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대

Search Result 1,36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Age Dating of Slope Landform in Korea Using Diffusion Equation Model (디퓨젼 공식 모델을 이용한 한국 사면 지형의 연대 측정 연구)

  • 이민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4
    • /
    • pp.371-384
    • /
    • 1999
  • 디퓨젼 공식 모형은 한국 하천의 중.상류 지역의 하안 단구의 단구애와 같은 삭박 사면에 대한 연대 측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형 연대 측정 방법은 최대 사면각, 사면의 높이 등과 같은 사면단면에 대한 측정된 자료를 사용하는 보조적 연대 측정법의 하나이다. 토탄층에 대한 탄소연대측정법 또는 화분분석과 같은 방법으로 잘 통제되어진 연대를 이 모형에 적용하여 생성 연대를 모르는 다른 사면의 연대를 추정하는데 사용될수 있다. 적용사례로 경북 영양의 연지 저위단구에서 구해진 연대값 6ka를 이용하여, 최대 사면각과 사면의 높이간의 모의실험을 통해 연지 단구의 저위면/중위면 사이의 단구애 상의 삭박률 100 10-4m2/yr.을 구할수 있었다. 이 삭박률을 영춘 단구의 저위면/중위면 사이의 단구애의최대 사면각과 사면 연대간의 모의실험에 적용하여 영춘 단구의 저위면/중위면 사이의 단구애의 형성 시기를 약 37,000년 전으로 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보다 정밀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남한강 중.상류의 단구 지역에 대한 적절한 사면 측정 자료가 요구된다.

  • PDF

남제주 사람 발자국 화석의 생성 연대

  • Kim, Gyeong-Su;Kim, Jeong-Ryul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154-157
    • /
    • 2005
  • 제주도 남제주군 사계리 해안에서 발견된 사람과 각종 동물 발자국 화석의 생성 연대를 규명하기 위하여 문화재청에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연구 용역을 의뢰하여, 사람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는 지층에서 유기물의 탄소동위원소 연대 측정과 광여기루미네선스(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연대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Humin 유기물에 대한 탄소동위원소 측정값은 상부로부터 $10,901{\pm}60$년, $13,513{\pm}65$년 그리고 $15,161{\pm}70$년이고, Humic 유기물에 대한 탄소동위원소 측정값은 $9,289{\pm}90$년, $8,622{\pm}90$년 및 $8,098{\pm}50$년 이며, OSL 연대 측정 방법에 의하면 $6,800{\pm}300{\sim}7,600{\pm}500$년이다. 이 측정 자료에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탄소동위원소에 의한 측정값은 배제하고, OSL 연대 측정값인 $6,800{\pm}300{\sim}7,600{\pm}500$년을 사람 발자국 화석의 생성 연대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Humin 유기물에 의한 탄소동위원소 측정값을 배제한 가장 중요한 이유로 Humin 유기물이 산성 또는 알칼리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재순환되어 발자국 화석이 생성될 당시 외부에서 유입되어 더 오래된 연대값을 나타낸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러한 주장은 아무런 근거가 없다. 또한 송악산의 분출이 약 10,000년 이내에 분출하였다는 명확한 근거가 없으며, 석영을 이용한 OSL 연대 측정은 연대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는 여러 요소들에 수반되는 불확실한 요소(예를 들면, 수분 함량 문제 등)들로 인해 탄소동위원소 연대 측정에 비해 정밀도와 정확도가 낮으며, 특히 화산 기원 석영의 경우, 정확한 등가선량의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연대 측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이 잘 알려져 있고, 주변의 화산 활동으로 인한 열수에 의해 OSL 신호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의 연대 측정 결과만으로 사람 발자국 화석의 생성 연대를 결정하는 데 가장 신뢰성이 있는 자료는 Humin 유기물에 의한 탄소동위원소 연대 측정값이며, 이를 근거로 할 때, 사람 발자국 화석의 생성 연대는 $13,513{\pm}65{\sim}15,161{\pm}70$년 사이로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타당하다.

