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Aged more than 65 Years according to the Insurance Type

의료보장유형에 따른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연구

  • 홍주연 (충북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의료정보학 및 관리학교실) ;
  • 김가중 (극동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6.04.21
  • Accepted : 2016.06.07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for 3 years from 2011 to 2013 were analyzed for evaluation. This study attempts to comprehensively evaluate differences between elderly medical aid beneficiaries and elderly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in term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ll of elderly medical aid beneficiaries who responded community health survey were included for study and elderly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were randomly selected as a control group by matching gender, age and loca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elderly medical aid beneficiaries can not receive sufficient health care services, even though they have pay a low socio-economic status, spouse or fewer households enemies and poorer health behavior and higher morbidity of chronic diseases than the elderly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do. But elderly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also showed that not enough care utilization is high morbidity of chronic diseases. These factors aggravate the medical aid beneficiarie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is characteristic was analyzed to low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ive fo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services and program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at may go though a limited resource and promot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more effectively re-evaluation of social services systems and programs related to elderly.

본 연구에서는 2011년도부터 2013년도까지 3년간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65세 이상 노인 의료급여수급권자와 노인건강보험가입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등 포괄적인 평가를 해보고자 하였다. 노인의 료급여수급권자와 노인건강보험가입자의 비교를 위해 노인의료급여수급권자 678,869명과 성, 연령, 지역(시,구,군)을 1: 1 짝짓기 하는 방법으로 노인건강보험가입자를 무작위 추출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료급여수급권자가 노인건강보험가입자보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고, 배우자가 없거나 가구원수가 적고, 건강행태가 불량하고 만성질환의 이환율이 높았고 충분한 의료이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노인건강보험가입자도 만성질환의 이환률이 높고 충분한 의료이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따라서 노인과 관련된 사회서비스 체계 및 프로그램의 재평가를 해 노인의 삶의 질을 좀 더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도록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적합한 서비스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인구와 죽음의 원인, 2013.
  2. 김효진, "농촌노인의 건강수준과 건강행태 및 일상생활 기능상태 관련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375-384, 2003.
  3. 남윤신, "한국여성노인체육의 현황 분석(보건소 운동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6권, 제4호, pp.173-183, 2012.
  4. 하지영, 노인의 만성통증과 건강행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005.
  5. 고승덕, 조숙행,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인 추출," 노년학회, 제17권, 제2호, pp.17-36, 1997.
  6. 김효진, 농촌 노인의 건강수준과 건강행태 및 일상생활 기능상태 관련요인,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7. 류용무, 노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8. 류정은, 저소득 독거노인의 연령주기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과 그 관련요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9. 박웅섭, 빈곤층의 삶의 질에 지역사회 복지자원이 미치는 영향 : 노인 수급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0. 양정빈,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한국노년학, 제30권, 제4호, pp.1239-1261, 2010.
  11. 김난수,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활동 체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2. 정지혜, 저소득층 노인 당뇨병환자의 건강정보 이해능력, 당뇨지식이 당뇨 자가 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논문, 2013.
  13. 강선옥, 저소득층노인의 우울관련 연구, 서울기독교대학교, 석사논문, 2012.
  14. A. Bowling, D. Banister, S. Sutton, O. Evans, and J. Windsor, "A multidimensional model of the quality of life older age," Aging & Mental Health, Vol.6, No.1, pp.355-371, 2002. https://doi.org/10.1080/1360786021000006983
  15. 강성례, "대도시 저소득층 만성질환 노인을 위한 가정.방문간호 원가산정 : 환자 중증도 및 활동기준원가계산법(ABC) 적용," 간호행정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18-130, 2008.
  16. 이태화, "도시 저소득층 만성질환노인을 위한 보건소 방문간호서비스의 경제성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제34권, 제1호, pp.191-201, 2005.
  17. 보건복지부,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의료이용 실태 연구결과 발표," 2007.
  18. 김진구, "저소득층의 의료이용과 욕구 미충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경기지역 자활산업참여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4권, 제1호, pp.5-33, 2007.
  19. 정영호,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20. 송경신, 임국환, 이준협,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관련요인분석," 대한보건연구, 제37권, 제1호, pp.131-140, 2011.
  21. 임미영, 유호신, "전국저소득층의 보건의료 이용과 영향요인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2권, 제3호, pp.589-599, 2001.
  22. 김진구, "노인의 의료이용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제39권, 제1호, pp.273-302, 2008.
  23. 박선주, 빈곤층 노인의 미충족 의료 영향 요인,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4. 허현숙, 만성질환 저소득층 가구의 미충족의료 및 과부담의료비 비교, 중앙대학교, 석사하위논문, 2015.
  25. 정영호, "한국의료패널로 본 우리나라 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보건복지포럼, 제182권, 제1호, pp.6-14, 2011.
  26. 이현옥, 김교성, "건강보험가입자와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의료이용과 건강관련 삶의 질,"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44권, 제1호, pp.187-210, 2015.
  27. 김지영,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제 5기 국민건강영향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8. J. R. Kahn and E. M. Fazio, "Economic status over the life course and racial disparities in health," The Journals of Gerontology, Vol.60, No.2, pp.76-84, 2005. https://doi.org/10.1093/geronb/60.Special_Issue_2.S76
  29. S. M. Koroukian, P. M. Bakaki, and D. Raghavan, "Survival disparities by medicaid status : an analysis of eight cancers," American Cancer Society, Vol.118, No.17, pp.4271-4279, 2012.
  30. 이성은, 취약계층 노인의 걷기실천과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의 성별비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1. 강경숙, "일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375-384, 2003.
  32. 박상규,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11권, 제4호, pp.785-796, 2006.
  33. 최윤진, 연령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영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4. 이동호, 빈성오, "노인들의 질환별 유병여부와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1호, pp.216-224. 2011.
  35.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년 상반기 건강보험주요 통계,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

Cited by

  1. Economic Activity and Health Conditions in Adults Aged 65 Years and Older: Findings of the Korean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n Aging vol.5, pp.4, 2017, https://doi.org/10.3390/healthcare5040063
  2. The Effects of Health Coverage Schemes on Length of Stay and Preventable Hospitalization in Seoul vol.15, pp.4, 2018, https://doi.org/10.3390/ijerph15040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