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rerequisite Learning Reminding Lesson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rs

선수학습 상기 수업이 초등 5학년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6.08.03
  • Accepted : 2016.09.05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ise prerequisite learning reminding model to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and actually apply it to fifth graders in experimental lessons, thus investigating their effects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the study conducted a pre and post test to measur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o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he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mathematics lessons based on the prerequisite learning reminding model resulted in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upper and lower level groups. Secondly,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rerequisite learning reminding model on the self-efficacy and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lf-confidence and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mong the subarea of self-efficacy, it had positive differences effect on self-regulation efficacy.

본 연구는 선수학습 상기 수학 수업이 초등 5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선수학습 상기 수업을 기반으로 하는 실험 집단과 전통적인 수학 수업을 수행한 비교 집단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및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학습 상기 수학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실험집단 학생들의 학업 성취를 수준별로 구분한 집단의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선수학습 상기 수학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 중에서 자신감과 수학 과제 난이도 선호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자기조절 효능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남진영,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 연구," 교육과정평가 연구, 제16호, 제1권, pp.211-229, 2013.
  2. 이광상, 박인용, "TIMSS 수학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성차 특성," 교육과정평가연구, 제18권, 제1호, pp.155-183, 2015.
  3. 심복순, 스토리텔링 수학을 통한 학습 흥미도 신장 방안,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 안병곤, "초등수학 교과서에서 스토리텔링에 대한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9-35, 2014.
  5. 장유진,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6. 엄정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7. 김진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초등 수학교과서에 내재된 문제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제18권, 제3호, pp.493-504, 2014.
  8. 심규철, 김해미, "생물 예비 교사의 선수학습 확인 및 학습동기 유발 활동에서 수업 행동의 특성," 생물교육, 제38권, 제2호, pp.309-318, 2010.
  9. 이윤주, 준비학습이 수학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10. 한선애, 선수 학습 결손으로 인한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방안,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1. 이종연, "선수 및 과제학습이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고찰-중학교 3학년 수학교과 도형을 중심으로-," 교육이론과 실천, 제12권, 제3호, pp.203-217, 2003.
  12. 김윤영, 선수학습 상기 수학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3. 김병진, 수학 학습 부진 예방을 위한 수준별 선수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4. 이종학, 김원경,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수업이 통계적 사고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수학교육, 제50권, 제2호, pp.185-212, 2011.
  15. 손원경, 이미애,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몰입 및 소진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제54호, 제4권, pp.598-608, 2015.
  16.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A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7. 오경석, 자기효능감 프로그램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8. 김정희, "교사효능감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영재와 영재교육, 제5권, 제1호, pp.5-24, 2006.
  19.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and Company, 1997.
  20. 김금식,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학습된 무력감과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1. 이혜영, 수학 부진아의 선수학습과 보충학습 효과의 비교,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2.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39권, 제1호, pp.95-123, 2001.
  23. 김아영, "교실에서의 동기,"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1호, pp.5-36,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