한 모형인지 탐색적 차원에서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평균통계량, 일원분산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ARCS 요인별 동기수준은 관련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의 경우 1학년 및 3학년 학생에 대한 ARCS 동기수준은 적절했다. 학년별로 '주의집중'과 '관련성' 경우만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1학년 집단이 2학년 집단에 비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동기수준 측정을 위한 구성타당도 및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도 변인의 평균분산추출지수(AVE) 및 복합신뢰도(CR)가 적절하였으며, 모형적합도도 양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 연구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숙, "독일 역량기반교육과정의 개혁과 시사점," 한국교육, 제36권, 제4호, pp.5-28, 2009.
  2. J. M. Keller, 학습과 수행을 위한 동기 설계 ARCS 모형 접근, (조일현, 김찬민, 허희옥, 서순식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09.
  3. J. Brophy, "Research linking teacher behavior to student achievement: Potential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of Chapter 1 students," Educational Psychologist, Vol.23, No.3, pp.235-286, 1988.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303_3
  4. S. H. Song and J. M. Keller, "Effectiveness of motivationally adaptiv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on the dynamic aspects of motiva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49, No.2, pp.5-22, 2001. https://doi.org/10.1007/BF02504925
  5. K. J. Pugh and D. A. Bergin, "Motivational influences on transfer," Educational Psychologist, Vol.41, No.3, pp.147-160, 2006. https://doi.org/10.1207/s15326985ep4103_2
  6. B. L. Martin and L. J. Briggs, The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s: Integration for theory and research,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1986.
  7. B. S. Bloom and D. R. Krathwohl,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I: Cognitive domain, 1956.
  8. E. L. Deci, Intrinsic motivation, New York: Plenum, 1975.
  9. 이제현, 생명과학 관련 과학사 자료를 적용한 ARCS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전략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0. 장수빈, ARCS 전략을 적용한 수업이 학습동기, 수업참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1. B. Naime-Diffenbach, Validation of attention and confidence as independent corn ponents of the ARCS motivational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FL, 1991.
  12. N. L. Bickford, The systematic application of principles of motivation the design of printed instructional materi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1989.
  13. J. D. Klein and E. T. Freitag, "Training students to utilize self-motivational strategies," Educational Technology, Vol.32, No.3, pp.44-48, 1992.
  14. C. P. Fulford and S. Zhang, "Perception of interaction: The critical predictor in distance education,"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7, No.3, pp.8-21, 1993. https://doi.org/10.1080/08923649309526830
  15. J. L. Means, D. H. Jonassen, and F. M. Dwyer, "Enhancing relevance: Embedded ARCS strategies vs. purpos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45, pp.5-17, 1997.
  16. S. H. Song, The effect of motivationaly -adaptive CAI developed through the ARCS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lege of Educ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Florida, USA, 1998.
  17. 강물레, 손미, "ARCS 동기 전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2권, 제4호, pp.83-104, 2006.
  18. 박수경, ARCS 전략을 적용한 구성주의적 수업이 과학개념 획득과 동기 유발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19. 김무선,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탐구수업이 초등학교 4 학년 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0. 최명숙, 김경숙, "중학교 가정과 수업에서 ARCS 동기 모형 적용이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17권, 제3호, pp.109-121, 2005.
  21. 진위교, 나종식, "자기규제 기능수준에 따른 ARCS 전략 하이퍼미디어의 유형과 구조가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제21권, 제1호, pp.305-326, 2000.
  22. 진옥인, ARCS 모델을 활용한 수학수업이 학업 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3. 김영석,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 및 학습동기 연구동향 분석: 2000년부터 2011년까지 등재지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제15권, 제1호, pp.31-62, 2012.
  24. 박재환, 김용태, "창업교육 만족도 및 참여동기가 창업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대학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22권, 제2호, pp.959-977, 2009.
  25. 강명희, 윤희정, 김지심, 김혜선,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실제성, 학습동기, 성취도간의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24권, 제3호, pp.23-52, 2008.
  26. 봉미미, 김은나, 박성희, 이명진, "ARCS 전략에 따른 진로체험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효과," 평생교육.HRD 연구, 제7권, 제4호, pp.68-88, 2011.
  27. 강명희, "교육용 소프트웨어에 적용된 ARCS 동기유발 모델의 효과 측정," 교육공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35-155, 1994.
  28. J. M. Keller,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Vol.10, No.3, pp.2-10, 1987. https://doi.org/10.1007/BF02905967
  29.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p.295-336), In G. A. Marcoulides (ed.),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8.
  30. 조재옥, "ARCS 동기유발 모형을 적용한 대학 교양영어 학습연구," 교양교육연구, 제8권, 제6호, pp.111-141, 2014.
  31. 류은수, 서민원, "e-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이 ARCS모형을 매개로 한 동기요인과 학생성과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교육평가연구, 제 27권, 제3호, pp.727-756, 2014.
  32. 김가람, ARCS 적용 합주지도가 초등학생의 정의적 반응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3. 김수진, ARCS동기전략을 활용한 음악감상수업이 초등학생의 음악흥미도 및 음악개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