  • PDF

$^{14}C$ Dates from Late Paleolithic Sites and Chronological Implications in Korea (한국의 구석기유적의 탄소연대측정치와 편년문제)

  • 배기동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5 no.2
    • /
    • pp.63-73
    • /
    • 2001
  • In total, 29 $^{14}C$ dates were obtained from Paleolithic sites in the Korean peninsula. If not the dates from the Sorori peat layers, the number will be less than 20. Low boundary of Upper Paleolithic could be estimated by some early of the dates from Blade stone industries. Couple of $^{14}C$ dates indicate that beginning of Upper Paleolithic industries could approach to 40 K BP, but it is premature to establish fine chronology of Upper Paleolithic. Some of the $^{14}C$ dates of microlithic industries probably represent too earlier age than generally thought. Tentatively, the beginning of microlithic industries may go back to an age of slightly older than 20 K BP, as indicated in Janghungri, Sokchangni, Noeundong etc. The obtained $^{14}C$ dates at present are very important for construction of Paleolithic chronology. but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for more $^{14}C$ dates in future along with results from other dating techniques and to reconstruct site formation processes for obtaining objective age of stone industries.

  • PDF

New K-Ar dating system in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Summary and Performanc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도입된 K-Ar 연대 측정시스템: 개요 및 성능)

  • 김정민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3
    • /
    • pp.172-178
    • /
    • 2001
  • K-Ar dating system of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BSI) was installed in 1997 and has been used since then. The system consists of high temperature graphite furnace, gas purification system, and mass spectrometer with data acquisition system. K-Ar age is determined by the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s of Ar and K through isotope dilution method using $^{38}Ar$ as spike and flame spectroscopy, respectively.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for the K-Ar age are checked using the several K-Ar standard materials. Although the exact age determination for young samples of less than 1 Ma is hampered by small fluctuations of sensitivity and mass discrimination, the present system yields the reliable K-Ar age compared to the standard materials of Tertiary and Mesozoic age. The measurements for the SORI93 biotite with the recommended K-Ar age of $92.6\pm$0.6 Ma and Bern4M muscovite of $18.5\pm$0.6 Ma yield the reliable age of $92.1\pm$1.1 Ma and $17.8\pm$0.2 Ma, respectively.

  • PDF

Reactivated Timings of Yangsan Fault in the Northern Pohang Area, Korea (포항 북부지역 양산단층의 재활동 연대)

  • Sim, Ho;Song, Yungoo;Son, Moon;Park, Changyun;Choi, Woohyun;Khulganakhuu, Chuluunbaatar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0 no.2
    • /
    • pp.97-104
    • /
    • 2017
  • Here we present the timings of reactivated events from a fault in the northern Pohang area, which should be located at the northern-end of Yangsan fault line, the major fault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Recently developed illite-age-analysis (IAA) approach was employed for determining the fault-activated timing, combined with illite-polytype quantification using the optimized full-pattern-fitting (FPF) method, and K-Ar age-dating for each size fraction($<0.1{\mu}m$, $0.1-0.4{\mu}m$, and $0.4-1.0{\mu}m$) of 4 fault clay samples. Two chronological records of brittle fault-activation events were recognized at $19.6{\pm}1.86Ma$ and $26.1{\pm}2.55-27.9{\pm}3.46Ma$. The ages are much younger than those of fault clays from Sangcheon-ri area (41.5~43.5 and 50.7 Ma), the southern part of Yangsan fault line, and are close to the timing of East Sea-opening event. Further chronological analysis for additional sites of the Yangsan fault should be needed to reveal the time-scheme of the tectonic events and their spatial distributions along the fault line.

Reactivated Timings of Yangsan Fault in the Sangcheon-ri Area, Korea (상천리 일대 양산단층의 재활동 연대)

  • Song, Yungoo;Park, Changyun;Sim, Ho;Choi, Woohyun;Son, Moon;Khulganakhuu, Chuluunbaatar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9 no.2
    • /
    • pp.97-104
    • /
    • 2016
  • Here we firstly present that a timing of reactivated event of Yangsan fault, the major fault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by using combined approaches of the optimized illite-polytype quantification, the K-Ar age-dating, and the recently developed illite-age-analysis (IAA) approach for the fault clays from Sangcheon-ri area of Yangsan main fault line. Two chronological record of brittle fault-activation event at about 41.5~43.5 and 50.7 Ma were determined from 3 fault gouges suggesting a crucial reactivation time-scheme. Furthermore, the regional processes that drive tectonics to form and reactivate the Yangsan fault may be explained from the chronological analysis for additional sites along the Yangsan fault.

