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atial Segmentation by Urban Sprawl and the Solidarity of Constituents : The Case of Daecheon - Village and Daecheoncheon - Network in Busan

도시화에 의한 공간의 분절과 구성원의 연대 - 대천마을과 대천천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 공윤경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6.07.24
  • Accepted : 2016.08.25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rban sprawl and their ramifications, i.e. segmentation and hierarchization on the spatial structure as well as populational composition, focusing on Daecheon - Village and Daecheoncheon - Network in Busan, and to examine not only the solidarity between constituents transcending the segmented spaces but also the internal values operating inside through the Daecheoncheon - Network. Due to the large - scale housing development in the 1980s to 1990s, Daecheon - Village has been transformed from a rural village to a town. In this process, the original single space became segmented into Daecheon - Village and apartment complex. This spatial segmentation divided the populational composition into old natives and young immigrants. However, the Daecheoncheon - Network created by solidarity between the bodies of two localities enabled the residents to resolve the urgent issues of localities, recognizing their own space of living not as segmented and hierarchic but as the communal site of life and one village where they will live together. Daecheoncheon-Network was the movement and network to connect natives and immigrants transcending the segmented space and went so far as to make a motive to create one community with the value of 'symbiosis.'

본 연구는 부산시 북구 화명2동 대천마을과 대천천네트워크를 사례로 도시화로 인해 야기된 분절화, 위계화가 공간구조만이 아니라 구성원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대천천네트워크를 통해 분절된 공간을 넘어서는 구성원들 간의 연대와 그 내면에 작동하는 가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1980~1990년대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대천마을은 농촌에서 도시로 급속하게 전환되었다. 이 과정에서 하나였던 공간은 대천마을과 아파트단지지역으로 분절되었다. 공간의 분절에 따라 주민들의 구성도 노년층 토착민과 청장년층 이주민으로 나눠지게 되었다. 그러나 두 지역의 단체들을 연대하여 만든 대천천네트워크를 통해 주민들은 지역의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해 낼 수 있었고 아울러 자신들의 거주공간을 분절되고 위계된 공간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야 할 삶터이자 하나의 마을로 인식하게 되었다. 대천천네트워크는 공간적 분화를 넘어 토착민과 이주민을 엮어주는 운동이자 관계망의 역할을 수행하였고 나아가 '공생'의 가치로 하나의 공동체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윤경, 2013, 농촌에서 도시로의 공간구조 변화와 특성-부산 북구 화명동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97-110.
  2. 김성준.안건혁, 2013, 신도시 조성 이후 신.구도시의 계층변화 및 양극화-성남시 사례,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1), 53-66.
  3. 김재경, 1988, 신주거지역의 구매시설 이용에 관한 연구-부산시를 중심으로, 부산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006, 주민자치센터와 NGO가 함께하는 지역공동체 프로그램 "대천천 네트 워크"-부산광역시 북구 화명2동 주민자치센터, 지방행정 55, 86-95.
  5. 들뢰즈, 질.펠릭스 가타리, 김재인 역, 2003, 천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새물결, 서울 (Deleuze, G. and F. Guattari, 1980,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2, Les Editions de Minuit, Paris)
  6. 방정아, 2008, 생태.문화.커뮤니티 가치 발견을 통한 마을 디자인 연구, 동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부산시 북구, 2015 구정백서.
  8. 새비지, 마이크.알랜 와드, 김왕배.박세훈 역, 1996,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성, 한울, 서울(Savage, M. and A. Warde, 1993, Urban Sociology, Capitalism and Modernity, Macmillan Press Limited of London, UK).
  9. 송명수, 2006, 신시가지 주거환경에 대한 공동주택 거주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시 화명, 해운대신시가지를 대상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슈뢰르, 마르쿠스, 정인모.배정희 역, 2010, 공간, 장소, 경계, 에코리브르, 서울(Schroer, M., 2005, Raume, Orte, Grenzen: Auf dem Weg zu einer Soziologie des Raums, Suhrkamp).
  11. 신지영, 2013, 도시화와 주체의 문제, 철학논총, 73, 135-158.
  12. 와캉, 로익, 김주경 역, 2000, 2002, 거꾸로 가는 유토피아, 미국에서, 피에르 부르디외 편, 세계 의 비참 I, II, III, 동문선, 서울, 269-338 (Wacquant, Loic J. D., 1998, Uber Amerika als verkehrte Utopie, in Bourdieu, P. u. a. (Hg.), Das Elend der Welt. Zeugnisse und Diagnosen alltaglichen Leidens an der Gesellschaft, Konstanz: Universitatsverlag, 169-178).
  13. 이귀원, 2010, 대천마을 이야기, 부산 우리마을 네 트워크 창립식 및 활동가와 전문가가 말하는 마을만들기 포럼, 24-32.
  14. 전길헌, 2000, 혐오시설 입지갈등에 관한 실증적 연구: 부산시 북구 화명2지구 쓰레기 소각장 입지대상 지역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전종한, 2011, 근대이행기 경기만의 포구 네트워크와 지역화과정, 문화역사지리, 23(1), 95-118.
  16. 정기용, 2008, 사람․건축․도시, 현실문화, 서울.
  17. 제이콥스, 제인, 유강은 역, 2010,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그린비, 서울(Jacobs, J., 1961, 1993,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Random House).
  18. 주경식.박용우, 2010, 용인시 주택시장의 성장과 공간적 분화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5(2), 240-255.
  19. 줄레조, 발레리, 길혜연 역, 2007, 아파트 공화국: 프랑스 지리학자가 본 한국의 아파트, 후마니타스, 서울(Gelezeau, V., 2003, Seoul, ville geante, cites radieuses, CNRS Edition).
  20. 차윤정.공윤경, 2012, 간판매체에 반영된 주변화 양상과 지역인의 의식-부산 정관 덕산마을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24(2), 138-154.
  21. 최병두, 2014, 한국의 신지역지리학: (1) 발달 배경, 연구 동향과 전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4), 357-378.
  22. 최병두, 2016, 한국의 신지역지리학: (2) 지리학 분야별 지역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지역지리학 회지, 22(1), 1-24.
  23. 코소, 이와사부로, 서울리다리티 역, 2013, 죽음의 도시, 생명의 거리, 갈무리, 서울(高祖 巖三郞, 2010, 死にゆく都市,回歸する巷 ニュ-ヨ-クとその彼方, 以文社).
  24. Massey, D., 2005, For Space, Sage.
  25.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맵, http://map.ngii.go.kr/ms/map/NlipMap.do
  26.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27. 부산시 북구, http://www.bsbukgu.go.kr
  28. 부산시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www.busan.go.kr
  29. 통계청, http://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