Radiocarbon Dating of a Wooden Board from Jeongsusa Temple Using Wiggle Matching of Quinquennial Tree-Ring Samples (5년 간격 연륜의 위글매치를 이용한 정수사 법당 목부재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 Nam, Tae-Kwang;Park, Jung-Hun;Hong, Wan;Park, Won-Kyu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8 no.1
    • /
    • pp.1-5
    • /
    • 2012
  • This paper reports the application of radiocarbon wiggle-matching for Korean wooden artifacts such as buildings and Buddhist statues for precise dating. Nine quinquennial (every five-year) samples of 41 years (AD 1250-1290) for AMS radiocarbon measurements were prepared from a wooden board used for the Main Hall at Jeongsusa (temple) in Kangwhado, Korea, which was dendrochronologically dated. The 95.4% confidence interval of radiocarbon dating prior to wiggle matching was 113.3 year in average. When wiggle-matching technique was applied, it became 20 years, 5.7 times smaller than that produced without wiggle match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wiggle-matching technique using the calibration curve for northern hemisphere (IntCal04) can produce precise dates for Korean wooden artifacts, at least, for the $13^{th}$ century.

문화속의 과학 - 문화재의 연대 측정

  • Gang, Byeong-T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2 s.357
    • /
    • pp.11-11
    • /
    • 1999
  • 문화재의 연대를 측정할 때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방사성탄소측정법인데 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유기물(목재,목탄,뼈,패각류 등)을 대상으로 연대를 측정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기기의 발달로 방사성탄소의 개수를 직접 헤아려서 연대를 측정하는 가속기질량분석계를 사용하고 있다.

  • PDF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ating of heated materials from the early Bronze age in central Korea (한국 중부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의 광 여기 루미네선스를 이용한 연대측정)

  • Kim, Myung-Ji;Hong, Duk-Geun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16 s.16
    • /
    • pp.5-14
    • /
    • 2004
  • Luminescence dating is based upon the premise that several commonly occurring minerals (e.g. quartz and feldspar) can be used as natural dosimeters, recording the amount of radiation to which they have been exposed. We report results of optical dating on quartz samples separated from archaeological remains (burnt soils and potteries), which were excavated at Myungam-Ri, Asan, and Chungnam province and at Sayang-Ri, Chinchun, Chungbuk province, considered as the cultural site of the early Bronze Age. The resultant date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ages derived by archaeological assessment. It is concluded that the optical dating introduced in here shoul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future archaeological dating work.

  • PDF

옥천대 흑색 점판암의 납 동위원소 연대

  • 정창식;정기영;김현철;최만식;이석훈;강지훈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133-133
    • /
    • 2001
  • 우리는 괴산 덕평리 지역의 소위 구룡산층과 대전 추부 지역의 창리층 흑색 점판암에 대한 납 동위원소 연대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덕평리 지역의 흑색 점판암은 270 Ma 내외의 Pb-Pb 연대를 보이고 U-Pb 연대는 정의되지 않는다. 그 Pb-Pb 연대는 같은 시료의 22개 uraninite 입자에 대한 CHIME 연대와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한다. 이로 보아 uraninite는 형성 또는 변성작용에 의한 동위원소적 재평형 작용 이후 폐쇄계를 잘 유지하였지만 흑색 점판암이 지질학적으로 최근에 지표에 노출된 이후에는 전암 규모에서 개방계로 거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박편 미조직 관찰에 의하면 흑색 점판암의 1차광물인 uraninite 외에 풍화기원 2차광물인 uranocircite, francevillite가 관찰된다. 덕평리 지역 흑색 점판암의 최고 변성온도 조건은 50$0^{\circ}C$ 내외이므로 (Kim et al., 2000) uraninite CHIME 연대의 폐쇄온도가 50$0^{\circ}C$ 이상이거나 uraninite의 형성시기와 변성시기 사이에 시간차가 거의 없었다고 판단된다. 덕평리 지역의 U 광화작용 시기는 이번 자료에 의해 고생대 말로 정의될 수 있으나 그 연대가 흑색 점판암의 모물질인 해저 흑색 유기질 퇴적물의 초기 속성작용과 관련 있는지 후기의 변성작용과 관련 있는지에 대해서는 광물학적인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한다. 옥천대 변성퇴적암의 일부가 고생대 말에 퇴적되었을 가능성은 황강리층 역의 xenotime 및 monazite에 대한 CHIME 연대측정 결과 (약 367 Ma; Adachi et al., 1996)에 의해서 지지된다. 추부 지역 흑색 점판암의 Pb-Pb 연대는 170 Ma 내외로서 인접한 쥬라기 화강암의 관입시기를 지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화강암체로부터의 거리로 볼 때 덕평리 지역과 추부 지역의 시료 채취 위치가 유사하지만 지하 천부에 관입한 백악기 속리산 화강암 (91$\pm$6 Ma, Cheong and Chang, 1997)에 의해서는 덕평리 지역 흑색 점판암의 납 동위원소계가 영향받지 않았다는 점과 대조적이다.

  • PDF